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88934114369
· 쪽수 : 264쪽
· 출판일 : 2015-03-20
책 소개
목차
들어가는 말 / 5
제1장 르네상스 인문주의 운동과 스위스 종교개혁 / 11
제2장 칼빈 신학과 16세기 프랑스 인문주의 / 43
제3장 구원에 이르는 믿음 / 67
제4장 하나님 형상 회복으로서의 구원 / 87
제5장 하나님 나라의 표징으로서의 교회 / 109
제6장 공정사회를 이루기 위한 교회의 책임 / 131
제7장 성경적 관점에서 본 경제적 빈곤 / 159
제8장 주 되심의 영성 / 183
제9장 평화의 신학 / 205
제10장 21세기 기독교 사역의 방향 / 225
맺는말 / 255
저자소개
책속에서
르네상스 인문주의는 사람이 가진 세속적 관심을 중요하게 여겼다. 중세 사람들은 본성에 따르는 세속적 행위에 대하여 죄의식을 가졌을 뿐만 아니라 그 죄의식을 탈피하지 못하였다. 하지만 르네상스 인문주의는 이러한 죄의식과 자신의 욕구를 억제하는 것으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뜻하였다.
칼빈은 인류의 역사를 죄인을 구원하는 하나님의 주권적 드라마로 본다. 이 드라마의 관점에서 볼 때, 비참한 상태에 놓여 있는 인간은 하나님의 사랑과 은혜의 대상이다. 이러한 자기 이해는 곧바로 하나님이 그러한 사랑과 은혜를 베푸는 분이라는 것을 받아들이게 하고 그 하나님께 감사와 영광을 나타내며, 한 걸음 나아가, 그 하나님의 뜻에 따라 살게 한다.
그리스도의 주 되심은 사람이 자신을 구속의 주라고 고백할 뿐만 아니라 모든 삶의 영역에서 그의 구속적 다스림을 역동적으로 받아가도록 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뜻에서 그리스도의 주 되심은 그 본질적 성격이 구속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