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성경 연구를 위한 손안의 서재

성경 연구를 위한 손안의 서재

데이비드 R. 바우어 (지은이), 황의무, 왕희광 (옮긴이)
새물결플러스
2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성경 연구를 위한 손안의 서재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성경 연구를 위한 손안의 서재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88994752808
· 쪽수 : 594쪽
· 출판일 : 2014-09-05

책 소개

성경 연구에 도움이 되는 자료들을 소개하는 책, 다시 말해 도서정보를 제공하는 책이다. 제1부에서는 신구약성서 전반에 걸친 자료들을 정기간행물에서 사전류에 이르기까지 세세하게 소개하며, 제2부에서는 구약성서 관련 자료들 특히 주석서들을 소개한다.

목차

서론
1. 성경 전체
2. 구약성서
3. 초기 유대교
4. 신약성서
인명 색인

저자소개

데이비드 R. 바우어 (지은이)    정보 더보기
미국 Spring Arbor University(A.B.) 미국 Asbury Theological Seminary(M.Div.) 미국 Union Theological Seminary in Virginia(Ph.D.) 현, 미국 Asbury Theological Seminary 신약학 교수 저서 Essential Bible Study Tools for Ministry(Abingdon Press, 2014) An Annotated Guide to Biblical Resources for Ministry(Hendrickson Publishers, 2003)
펼치기
황의무 (옮긴이)    정보 더보기
한국외국어대학교에서 공부하고, 고려신학교를 졸업했으며, 현재 상도교회 담임목사로 섬기고 있다. 역서로는 『강한 자 결박하기』, 『여성 전쟁 안식일 노예제도』, 『성품을 빚는 성찬』, 『초기 그리스도인의 육성』, 『과학신학의 탐구』 등 다수가 있다.
펼치기
왕희광 (옮긴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B.A.), 합동신학대학원(M.Div.)을 졸업하고 이스라엘 히브리대학교 성서학과 석사과정을 수료하였으며, 현재 새물결플러스 편집장으로 일하고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1.1.1 Allison, Joe. Swords and Whetstones: A Guide to Christian Bible Study Resources. 3d ed. Nappannee, Ind.: Evangel, 1999. 217pp.
성서학 관련 자료들을 개관하는 동시에, 다양한 종류의 참고자료들을 어떻게 사용할 것인지 알기 쉽게 설명하고 있다. 특히영 어 성경을 선택하는 데 유익한 지침을 제공한다. 극히 제한적인 참고문헌과 함께 간략한 서평을 제공한다. 복음주의 권 독자들을 겨냥하여 보수주의적 관점에서 쓰였다. 자료의 선택과 평가에 있어 공정하고 균형 잡힌 시각을 보여준다.
1.1.2 Bazylinski, Stanislaw. A Guide to Biblical Research: Introductory Notes. Rome: Pontifical Biblical Institute, 2006. 160pp.
본문주해 과제를 작성하는 데 도움이 되는 자료들을 간단한 서평과 함께 열거하였다. 다양한 원어 성경 판본들과 연구를 위한 도구들, 그리고 성구사전이나 문법서, 원어사전 같은 참고자료에 관한 정보를 제공한다. 영어 자료 외에 독일어, 프랑스어, 이탈리아어로 된 저서들도 언급한다. 끝 부분에 문서 양식에 관한 논의와 본문주해 과제 작성에 도움이 되는 실제적인 제안들을 제공한다_1.1 도서목록(제1부. 성경 전체)


1.2.8 The Catholic Biblical Quarterly. 1939-. 계간지.
아마도 성경 전반에 대한 진지한 학문적 연구에 있어 Journal of Biblical Literature(JBL) 다음으로 권위 있는 학술지일 것이다. 워싱턴 D.C. 소재 가톨릭성서협회(Catholic Biblical Association)에서 발행하는 것으로, 여기 실린 논문들은 JBL이 종종 다루는 모호하고 난해한 주제들을 피하는 경향을 보여주는데, 그 대신 중요한 해석상의 질문들에 초점을 맞춘다. 결과적으로 여기 실린 논문들은 설교와 성경 교육에 도움이 되는 신학적 성찰을 위한 바탕을 제공해준다. 사용 언어는 영어이며 도서평은 많은 편이다.
1.2.13 Journal of Biblical Literature. 1881-. 계간지.
조지아 주 애틀랜타에 위치한 성서문학협회(Society of Biblical Literature)에서 발행하는 학술지로, 성서학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정기간행물이라 할 수 있다. 여기에 실린 논문들을 하나같이 최고 수준의 학문적인 기준을 반영할 뿐만 아니라 언제나 독창적인 논문들을 학계에 내놓는다. 일반적으로 성경 텍스트의 신학적인 의미를 밝히지는 않지만 몇몇 논문들은 설교와 성경 교육에 도움이 되는 텍스트 해석을 제공하기도 한다. 하지만 대다수의 논문이 난해하며 텍스트를 교회의 정경으로서 조명하는 것과는 무관한 문제들을 다룬다. 사용 언어는 영어이며 도서평은 싣지 않는다._1.2 정기간행물(제1부. 성경 전체)


2.14.1 Anderson, Bernhard W. Understanding the Old Testament. 4th ed. Upper Saddle River, N.J.: Prentice-Hall, 1998. 635pp. 『구약성서의 이해』, 전2권 (크리스챤다이제스트, 1996).
이 책은 구약개론이라기보다는 구약 전체에 대한 개관서의 성격을 띠고 있다. 하지만 전형적인 개관서에서는 볼 수 없는 전문적인 역사적?해석학적?문예적 논의를 담고 있다. 이스라엘이 민족으로 존재하기 시작하던 시대부터 신약시 대의 문턱에 이르기까지 연대순으로 논의를 전개한다. 역사적?문학적?신학적 관심사를 한데 엮어서 생생하고 읽기 쉬운 문체로 서술해간다. 주류 비평학계 의 신학적 입장을 전제하지만, 보다 최근의 구약 연구서에 비하면 신학적으로 온건한 입장을 취하고 있다.
2.14.2 Brueggemann, Walter, and Tod Linafelt. An Introduction to the Old Testament: The Canon and Christian Imagination. 2d ed. Louisville: Westminster John Knox, 2012. 504pp. 『구약개론』(CLC, 2007).
구약의 각 권에 대한 문학적?역사적?신학적 논제들을 최종적인 정경의 형태 내에서 탐구하되, 교회의 신앙과 삶에 대해 가지는 의미를 중심으로 다룬다. 보다 전통적인 역사비평적 구약 개론서들을 보완한다. 정경 텍스트의 문학적 요소를 정치적?이념적?종교적 배경 내에서 탐구하며, 성경 각 권과 구약 전체가 교회의 정경으로서 갖는 신학적 의미와 문학적 요소들 간의 상호작용을 창의적으로 조망한다. 저자는 이런 창의적인 상호작용이 단지 교회의 신학적 전통을 확증하는 것으로 그치는 것이 아니라 그 전통에 도전을 던지고 확장한다고 주장한다. 현대 교회를 향한 신학적?목회적 의미를 도출하려는 명백한 의도를 갖고 있다.
2.14.3 Childs, Brevard S. Introduction to the Old Testament as Scripture. Philadelphia: Fortress, 1979. 688pp. 『구약정경개론』(대한기독교서회, 2001).
고전적인 작품이며, 두 가지 이유로 20세기 구약신학계에서 대단히 중요한 작품이다. 첫째는 차일즈에게 유명세를 안겨준 구약 연구에서의 정경적 접근법에 대한 설득력 있는 묘사 때문이고, 둘째는 이 책이 정경적 접근법이라는 관점에서 저술된 새로운 형태의 구약 개론서이기 때문이다. 이 책에는 일반적인 개론서에서 다루는 많은 이슈들, 예를 들어 이스라엘의 역사적 발전이나 고고학과 같은 주제들에 대해 거의 관심을 보이지 않는다. 대신에 이 책은 텍스트의 정경적(최종) 형태를 강조할 뿐 아니라, 정경의 배후에 놓인 전승의 역사와 구약 해석의 역사가 정경의 최종 형태와 정경 텍스트의 신학적?목회적 수용을 어떻게 설명할 수 있는지에 관심을 집중한다_2.14 구약개론 (제2부. 구약성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