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건강/취미 > 질병치료와 예방 > 기타질병
· ISBN : 9788933708170
· 쪽수 : 300쪽
· 출판일 : 2023-03-04
책 소개
목차
제4판을 내면서
추천의 글
Ⅰ. 전립선
1장 전립선의 구조와 기능
2장 전립선 때문에 발생하는 증상들
Ⅱ. 전립선비대증
3장 전립선비대증에 대한 기본적 이해
4장 전립선비대증 예방과 식이요법
5장 전립선비대증의 진단
6장 전립선비대증의 약물치료
7장 전립선비대증의 수술적 치료
Ⅲ. 전립선염
8장 전립선염에 대한 기본적 이해
9장 전립선염의 임상증상과 진단
10장 전립선염의 치료
Ⅳ. 전립선암
11장 전립선암에 대한 기본적 이해
12장 전립선암의 증상과 진단
13장 전립선암의 치료
14장 전립선암의 조기발견과 예방
Ⅴ. 보완대체의학
15장 전립선 질환의 보완대체의학
Q&A
전립선비대증 Q&A / 전립선염 Q&A / 전립선암 Q&A
찾아보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전립선비대증이란 노화가 진행되면서 전립선이 커지는 현상을 말하는데, 30~40대부터 이미 시작되어 80세 이후에는 약 80%의 남성들이 전립선비대증을 가지게 됩니다. 이처럼 전립선비대증은 매우 흔한 질환으로 전립선이 커져서 요도의 저항이 높아져 발생하게 되는 배뇨장애 현상이라고 이해하면 됩니다.
병원에서는 환자가 느끼는 증상의 정도를 수치로 나타낸 증상점수, 소변줄기의 세기를 속도로 표시한 요속 및 잔뇨량, 초음파 등으로 측정한 전립선의 크기를 복합적으로 고려하여 전립선비대증 및 상태를 진단합니다.
홀뮴레이저는 절개 효과와 응고 효과를 모두 가진 비교적 최근에 개발된 2,100nm 파장의 레이저로, 에너지 특성상 효과적인 절개, 주변 조직의 적은 손상, 우수한 지혈 효과를 보여 비뇨의학과 영역에서는 전립선 수술뿐만 아니라 요관·요도 ·방광경부의 절개, 방광 종양 및 성기 사마귀의 소작, 그리고 요로결석의 분쇄까지 임상에서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습니다.
홀뮴레이저 전립선적출술Holmium Laser Enucleation of the Prostate; HOLEP은 방광요도경을 통해 홀뮴레이저를 이용해서 전립선선종 덩어리를 개복전립선절제술에서처럼 통째로 도려내어 제거하는 수술 방법입니다.
전립선염은 분명히 염증성 질환으로 알려져 있음에도 전립선검사나 마사지 후의 소변검사에서 백혈구의 출현은 있지만 배양검사에서 뚜렷한 병원균을 찾을 수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는 항생제 단일 요법이 전립선염 치료에 적절하지 않다는 것을 뜻하는데, 학계에서 인정하는 항생제 외의 광범위 항생제를 근거 없이 투약하는 것은 치료에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최근에는 항생제 투여를 전면 부정하지는 않지만, 주로 증상을 완화시키는 치료법을 더 강조하는 추세입니다. 결정적인 염증 소견이 없는 경우에는 회음부 통증이나 빈뇨, 잔뇨감, 배뇨통과 같은 방광자극증상을 완화시켜 줄 수 있는 평활근 이완제와 진경제, 진통제, 가벼운 신경안정제를 겸용하는 것이 보편화되고 있습니다. 이는 새롭게 도입된 분류체계인 UPOINT를 통한 치료 접근 방법과 일맥상통합니다. UPOINT 분류체계는 전립선염에 의한 증상 원인을 전립선이라는 장기에만 국한하지 않고 유사한 증상을 유발하는 전립선 이외의 원인에도 중점을 두고 여러 원인을 함께 교정하여 치료 효과를 높이고자 하는 것입니다. 이 방법은 다양한 증상을 호소하는 개개인의 원인을 파악하여 가장 효과적인 증상 완화 방법을 찾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