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88934113966
· 쪽수 : 816쪽
· 출판일 : 2014-09-30
책 소개
목차
추천사 1 (구제홍 박사: 명지대학교 교수) _ 5
추천사 2 (서명수 박사: 협성대학교 교수) _ 6
추천사 3 (송태근 목사: 삼일교회 담임목사) _ 7
추천사 4 (유진 피터슨 박사: Resent College 명예교수) _ 9
추천사 5 (마크 알란 포웰 박사 외 2명) _ 13
한국어판 서문 _ 21
서문 _ 23
역자 서문 _ 27
도표 목록 _ 30
약어표 _ 32
서론 _ 35
귀납법적 성경 연구의 의미 | 귀납법적 성경 연구에서 강조되고 있는주제들 | 전 이해를 위해 독자에게 당부하는 두 가지 중요한 설명 | 본서의 구성 안내 | 본서 이해에 도움이 되는 제안들
1부 | 이론적 근거 _ 59
1장. 귀납법적 연구 _ 63
귀납법과 연역법의 의미 | 귀납법과 연역법의 본질적 특징들 |귀납법적 추론 논증과 연역법적 추론 논증의 실례 | 귀납법과 연역법 연구에서 신앙공동체의 역할 | 귀납법에 연관된 원칙들
2장. 초관계적(Transjective) 연구 _ 85
성경 연구의 변증법적 속성 | 비평적 사실주의 해석학 | 전제(Presuppositions)의 역할 | 영적 체험
3장. 의도적이고 합리적인 연구 _ 103
성경 연구의 의도성 | 성경 연구의 합리성
4장. 재창조적 연구 _ 111
암시된 저자에 집중하는 것이 중요한 이유 | 암시된 저자들에 집중하는 과정에서 제기된 실제적인 문제들
5장. 직접 연구 _ 125
직접 연구의 중요성 | 일차적인 직접 연구를 강조하는 이유
6장. 포괄적이고 통합적인 연구 _ 131
통합적 접근방법의 기초: 본문의 최종 형태에 집중하라 | 통합적 접근의 중요성
7장. 개인 연구와 공동 연구 _ 137
개별 연구의 특성과 중요성 | 공동 연구의 본질과 중요성
8장. 책에 대한 구성적(compositional) 연구 _ 149
성경의 각 권 연구의 중요성 | 구성적(Compositional) 연구의 중요성
9장. 정경적(canonical) 연구 _ 155
정경적 연구의 기초 | 정경적 연구의 중요성
10장. 융통성 있는 절차에 의한 연구 _ 163
융통성(Flexibility)의 원칙 | 근거, 특징, 그리고 과정
2부 | 관찰과 질문 _ 171
11장. 전체의 관점에서 각 책을 조사하기 _ 179
성경의 각 책에 대한 연구 조사(Book Survey)의 기초 | 책 연구 조사의 성격 | 일반적 자료들을 확인하는 단계 | 서술 구조(Describing Structure) | 해석적 질문 제기 | 핵심 구절들을 설정하기 | 고등비평 자료의 확인 | 유념해야 할 다른 주요 생각들 | 성경 연구 조사의 실행(디모데후서)
12장. 전체의 일부라는 관점에서 각 부분들을 조사하기
(부, 장, 문단) _ 293
전체의 관점에서 각 부분들을 연구 조사하는 단계 | 문단(Segment) 연구 조사의 예(딤후 3:1-4:8) | 실습: 문단 연구 조사
13장. 집중 관찰 _ 321
정밀 관찰 | 정밀 분석 | 실습: 정밀 관찰 | 실습: 정밀 분석
3부 | 답변 또는 해석 _ 355
14장. 질문을 선택하고 전제들을 체계화 하기 _ 357
대답할 질문들을 선택하기 | 선택된 질문들을 대답하고 전제 조건들을 체계화 시키기 | 결론
15장. 전제에서 추론을 도출하기 _ 469
귀납법적 전제에서 추론의 역할 | 가능한 해석적 모델들 | 해석적 통합 | 해석 과정에 관련된 일반적인 제안들
16장. 해석의 실행 _ 487
해석적 오류들 | 해석의 실례(딤후 3:16) | 실습: 해석
4부 | 평가와 적용 _ 541
17장. 평가와 적용에 관한 기술 _ 543
평가 | 적합한 적용(Appropriation)
18장. 평가와 적용의 실행 _ 631
평가와 적용에 관련된 오류들 | 평가와 적용의 실례(딤후 3:16) | 실습 문제: 평가와 적용
5부 | 상관관계(Correlation) _ 649
19장. 상관관계의 특징과 실행 _ 651
상관관계의 기초 | 상관관계에서의 난제 | 상관관계의 중요성 | 상관관계의 유형들
20장. 상관관계의 실행 _ 659
상관관계의 과정 | 상관관계의 오류들 | 상관관계의 실례(딤후 3:15-17) | 연습 문제: 상관관계
후기 _ 693
부록 1: 귀납법과 연역법에 대한 전반적인 토론 _ 695
귀납/연역 모델 | 귀납법/연역법 모델과 귀납법적 성경 연구
부록 2: 현대 해석학적 토론에서의 전제들 _ 709
실존주의적 전이해(Existential Preunderstanding) 묘사 | 실존주의적 전이해에 대한 평가 | 교회론적 전개념(Ecclesial Preconceptions) 묘사 | 교회론적 전개념(Ecclesial Preconceptions) 평가
부록 3: 선택성(Selectivity) _ 737
선택성의 의미와 중요성 | 선택성의 종류들
부록 4: 성경 원어 자료의 사용 _ 743
히브리어 자료들의 사용
부록 5: 귀납법적 성경 연구에서의 비평 방법들 _ 751
비평 방법들이 기여한 공헌들 | 비평 방법들의 한계
부록 6: 논리적 개요 _ 765
논리적 개요 사용 | 논리적 개요 작업을 위한 제안들 | 논리적 개요의 실례
참고문헌 _ 775
색인 _ 803
책속에서
요약의 해석적 중요성은 다음과 같은 3중적 의미가 있다.
첫째, 요약 진술의 선택성(selectivity)은 독자에게 요약되고 있는 자료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 무엇인지를 보여 준다. 암시된 저자는 요약된 진술에서 그가 강조하기를 원하는 자료들을 지정하여 강조된 자료들에 무엇이 포함되어야 하는지를 선택해야만 한다.
둘째, 요약 진술의 기술 방식은 독자가 요약된 자료에서 중요한 요소들을 파악하는 방식을 지칭한다. 요약 진술의 기록자는 자신의 요약을 위해 다양한 어휘들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여러 다른 방식으로 자신의 요약을 구조화할 수 있다. 독자들은 저자가 해석하기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알아내기 위해 용어와 구조에 집중하면서 묘사방식에 주의해야 한다.
셋째, 요약 진술에 연관된 직접적인 문맥은 그 해석적 기능을 완전히 깨닫는데 매우 중요한 요소일 수 있다. 독자들은 요약 진술이 개관하고 있는 자료의 의미에 대한 깊고 예리한 통찰력을 얻기 위한 탐구의 일부로서 요약 진술의 직접적인 배경과 문맥에서 강조되고 있는 것들에 주목해야만 한다.
공동체에 참여하는 것은 사람의 체험적 해석 체계를 형성하는데 많은 영향을 미친다. 그래서 기독교 신앙공동체에서 성장한 인간은 무슬림 신앙공동체에서 자란 사람보다는 실제 현실에 대한 성경의 해석을 더 확신하고 있음을 발견하게 될 것이다. 그러나 비록 공동체의 영향력이 막강하다 할지라도 그것은 결코 절대적인 것은 아니다. 아무튼 실제에 대한 성경 해석의 정당성에 관한 한 사람의 판단 부분은 종교적인 공동체를 포함하여 성경의 비전에 따라 형성하고자 시도한 신앙공동체들 안에서는 그들이 체험한 진정성(authenticity)이 수반되어야 한다.
성경 안에 존재하는 신학적 통일성에 대한 성경적인 암시들이라는 맥락에서 비평 학문은 후기 성경 저자들은 보다 앞선 시대의 성경 전승을 받아들이고 새롭게 변경했다는 사실을 일관되게 주장해 왔다. 따라서 종종 비평 학자들은 성경 전승의 성장에 대해 언급하는데, 이를 통해 그들은 초기 성경 저자들로부터 후기 저자들로 이어지는 근원적인 연속성이 존재함을 지적하려 했다. 이런 통일성에 대한 성경 외적인 자료들의 암시는 특히 성경적인 정경화 발전 과정에 내포되어 있다. 정경화 과정이란 유대교 신앙공동체와 기독교 신앙공동체 모두에서 어떤 책들이 성경에 포함되어야 하고 제외되어야 하는가에 관련된 최종 판단이 내려졌음을 뜻하는 것이다. 그래서 이것은 이런 신앙공동체들이 정경으로 받아들인 책들 사이에 존재하는 어떤 신학적 통일성을 발견했음을 암시한다. 이 공동체들이 신속하게 혹은 쉽게 정경에 대한 최종 판단을 결정한 것은 결코 아니다. 오히려 그들은 수백 년 동안에 거쳐 진행된 분별과 숙고 과정을 통해 최종 판단과 결정에 도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