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설교/성경연구
· ISBN : 9788934112471
· 쪽수 : 208쪽
· 출판일 : 2012-12-10
책 소개
목차
추천사 - 바트 D. 에르만, 마이클 홈즈
- 장동수 박사
서문
재판 서문
역자 서문
그림·삽화 목록
제1장 서론
|정의|예비지식|본문 비평에서 신약성경의 위치|본문 비평의 영역|본문 비평의 우선성|
제2장 고문서학(Paleography)
|글의 전달자료|필사도구|서채그이 형태|서체|
제3장 신약성경 본문의 자료들
|헬라어 필사본|번역본|교부들의 인용|
제4장 본문의 전달 과정
|필사 본문의 역사|이문의 유형들|
제5장 인쇄된 본문
|"공인본문"의 형성(1516-1633)|본문증거의 축적(1633-1830)|비평적 본문을 위한 노력(1830-82)|
제6장 비평본문의 시대
|웨스트코트와 홀트 본문 비평이론|텍스투스 리셉투스의 변호|폰 조덴의 역작|지역 본문에 관한 현대이론|헬라어 사본의 번호 체계|헬라어 신약성경의 주요한 현대 편집본들|
제7장 본문 비평의 실제
|본문 비평장치 읽는 법|몇몇 신약 이문에 대한 해결책|
제8장 사본의 비교대조연구와 분류
|사본 비교대조연구를 해야 하는 이유|비교대조연구를 기록하는 법|비교대조연구의 활용|
부록: 자주 사용되는 라틴어 어휘와 뜻
도서목록
참고문헌
색인
|인물과 주제 색인|성경 색인|
책속에서
초기에서부터 여러 헬라어 단모음과 장모음 그리고 이중모음은 비슷한 음가를 가지고 있었다. o|, w|, w, 는 비슷한 발음을 한다. 이타시즘(itacism)으로 알려진 과정을 통해 ai와 e는 같은 e(영어의 짧은 e) 발음을 하고, i, u, h, h|, ei, oi, ui는 영어의 ee같은 발음을 한다. 그리고 거친 숨표는 발음되지 않는다. 잘못 들음에서 오는 오류의 예를 들어보면, 최소한 롬 5:1에서의 이문인 ‘에코멘’(e;comen/e;cwmen), 요일1:4에서의 ‘헤몬/휘몬’(h`mw/n/u`mw/n), 고전 13:3의 ‘카우쎄소마이/카우케소마이’(kauqh,somai/kauch,swmai[태워지다/담대한])등이다.
이문은 매우 이른 시기부터 신약성경 안에 들어왔다. 초기에 필사자는 본문에 작은 수정을 가하는데 주저하지 않았다. 특별히 복음서에 있어서 다른 회람하는 전승들을 따르려는 경향, 병행구절의 내용과 일치 시키려는 시도, 동의어로 대신하려는 시도, 문장 바꿔쓰기, 다른 이문을 만들려는 시도 등이 그들에 의해 이루어졌다.
눅 11:2의 첫 번째 이문은 두 본문을 가지고 있다. ①오직 ‘파테르’ (pater / L arm은 ‘헤몬’[hmwn]을 덧붙임), 그리고 ② ‘파테르 헤몬 호 엔 토이스 우라노이스’(pater hmwn o en toij ouranoij). 내적인 조건을 고려하여, 어떤 본문에서 다른 본문이 나왔는가를 추정해야 한다. 이 원칙은 위에 언급한 이문에서는 중요하다. 만일 긴 본문이라면, 이해의 어려움이나 우연한 생략의 가능성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생략을 위한 뚜렷한 이유가 없다. 다른 한편, 만일 짧은 본문이 원문이라면, 필사자가 누가복음의 주기도문을 마태복음의 주기도문이나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예배시의 기도문과의 조화를 위하여 긴 본문의 단어들을 덧붙였다고 생각할 수 있지 않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