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기독교와 포스트모던 전환

기독교와 포스트모던 전환

(6가지 견해)

마이런 B. 펜너 (지은이), 한상화 (옮긴이)
기독교문서선교회(CLC)
16,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4,400원 -10% 2,500원
800원
16,100원 >
14,400원 -10% 2,500원
카드할인 10%
1,440원
15,46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4개 12,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기독교와 포스트모던 전환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기독교와 포스트모던 전환 (6가지 견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88934112938
· 쪽수 : 400쪽
· 출판일 : 2013-07-25

책 소개

포스트모더니즘 전환에 대해 찬반의 두 극단적 입장을 취하기 이전에 ‘포스트모던’에 대한 개념 통일이 우선 되어야 하고 포스트모더니즘 전환의 현상이 아주 다양하고 복합적이라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는 관점을 가지고 본서를 기획하였다.

목차

추천사 1/ 박찬호 박사 5
추천사 2/ 이승구 박사 7
추천사 3/ 퍼거스 케르 박사 외 5인 9
역자 서문 12
인사말 14
기고자들 16

서론: 기독교와 포스트모던 전환: 예비적 고려들/ 마이런 B. 펜너 19

1부 기독교와 포스트모던 전환

1장 하나님은 하나의 이야기인가? 포스트모더니티와 신학의 과제/ R. 더글라스 가이베트 59
2장 기독교적 포스트모더니즘과 언어적 전환/ R. 스콧 스미스 87
3장 순례자의 이탈: 포스트/모던 방식에 대한 기독교적 사고/ 케빈 J. 밴후저 117
4장 기독교 신앙과 포스트모던 이론: 신학과 비토대주의 전환/ 존 R. 프랭키 173
5장 메타내러티브들에 대한 작은 이야기: 리오타르, 종교 그리고 포스트모더니즘의 재고/ 제임스 K. A. 스미스 203
6장 존재-신학, 메타내러티브, 관점주의 그리고 복음/ 메롤드 웨스트팔 231

2부 응답의 글

7장 포스트모더니즘과 신학적 지식의 추구/ R. 더글라스 가이베트 255
8장 포스트모더니즘과 언어-세계 관계의 우선성/ R. 스콧 스미스 281
9장 과연 용어들에 관한 논쟁인가? 오류 가능한 토대들과 온건한 메타내러티브들/ 케빈 J. 밴후저 305
10장 신학의 본성: 문화, 언어 그리고 진리/ 존 R. 프랭키 329
11장 누가 포스트모더니즘을 두려워 하는가? “바이올라 학파”에 대한 응답/ 제임스 K. A. 스미스 353
12장 이야기들과 언어들에 관하여/ 메롤드 웨스트팔 377

저자소개

마이런 B. 펜너 (지은이)    정보 더보기
영국 University of Edinburgh(Ph.D.) 미국 Hong Kierkegaard Library 연구교수 역임 미국 Liberty University 종교대학원 원장 역임 현, 영국 Prairie College and Graduate School 교
펼치기
한상화 (옮긴이)    정보 더보기
“복음을 사랑하는 신학함”의 자세로 학자의 소임을 감당하는 한상화 박사는 한국교회의 신앙의 유산 속에서 성장하였다. 조국 독립을 위해 헌신한 조부(한석을)와 외조부(김두칠 목사)로부터 민족 사랑의 정신을, 한국선교초기 탄포리 교회에서 재정집사로 섬겼던 조모(이인숙 권사)로부터 여성리더십을, 신여성으로 포용과 내조의 모범을 손수 보여주신 어머니(김애순 권사)로부터 외유내강의 영성을, 선친(한철하 박사)으로부터 예리한 학문적 통찰력과 신앙을 기초로 한 교회와 선교를 위한 신학을 배웠다. 이러한 지성과 영성은 그녀의 시선을 언제나 민족과 교회, 그리고 아세아 복음화와 세계 선교를 위한 상아탑 ACTS에 고정시키게 하였다. 한상화 박사는 중학교 2학년 철야기도 중, 평생 신학의 길에 헌신할 것을 서원하였고, 부친의 학문동지인 조요한 총장이 있었던 숭실대학교 철학과에서 공부하였다(B.A.1984). 이후 복음주의의 산실 ACTS에서 목회학석사(영어과정)에서 세계 유수의 학교로부터 박사학위를 취득한 교수진(한철하, 김기홍, 유광웅, 정규남, 김세윤, 강창희)으로부터 신학을 배웠다. 이후 영국 Cambridge 소재 Westminster College에서 유학하였고, ACTS로 돌아와 학위를 취득하였다(M.Div.1988). 같은 해, 결혼 후 도미(渡美)하여 Philadelphia 소재 Westminster Theological Seminary에 신학석사(Th.M.)과정으로 입학하였으나 교수진으로부터 학문성을 인정받아 이듬해 박사과정(Ph.D.)으로 전과하였다. 1996년 "The Debate Between Gadamer and Habermas Revisited from a Reformed Epistemological Perspective" 학위논문으로 박사학위 취득 후 ACTS에 조직신학 교수로 임용되어 현재까지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다. ACTS 대학원장, 신학대원장을 역임하였으며, ACTS 신학의 심장부인 ACTS 신학연구소에서 2002년 이후 오래도록 서기로 봉사하다가 신학연구소장(2016-17)을 거쳐 현재 한국연구재단 학술지로 선정된 편집위원장으로 섬기고 있다. 한국복음주의신학회, 한국칼빈학회, 한국개혁신학회 등 다수의 학회 활동을 통해 한국 신학 발전에 공헌하였고 제9대 한국복음주의조직신학회장을 역임하였다. 주요저서로는 『하나님 중심으로 신학하기』 와 『포스트모던 사상과 복음주의 신학』, 역서로는 『급진정통주의 신학』과 『기독교와 포스트모던 전환』이 있으며, 다수의 다양한 주제의 논문을 발표하였다. 남한강변 하나님의 아름다운 창조와 섭리를 날마다 느낄 수 있는 양평 칼빈아카데미에서, 평생의 신앙동지이자, 동역자인 남편 김추성 교수(합동신학대학원, 신약학)와 함께 신학의 풍성함을 일구며 지내고 있다. 자녀로는 딸 하은(이스라엘 유학), 아들 하진(캐나다 유학)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간단히 말해서 기독교 지성인과 학자의 임무는 “예수님과 그의 사랑에 관한 오래된 이야기”를 그들의 사회적, 문화적, 언어적 정황 속에 있는 사람들을 위하여 의미 있게 전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이성의 삶은 그것이 신학적이었든 철학적이었든 간에 항상 기독교적 반성에 있어서 중심 요소였다. 비록 신앙과 이성이 서로 어떤 관계에 있는지에 대한 매우 날카로운 대립들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말이다. 기독교 지성에 대한 이러한 비전에는 기독교 철학자와 신학자가 서로 상호 보충적 사명을 가진다는 것이 포함된다. 결과적으로 이 책의 보다 넓은 관심은 철학자들과 신학자들 사이의 학제적인 대화를 촉진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호기심이 아닌 의심이 근본적인 합리적 태도가 되었는데, 그 이유는 의심이야말로 근대적 개인이 속지 않도록 보증하는 수단이라고 여겨졌기 때문이다.36 근대에는 의심할 여지가 없는 지식이 합리적 사고의 목적이자 기준이 되었고, 방법적 회의는 전근대에 진리의 안내자로서 여겨졌던 학문적 권위와 전통(교회)을 순수한 증명과 관찰로 대치시켰다.37 그리하여 합리적 설명은 믿음과 신뢰를 요구하던 전통과 종교를 근대적 회의 대상으로 삼음으로써 그것들의 사슬로부터 해방되었다.


내 생각엔 신학의 사명은 내러티브를 분명히 설명하고 그 내러티브를 삶에 대해 지도를 제작하는 일로 축소시킬 수 없다. 기독교 신학의 사명은 기독교 이야기의 명제적 내용을 최대한으로 분명히 하고 그러한 명제적 내용에 대한 책임 있는 신념들을 위한 합리적 근거들을 분명히 하고 그러한 신학적 설명의 결과들을 현 시대의 인간 실존의 조건들에 관련지어서 세계 속에 기독교인의 행동을 책임성 있고도 효과적이게 하는 것이다. 적절한 기준에 의하여 합리적인 평가를 하는 측면을 제거하는 것은 신학을 순전히 실용적인 작업으로 축소시키는 것이다. 신학에 있어서 새로운 실용주의자들은 기독교적으로 사고하는 것 없이 기독교적으로 행동하는 것이 잘 될 수 있는 것으로 생각하면서 정통교리(ortho-doxy)를 정행(ortho-praxis)으로 대체시킨다. 기독교적으로 사고하는 것이 기독교 이야기를 구성하는 명제들을 믿는 것을 포함한다면, 기독교적 사고는 또한 책임성 있는 신념과 관계되어야만 한다. 기독교인들과 특별히 교회를 위해서 일하는 신학자들은 기독교 이야기에 몰입하기 위해 필수 불가결한 신념들의 인식적 지위를 드러내 보여주기를 추구해야만 한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