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고고학/인류학
· ISBN : 9788933704585
· 쪽수 : 472쪽
· 출판일 : 2004-09-05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제1장 서론
Ⅰ. 민속학의 정의
Ⅱ. 민속학의 두 가지 성격
Ⅲ. 민속학 연구의 방법과 범위
Ⅳ. 한국 민속학이 걸어온 길
Ⅴ. 외국인의 한국 민속 연구
제2장 마을과 가족생활
Ⅰ. 마을
Ⅱ. 마을의 생활
Ⅲ. 가족
Ⅳ. 친족
제3장 관혼상제
Ⅰ. 출산의례와 관례
Ⅱ. 혼례
Ⅲ. 상례
Ⅳ. 제례
제4장 의식주
Ⅰ. 의생활
Ⅱ. 식생활
Ⅲ. 주생활
제5장 민간신앙
Ⅰ. 서설
Ⅱ. 무속
Ⅲ. 가신신앙
Ⅳ. 동제
제6장 세시풍속
Ⅰ. 세시풍속의 의의
Ⅱ. 역법과 세시풍속
Ⅲ. 동절의 세시풍속
Ⅳ. 춘절의 세시풍속
Ⅴ. 하절의 세시풍속
Ⅵ. 추동절의 세시풍속
제7장 민속예술
Ⅰ. 민속악과 민속무용
Ⅱ. 민속극
Ⅲ. 민속공예
제8장 구비문학
Ⅰ. 서설
Ⅱ. 민요
Ⅲ. 설화
Ⅳ. 무가
Ⅴ. 속담과 수수께끼
Ⅵ. 구비문학의 전통
참고문헌
찾아보기
리뷰
책속에서
여러 공예기술은 하루 바삐 중요무형문화재로 지정하고 보존하여 국가적인 사업으로 계승자를 양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렇지 않으면 얼마 지나지 않아 절멸하고 말 것이다. 그것은 곧 조선조 말까지 전해 오던 우리의 전통적인 아름다움과 슬기로움이 현대에 재창조되지도 못한 채 영원히 사라지고 마는 일이다.
민속예술은 연국이나 음악, 무용, 공예 기술 등 어느 것을 막론하고 지난날의 일이 아니다. 그것은 공업 기술 그리고 매스컴 문화 등 현대문화 속에 늘 재창조되어 우리 민족의 전통적인 지혜와 기능을 과시한다. 나아가 오늘과 내일도 끊임없이 그 실용과 섬세의 미로써 우리의 생활을 더욱 풍요롭게 꾸려 갈 것이 분명하다. - 본문 381쪽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