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신약 본문 비평의 이론과 실제

신약 본문 비평의 이론과 실제

J. 해롤드 그린리 (지은이), 고영렬, 장민석 (옮긴이)
기독교문서선교회(CLC)
1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9,000원 -10% 2,500원
500원
11,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4개 5,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신약 본문 비평의 이론과 실제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신약 본문 비평의 이론과 실제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설교/성경연구
· ISBN : 9788934112471
· 쪽수 : 208쪽
· 출판일 : 2012-12-10

책 소개

본문 비평 방법론들을 소개할 뿐 아니라, 본문 비평에 사용되는 사본들을 정리해준다. 또한 사본들을 체계화 시킨 여러 편집들도 소개하며, 풍성한 연구 사례의 모범들을 제시함으로써 독자로 하여금 본문 비평을 실제로 수행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있다.

목차

추천사 - 바트 D. 에르만, 마이클 홈즈
- 장동수 박사

서문
재판 서문
역자 서문
그림·삽화 목록

제1장 서론
|정의|예비지식|본문 비평에서 신약성경의 위치|본문 비평의 영역|본문 비평의 우선성|

제2장 고문서학(Paleography)
|글의 전달자료|필사도구|서채그이 형태|서체|

제3장 신약성경 본문의 자료들
|헬라어 필사본|번역본|교부들의 인용|

제4장 본문의 전달 과정
|필사 본문의 역사|이문의 유형들|

제5장 인쇄된 본문
|"공인본문"의 형성(1516-1633)|본문증거의 축적(1633-1830)|비평적 본문을 위한 노력(1830-82)|

제6장 비평본문의 시대
|웨스트코트와 홀트 본문 비평이론|텍스투스 리셉투스의 변호|폰 조덴의 역작|지역 본문에 관한 현대이론|헬라어 사본의 번호 체계|헬라어 신약성경의 주요한 현대 편집본들|

제7장 본문 비평의 실제
|본문 비평장치 읽는 법|몇몇 신약 이문에 대한 해결책|

제8장 사본의 비교대조연구와 분류
|사본 비교대조연구를 해야 하는 이유|비교대조연구를 기록하는 법|비교대조연구의 활용|

부록: 자주 사용되는 라틴어 어휘와 뜻
도서목록
참고문헌
색인
|인물과 주제 색인|성경 색인|

저자소개

J. 해롤드 그린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신약 헬라어 교수, 국제 OMS 선교사, 위클리프 성경 번역 선교회의 국제 번역 고문이다. 저서 A Concise Exegetical Grammar of New Testament Greek (William B. Eerdmans Publishing Company 5th edition, 1986) An Exegetical Summary of Titus and Philemon(SIL International 2 edition, 2008) Scribes, Scrolls, and Scripture: A Student's Guide to New Testament Textual Criticism(William B. Eerdmans Publishing Company, 1986) New Testament Greek Morpheme Lexicon(Zondervan, 1983) The Text of the New Testament: From Manuscript to Modern Edition(Baker Academic, 2008)
펼치기
고영렬 (옮긴이)    정보 더보기
침례신학대학교(M.Div., Th. M.) New Orleans Baptist Theological Seminary(Ph. D.) Haggard Center for NT Studies 연구원 역임 아세아연합신학대학교 외래교수 역임 수도침례신학대학교 강사 역임 2012 현, 침례신학대학교 강사 현, 강남중앙침례교회 협동목사
펼치기
장민석 (옮긴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신학과(B. A.) 침례신학대학교 신학대학원(M. Div.) New Orleans Baptist Theological Seminary(Th. M., Ph. D.) 배톤루지한인침례교회 부목사 역임 New Orleans Baptist Theological Seminary 겸임교수 역임 침례신학대학교 신학대학원 강사 도마동침례교회 담임목사
펼치기

책속에서

초기에서부터 여러 헬라어 단모음과 장모음 그리고 이중모음은 비슷한 음가를 가지고 있었다. o|, w|, w, 는 비슷한 발음을 한다. 이타시즘(itacism)으로 알려진 과정을 통해 ai와 e는 같은 e(영어의 짧은 e) 발음을 하고, i, u, h, h|, ei, oi, ui는 영어의 ee같은 발음을 한다. 그리고 거친 숨표는 발음되지 않는다. 잘못 들음에서 오는 오류의 예를 들어보면, 최소한 롬 5:1에서의 이문인 ‘에코멘’(e;comen/e;cwmen), 요일1:4에서의 ‘헤몬/휘몬’(h`mw/n/u`mw/n), 고전 13:3의 ‘카우쎄소마이/카우케소마이’(kauqh,somai/kauch,swmai[태워지다/담대한])등이다.


이문은 매우 이른 시기부터 신약성경 안에 들어왔다. 초기에 필사자는 본문에 작은 수정을 가하는데 주저하지 않았다. 특별히 복음서에 있어서 다른 회람하는 전승들을 따르려는 경향, 병행구절의 내용과 일치 시키려는 시도, 동의어로 대신하려는 시도, 문장 바꿔쓰기, 다른 이문을 만들려는 시도 등이 그들에 의해 이루어졌다.


눅 11:2의 첫 번째 이문은 두 본문을 가지고 있다. ①오직 ‘파테르’ (pater / L arm은 ‘헤몬’[hmwn]을 덧붙임), 그리고 ② ‘파테르 헤몬 호 엔 토이스 우라노이스’(pater hmwn o en toij ouranoij). 내적인 조건을 고려하여, 어떤 본문에서 다른 본문이 나왔는가를 추정해야 한다. 이 원칙은 위에 언급한 이문에서는 중요하다. 만일 긴 본문이라면, 이해의 어려움이나 우연한 생략의 가능성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생략을 위한 뚜렷한 이유가 없다. 다른 한편, 만일 짧은 본문이 원문이라면, 필사자가 누가복음의 주기도문을 마태복음의 주기도문이나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예배시의 기도문과의 조화를 위하여 긴 본문의 단어들을 덧붙였다고 생각할 수 있지 않을까?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