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상담/치유
· ISBN : 9788934111863
· 쪽수 : 816쪽
· 출판일 : 2012-03-30
책 소개
목차
추천사
한국어판 서문 ·
서문
감사의 글
역자 서문
제 1 부
1. 기독교 영혼돌봄에서 성경의 위치
2. 기독교 영혼돌봄의 역사에 나타난 성경
3. 성경과 최근 복음주의적 영혼돌봄의 패러다임
제 2 부
4. 학문의 대상들과 그들의 배경적 상황
5. 성경의 특성과 다른 본문과의 관계
6. 기독교심리학과 영혼돌봄을 위한 성경해석
7. 기독교 영혼돌봄을 위해서 다른 공동체들의 본문을 번역하기
추신
제 3 부
8. 창조질서의 근거
9. 기호들로부터 역사까지
10. 의미의 질서(순서)
11. 인간 삶에 대한 복합적 모델 지향
제 4 부
12. 삼위일체 하나님 안에서 기독교 안녕과 영혼돌봄의 근거와 목표
13. 내면으로의 부르심
14. 내적 영역, Part 1
15. 내적 영역, Part 2
16. 내적 영역, Part 3
17. 외면으로의 부르심
18. 영광의 징표의 치료적 전달을 통해 그리스도의 형상 입기를 촉진하기
에필로그
부록1
부록2
참고문헌
주제색인
책속에서
1) 완전하며 좋으신 하나님
첫째, 성경은 우리에게 하나님에 대해 가르친다. 바울은 “복되신 하나님의 영광의 복음”(딤전 1:11)이라고 기록했다. 헬라어 문자로 ‘복되신’(makarios)은 ‘행복’(Arndt & Gingrich, 1957)과 비슷한 것을 전하거나 또는 ‘완전한 기쁨’(Guthrie, 1957)에 가깝고 성경은 하나님을 완전한 만족과 성취 그리고 기쁨으로 그려낸다.“네 주인의 즐거움에 참여하라”(마 25:23). 성경에는 하나님 안에 결점, 공허함, 빈곤, 고난이 있다는 단서가 없다.
반면에, 신학자들의 주장에 따르면 하나님은 스스로 존재하시고 스스로 충분한 능력이 있으시며(Bavinck, 2004) 이 세상 모든 것의 근원이시다. “우리가 그를 힘입어 살며 기동하며 있느니라”(행 17:28). “이는 만물이 주에게서 나오고 주로 말미암고 주에게로 돌아감이라 영광이 그에게 세세에 있으리로다”(롬 11:36). “모든 능력과 부와 지혜와 힘과 존귀와 영광과 찬송”(계 5:12)이 하나님께 속해있다. 그러므로 하나님은 “가장 기뻐할 만한 것을 무한한 힘과 열정으로 영원히 기뻐할 수 있는 분이시다”(Piper, 1991, p. 24). 하나님은 진실, 아름다움, 위대함, 선함의 완전함이고, 진정한 행복과 구원의 근원이다.
동시에 하나님의 무한한 능력은 그분을 인간의 행복에 완벽하게 관계할 수 있게 한다. 우리는 하나님을 인간의 악함에 슬퍼하시고 진노하시는 분이라고 생각하기는 하지만 또한 우리를 약함과 고난으로부터 구원하시는 구원자이시며 보호자시라는 사실을 성경에서 발견할 수 있다(시 12:5 68:5―6 113:5―9 잠19:17 고전 1:27―28). 하나님은 “자비롭고 은혜롭고 노하기를 더디하고 인자와 진실이 많은 하나님이로다”(출 34:6). 하나님의 본성은 인간 고통과 악의 희생물에 대한 연민, 예수 그리스도의 특성으로 명확히 나타나며(마 9:36 막 6:34 8:2 눅 19:41 요 11:35, 38) 죄인과 낙담한 자에 대한 끊임없는 사랑, 삼위일체 하나님의 사랑(요 15:9 요일 4:8)으로 명확히 드러난다. 이러한 면에서의 하나님은 놀랄 만큼 영혼돌봄과 상응한다. 하나님은 홀로 행복으로 충만하시기 때문에 인간에게 행복을 공급하는 유일하고 무한한 기쁨의 근원이시다. 그리고 그분 스스로 인간에게 행복을 공급하는데 마음을 기울이신다. 왜냐하면 어느 정도 그의 행복은 인간을 그들의 죄와 비난받음, 고통,약함에서 구원하시기로 한 계획을 포함하는 인간에 대한 온전한 연민에 있기 때문이다. 하나님의 영광은 그의 사랑뿐만 아니라 그의 무한함으로 증명된다. 이러한 진리들은 기독교 영혼돌봄을 뒷받침하는 기초적인 사실을 제공한다.
55-56쪽, ‘4. 성경에 나타난 영혼돌봄의 가르침’중에서
그러나 이와 같이 사람의 이성에 관한 극도의 비관주의는 기독교 전통의 중요한 사상가들에게는 이질적인 것이다. 예를 들면, 칼빈(1599/1960)은 비기독교인들의 사고가 갖는 죄의 정신적 왜곡뿐만 아니라 하나님의 일반은총의 보존하시고 축복하시는 결과 양쪽 모두를 인식했다(사 28:24―29 마 5:45 행 14:17 롬 2:4, 15 Kuyper, 1998 Mouw, 2001 Murray, 1977 C. Van Til, 1972 H. Van Til, 1959 일반은총의 더 많은 최근의 토의를 위하여). 칼빈의 시대부터, ‘일반은총’ 개념은 모든 인간에게 주어진 하나님의 공통적인 선하심을 인용하는 데 사용되어 왔으며, 이는 인간의 죄에도 불구하고, 인간에게 있는 개인적 구원과는 별개인 선함, 진리, 인간 도덕의 아름다움, 문화, 자연과학 및 예술을 설명해 준다. 그러나 나는 여기서 ‘일반은총’이라는 좀 더 대중적인 용어보다는 ‘창조 은혜’(creation grace)라는 용어를 사용할 것이다. 우리의 목적을 위해, 창조 은혜의 원리를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공식화할 것이다. 구원받지 않은 인간도 하나님의 창조적 측면들을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는 능력이 있으며(인간 본성, 정신 병리학 그리고 그것의 치료의 양상들을 포함한)―영적인 조명을 요구하는 범위를 제외하고― 이 이해는 하나님의 선물이다.
140-141쪽, ‘성경적 상담과 일반은총의 원리’ 중에서
성경의 우위성의 관점에서, 기독교상담자들은 더 많은 시간을 다른 어떤 본문들보다 성경의 중심적 주제들에 초점을 맞추도록 할애하면서 상담가들 자신들에게 뿐만 아니라 이 주제들이 이론을 세우거나 상담의 매 사례들에서 주된 안건이 되도록 열심히 노력할 필요가 있다. 우리의 제한된 능력 때문에 우선순위를 정하는 일을 피할 수 없다. 우리는 우리 삶의 중심 주제를 몇 개로 제한시켜야 한다. 가장 좋고 가장 중요한 주제에 집중하는 것을 배우는 것이 지혜의 특징이다(Vanhoozer, 2005). 그래서 성경의 우위성을 단언하는 것은 성경에서 강조하는 주제들이 기독교인에게도 중요하게 여겨져서 이러한 성경적 주제들에 맞추어서 행동하고 중점을 두는 삶(그리고 심리학과 영혼돌봄의 내용)을 이끌어가도록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은 영혼돌봄에서는 특별히 중요하다. 왜냐하면 삶의 많은 어려움은 개인의 우선순위와 관계가 있기 때문이다. 모든 상담은 심미적(고결한 아름다움과 연관되어서)이기에 기독교 영혼돌봄의 중심 목표 중 하나는 개인이 하나님의 가치체계와 덕과 사랑을 받고 내면화하도록 돕는 일이다.
예를 들어서 힘든 사람과의 결혼생활을 끝내고 싶은 마음은 자연스러운(그리고 이해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성경은 대부분의 경우에 그 사람이 개인적인 희생에도 불구하고 언약의 배우자와 결혼생활을 유지할 때 하나님이 영광을 받으신다고 가르친다. 하나님 중심적 우주에서는 하나님의 영광이 개인의 당장의 행복보다 더 가치가 있으며 장기적으로는 둘의 경계가 겹쳐진다. 그러므로 화해할 수 없는 차이가 이혼의 조건이 되지 못하고 오히려 영광을 위한 토대가 된다. 이와 같이 성경을 기초로 한 가치 상황 안에서의 기독교영혼돌봄은 신자들로 하여금 개인의 보호와 개인 행복의 추구를 넘어서 영혼의 변화를 경험하도록 돕는다.
225쪽, ‘1) 심리학과 영혼돌봄을 위한 성경의 특별한 우위성’ 중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