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동양사일반
· ISBN : 9788932918242
· 쪽수 : 560쪽
· 출판일 : 2017-02-28
책 소개
목차
서문
삽화 목록
제1부 『동국통감』과 『징비록』
제1장 『동국통감』과 일본
제1절 조선본 『동국통감』의 일본 유입
제2절 『신간동국통감』과 하야시 라잔ㆍ가호
제3절 『신간동국통감』의 일본 내 유통 양상
제4절 『신간동국통감』의 근대
제5절 한국 문헌 및 한국 관련 중국 문헌의 일본 내 유통
제2장 『징비록』과 세계
제1절 『징비록』과 청ㆍ일본
제2절 에도 시대 일본과 <임진왜란 연의>의 탄생
제3절 서구권의 임진왜란ㆍ조선 정보
제2부 동중국해 연안 지역의 국제 전쟁과 병학
제1장 일본 지식인 집단과 임진왜란ㆍ조선 정보
제1절 가이바라 엣켄 그룹
제2절 기노시타 준안 그룹
제3절 이토 진사이 그룹
제2장 조선 지식인 집단과 임진왜란ㆍ일본 정보
제1절 『이칭일본전』과 『화한삼재도회』
제2절 기무라 겐카도 그룹
제3절 고가 세이리 그룹
제3장 일본 병학과 조선
참고 문헌
주
찾아보기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병자호란 이후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조선 왕조와 한국은, 대청 제국, 일본, 북한 등에 의한 군사적 위협은 상시적으로 느끼면서도, 실제로는 수십 년에서 수백 년의 장기적 안정기를 경험하였다. 그 결과, 안정 상태가 정상적인 것이며 전쟁은 비정상적이고 발작적인 현상이라고 간주되기에 이르렀다. - 서문
삼한이 조공을 바치고 네덜란드가 오는 것은, 지구의 중심이 일본이라는 증거라는 주장이 에도 시대에 있었다. - 1부 1장
병학자가 『신간동국통감』을 읽었다고 하면, 그것은 단순히 호사가로서의 취미가 아니라, 군사 외교적 관심에서 비롯되었을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그리고 병학자인 이소베의 주장은 유학자인 하야시 가호의 주장보다는 덜 감정적이고 더욱 논리적이다. - 1부 1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