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88934114345
· 쪽수 : 584쪽
· 출판일 : 2009-08-24
책 소개
목차
추천사 (김성태 박사: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 선교학 교수) / 5
개정증보판 서문 / 11
초판 서문 / 15
제1장 서론: 사도적 접근 선교 모델의 필요성 / 17
1. 교회의 본질로서 선교의 두 구조 / 17
2. 선교의 올바른 것과 잘못된 것 / 21
3. 왜 바울의 방법이어야 하는가? / 23
4. 바울 선교신학 연구의 목적과 가치 / 29
5. 바울 선교신학 연구의 방법과 그 한계 / 32
제2장 바울 사도 선교 시대의 역사적 배경 37
1. 바울 시대의 정치와 역사 / 39
2. 바울 시대의 사회와 문화 / 48
3. 바울 시대의 종교와 철학 / 55
4. 바울 시대의 유대교와 헬레니즘 / 69
5. 바울의 율법과 복음의 관계 해석 / 82
6. 바울 시대의 로마 세계 내에서 초기 기독교의 의미 / 88
7. 바울 사도 시대의 초기 교회 발전사 / 91
8. 소결론 / 94
제3장 바울 사도의 선교 사상 이해 / 101
1. 바울의 생애와 사상적 배경 / 102
2. 바울의 사도권에 대한 변증 / 115
3. 바울 선교에 대한 사도행전 진술의 특징 / 120
4. 바울의 선교 중심의 신학 사상 / 136
5. 소결론 / 149
제4장 바울 선교에서 사도적 교회의 본질 151
1. 구약의 제사장적 교회론 / 156
2. 구약의 선지자적 교회론 / 171
3. 사도적 교회의 기초로서 예수님의 지상명령 / 186
4. 예수님의 지상명령 관점에서 사도적 교회론 / 194
5. 바울의 선교공동체에 나타난 사도적 교회론 / 213
6. 바울의 사도적 교회와 예수님의 지상명령 / 233
7. 소결론 / 234
제5장 바울 선교의 상황화 모델 이해 / 241
1. 상황화의 정의와 모델 / 245
2. 바울 선교의 상황화 필요성 / 266
3. 바울 선교의 상황화 원리 / 278
4. 바울 선교의 상황화 실제 / 286
5. 바울의 선교에 나타난 상황화의 모델 / 299
6. 바울의 상황화와 예수님의 지상명령 / 312
7. 소결론 / 313
제6장 바울 선교의 리더십 개발 모델 이해 / 317
1. 리더십 개발의 정의, 유형, 모델 / 320
2. 바울 선교에서 리더십 개발의 기본적인 패턴 / 335
3. 바울 선교에서 리더십 개발의 원리 / 344
4. 바울 선교에서 리더십 개발의 실제 / 350
5. 바울의 선교공동체에 나타난 리더십 개발의 모델 / 361
6. 바울의 리더십 개발과 예수님의 지상명령 370
7. 소결론 / 372
제7장 바울 선교신학의 현대 적용 가능성 / 377
1. 현대 선교의 신학적 이슈 / 378
2. 현대 선교의 적용 과제 / 394
3. 현대를 위한 바울 선교의 적절성 / 410
4. 소결론 / 411
제8장 결론: 한국 선교신학의 미래 / 415
1. 요약 / 416
2. 과제 / 419
부록 1 / 개혁주의 선교신학의 역할과 과제 423
부록 2 / 단기선교의 전략적 교육과 훈련이 요청되는 오늘의 한국 교회 457
부록 3 / 오늘날 복음전도와 사회참여의 관계에 대한 연구 493
참고문헌 / 527
주제 색인 / 567
저자소개
책속에서
바울의 선교신학 연구 방법은 선교 실천에 큰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세계 교회가 선교 현장에서 난관에 봉착한 가장 큰 이슈는 두 가지이다. 창의적 접근 지역과 타종교 지역에 복음을 어떻게 상황화 할 것인가 하는 것이며 또 하나는 리더십 개발의 과제이다. 리더십 개발의 과제는 선교지의 신생교회에서 리더십 개발과 이미 복음화 된 지역의 성장한 교회의 다음 세대 리더십 개발이 중요하다.
바울의 이방인 선교에 직접적으로 관계된 황제는 7명으로 요약할 수 있다. 아우구스투스는 초기 기독교를 위해 중요한 공헌을 했다. 평화 정착, 경제적 번영, 향상된 의사소통, 안정된 정부, 그리고 개혁적 분위기를 만들었다. 이 시기에 예수님과 바울이 출생했고 인구 조사도 이때 이루어졌다. 이때 로마 황제 숭배 사상이 태동되었다. 황제 숭배 사상은 훗날 바울이 로마 세계에 복음을 전할 때 가장 큰 박해의 원인이 되었다. 티베리우스 황제 때는 예수님의 공생애와 십자가와 부활의 사건이 있었고 오순절 성령 강림과 스데반의 순교, 바울의 회심이 있었다.
바울의 리더십 개발의 유형은 이렇게 다양하다. 이것은 바울이 한 가지 방법을 모든 지역에 동일하게 적용한 것이 아니라 지상명령을 수행하기 위한 전략으로서 리더십 개발을 상황화한 결과라고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