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가톨릭 > 가톨릭 신앙생활
· ISBN : 9788971083970
· 쪽수 : 376쪽
· 출판일 : 2025-06-29
목차
옮긴이 故 김형수를 그리면서 _9
서문 13
I 인식론 23
1 철학이란 무엇인가? _27
2 철학은 무엇에 좋은가? _30
3 철학을 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무엇인가? _33
4 철학은 어디서 시작해야 하는가? _37
5 객관적인 진리는 존재하는가? _43
6 우리는 그저 이성을 믿어야 하는가,
아니면 이성이 신뢰할 만하다는 것을 이성을 통해 입증할 수 있는가? _47
7 철학적 이성과 종교적 신앙은 본래 적대관계인가, 아니면 동맹인가? _51
8 진리에 대한 인식은 그 자체로 목적인가? _54
9 인간의 삶은 어떻게 작동하는가? _58
10 자기 인식은 어떻게 가능한가? _63
11 이성을 초월하는 어떤 지식이 존재하는가? _68
12 인간의 이성으로 신을 알 수 있는가? _72
II 형이상학
13 존재란 무엇인가? _81
14 존재는 하나인가, 여럿인가? _87
15 보편적인 것은 실재하는 것인가? _93
16 본질은 실재하는 것인가? _99
17 실체는 실재하는 것인가? _103
18 범주는 실재하는 것인가? _106
19 정신은 실재하는 것인가? _109
20 변화는 자기모순적인가? 어떻게 같은 것이 달라질 수 있는가? _115
21 실재하는 것은 서로 정도가 다른가? _119
22 형이상학과 윤리학은 어떤 관련이 있는가? _123
III 특수 형이상학-우주론
23 인간은 자연과 어떤 관계가 있는가? _132
24 인과관계는 실재하는 것인가? _136
25 네 가지 종류의 원인은 존재하는가? _140
26 목적적 원인(목적론)은 실재하는 것인가? _143
27 시간은 실재하는 것인가? _149
28 위계는 실재하는 것인가? _155
29 진화는 실재하는 것인가? _160
30 시간 여행은 가능한가? _163
31 자연의 일관된 형태를 어떻게 입증할 수 있는가? _168
32 우주는 생각과 무관하게 독립적으로 실재하는가? _172
IV 특수형이상학-신
33 신은 실재하는 것인가? _181
34 신은 무엇인가? 신은 누구인가? _186
35 우리는 신을 어떻게 알 수 있는가? _192
36 신이 존재한다면, 왜 악이 있는가?_196
37 신과 시간은 어떤 관계가 있는가?_200
38 자유의지와 신의 섭리는 조화될 수 있는가?_204
39 신은 무로부터 어떤 것을 창조할 수 있는가?_208
40 신은 논리를 초월하는가?_212
41 삼위일체 개념은 자기모순적인가?_216
42 왜 유신론이 범신론이나 이신론보다 더 이성적인가?_220
V 철학적 인간학
43 영혼은 무엇인가?_230
44 지성과 의지 중 무엇이 우선적인가?_233
45 우리에게 자유의지가 있는가?_237
46 감정의 역할은 무엇인가?_241
47 성, 결혼, 가정의 의미와 중요성은 무엇인가?_247
48 인류는 선한가, 악한가?_250
49 우리를 악하게 만드는 것은 무엇인가?_254
50 행복은 무엇이며, 우리는 행복을 어떻게 얻을 수 있는가?_261
51 영혼은 불멸하는가?_264
52 죽음에서는 무슨 일이 일어나는가?_268
VI 일반 윤리학
53 윤리학은 종교에 의존하는가?
54 형이상학에, 인간의 철학에 의존하는가?_277
55 가장 중요한 윤리적 덕은 무엇인가?_281
도덕성은 객관적이고 발견되는 것인가,
아니면 주관적이고 고안되는 것인가?_285
56 천부적이고 양도할 수 없는 권리가 있는가?_290
57 각각의 인격은 본질적인 목적인가?_296
58 목적이 수단을 정당화하는가? (공리주의)_299
59 인간의 행위를 윤리적으로 선하거나 악하게 만드는 것은 무엇인가?_302
60 덕은 인간을 행복하게 만드는가?_305
61 양심은 무엇인가?_308
62 모든 윤리적 규칙에는 예외가 없는가?_311
VII 사회 윤리와 정치 윤리
63 국가는 자연적인 것인가 인공적인 것(“사회 계약”)인가?_317
64 이상적인 국가는 무엇인가?_322
65 국가는 인간과 인간의 삶에 대한 공적이고 대중적인 철학을 필요로 하는가?_326
66 교회와 국가는 분리되어야 하는가?_330
67 민주주의는 본질적으로 최상의 정부 형태인가?_336
68 자유는 본질적으로 선한 것인가?_340
69 “보수주의자"와 "자유주의자"는 왜 존재하는가?_343
70 연대성과 보조성, 공동선과 개인의 선을 어떻게 조화시킬 것인가?_348
71 처벌의 목적은 무엇인가?_352
72 전쟁은 항상 정당한가?_357
부록: 기타 철학적 물음들 363
학문적이지 않은 후기 365
옮긴이의 말_3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