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의 이해
· ISBN : 9788934114468
· 쪽수 : 338쪽
· 출판일 : 2015-04-30
책 소개
목차
저자에 대한 추천사 / 7
책에 대한 추천사 / 11
저자 서문 / 24
Part Ⅰ 청교도 책을 읽어야 하는 이유 / 27
1. 지상에서 살았던 영적 거인 / 28
2. 영혼의 의사 / 29
3. 성경의 조력자 / 29
4. 하나님을 아는 지식을 위해 / 30
5. 성경적 신앙 형성을 위해 / 30
6. 우리 마음을 알기 위해 / 31
7. 바른 분별력을 갖기 위해 / 32
8. 균형 잡힌 신앙을 위해 / 32
9. 생각하는 신앙을 위해 / 33
10. 그리스도를 바라보기 위해 / 34
Part Ⅱ _ 서평: 청교도 도서 안내 / 35
1. 알렉산더 스멜리, 『로버트 맥체인』 / 36
2. 로버트 맥체인, 『회복과 부흥』 / 40
3. 마틴 로이드 존스, 『교회 부흥의 원동력』 / 42
4. 마틴 로이드 존스, 『세상의 유일한 희망』 / 45
5. 마틴 로이드 존스, 『복음주의란 무엇인가』 / 47
6. 마틴 로이드 존스, 『목사와 설교』 / 49
7. 마틴 로이드 존스, 『전도 설교』 / 56
8. 마틴 로이드 존스, 『로마서 강해 1권』 / 60
9. 마틴 로이드 존스, 『로마서 강해 2권』 / 62
10. 마틴 로이드 존스, 『로마서 강해 7권』 / 64
11. 마틴 로이드 존스, 『회개』 / 65
12. 마틴 로이드 존스, 『산상설교집 상권』 / 66
13. 마틴 로이드 존스, 『너희는 마음에 근심하지 말라』 / 70
14. 마틴 로이드 존스, 『성령의 주권적 사역』 / 71
15. 마틴 로이드 존스, 『하나님 앞에 사는 즐거움』 / 72
16. 이안 머레이, 『마틴 로이드 존스의 초기 40년』 / 73
17. 이안 머레이, 『로이드 존스 평전 2』 / 104
18. 이안 머레이, 『아더 핑크』 / 107
19. 호라티우스 보나르, 『영원한 의』 / 110
20. 호라티우스 보나르, 『영혼을 인도하는 이들에게 주는 글』 / 114
21. 호라티우스 보나르, 『복음의 진수로 나아가라』 / 118
22. 매튜 헨리, 『하나님과 함께하는 하루』 / 120
23. 매튜 헨리, 『매튜 헨리의 기도』 / 124
24. 래리 J. 마이클, 『스펄전의 리더십』 / 126
25. 찰스 스펄전, 『구약인물 설교』 / 133
26. 찰스 스펄전, 『영혼 인도자에게 전하는 글』 / 135
27. 찰스 스펄전, 『회심을 위한 불같은 외침』 / 140
28. 조지 휫필드, 『조지 휫필드의 일기』 / 142
29. 조지 휫필드, 『시험 당하는 자를 도우시는 그리스도』 / 145
30. N. B. 스톤하우스, 『메이첸의 생애와 사상』 / 147
31. 새뮤얼 러더퍼드, 『새뮤얼 러더퍼드 서한집』 / 149
32. I. D. E. 토마스, 『청교도 명언집』 / 164
33. 리차드 십스, 『요시야의 개혁』 / 170
34. 리차드 십스, 『꺼져가는 심지와 상한 갈대의 회복』 / 172
35. 랄프 G. 턴불, 돈 키슬러, 『영혼의 위로』 / 182
36. 조나단 에드워즈, 『진노한 하나님의 손에 붙들린 죄인들』 / 185
37. 조나단 에드워즈, 『천지 창조의 목적』 / 187
38. 조나단 에드워즈, 『성령의 역사 분별 방법』 / 189
39. 조나단 에드워즈, 『구속 사역을 통해 영광 받으시는 하나님』 / 191
40. 백금산 편, 『조나단 에드워즈처럼 살 수는 없을까』 / 193
41. 양낙흥, 『조나단 에드워즈 생애와 사상』 / 194
42. 에드나 거스너, 『조나단 에드워즈가 사랑한 사람들』 / 210
43. 파울 슈레켄바흐, 프란츠 노에베르트, 『마르틴 루터』 / 211
44. 롤란드 베이턴, 『마르틴 루터의 생애』 / 215
45. 브루스 비클, 『복음과 청교도 설교』 / 219
46. 토마스 빈센트, 『성경 소요리문답 해설』 / 222
47. 알드레드 괼러, 『칼빈의 성화론』 / 223
48. 엘레 파브르, 『성령의 신학자 존 칼빈』 / 225
49. 존 칼빈, 『기독교 강요 하』 / 227
50. 존 칼빈, 『칼빈의 신앙교육서』 / 230
51. 스테판 차녹, 『당신의 거듭남 확실합니까』 / 232
52. 오바댜 세즈윅, 『하나님의 백성들의 은밀한 죄와 거룩』 / 234
53. 리차드 백스터, 『하나님의 가정』 / 235
54. 리차드 백스터, 『회심』 / 238
55. 아서 베넷, 『영혼을 일깨우는 기도』 / 240
56. 존 번연, 『천로역정』 / 242
57. 존 번연, 『지옥역정』 / 243
58. 토마스 왓슨, 『경건을 열망하라』 / 244
59. 토마스 왓슨, 『회개』 / 245
60. 토마스 왓슨, 『토마스 왓슨의 묵상』 / 246
61. 휴 마틴, 『갈보리의 그림자』 / 247
62. 존 에인절 제임스, 『구원을 열망하는 자들을 위하여』 / 248
63. 존 에인절 제임스, 『하나님의 열심을 품은 간절 목회』 / 250
64. 찰스 브리지스, 『청교도 목회학』 / 254
65. 옥타비우스 윈슬로우, 『그리스도인이 누리는 보배로운 선물』 / 260
66. 존 캐릭, 『레토릭 설교』 / 261
67. 제임스 W. 알렉산더, 『가정 예배는 복의 근원입니다』 / 263
68. 제레미야 버러즈, 『예배의 타겟을 복음에 맞추라』 / 264
69. 가트 린, 『윌버포스』 / 266
70. 존 폭스, 『기독교 순교사화』 / 267
71. 헨리 존슨, 『부흥운동 이야기』 / 269
72. 토마스 두리틀, 『그리스도를 사랑해야 하는 이유』 / 271
73. 오덕교, 『청교도 이야기』 / 272
74. 오덕교, 『언덕 위의 도시』 / 274
75. 헤르만 바빙크, 『개혁교의학 개요』 / 276
76. 조엘 비키, 『영적 침체에서 벗어나는 길』 / 278
77. 조엘 비키, 『청교도 전도』 / 280
78. 존 맥아더, 『하나님, 기도를 가르쳐 주세요』 / 283
79. 페이스 쿡, 『보이지 않은 것을 보았기에』 / 285
80. 제임스 더럼, 『주님 안에서 죽는 사람은 복이 있다』 / 290
81. 레오나드 레이븐힐, 『부흥의 세대여, 통곡하라』 / 291
82. 폴 워셔, 『회심』 / 293
83. 앤드류 톰슨, 『언약의 사람 토마스 보스톤』 / 296
84. 토마스 보스톤, 『내 몫에 태인 십자가』 / 298
85. J. C. 라일, 『18세기 영국의 영적 거성들』 / 300
86.에롤 헐스, 『청교도는 누구인가?』 / 302
87. 제프 토머스 외, 『목회자의 능력』 / 304
88. 마이클 호튼, 『미국제 복음주의를 경계하라』 / 305
89. 솔로몬 스토다드, 『그리스도께로 가는 길』 / 307
90. 루이스 베일리, 『청교도에게 배우는 경건』 / 309
91. 존 오웬, 『성도의 견인』 / 312
92. 존 파이퍼, 『지상에서 가장 큰 기쁨』 / 315
93. 게할더스 보스, 『하나님 나라와 교회, 은혜와 영광』 / 320
94. 김홍만, 『구원의 길로 인도하는 해설 천로역정』 / 323
95. 김홍만, 『청교도 열전』 / 324
Part Ⅲ 한국 교회와 청교도 / 325
96. 김홍만, 『초기 한국 장로교회의 청교도 신학』 / 326
97. 김홍만, 『개혁 신앙으로 돌아가라』 / 327
98. 윌리엄 블레어, 『찬성의 고백』 / 328
99. 손동희, 『나의 아버지 손양원 목사』 / 330
100. 서영일, 『박윤선의 개혁신학 연구』 / 333 Conte
저자소개
책속에서
청교도는 교회사 속에서 존재하는 가장 성경적인 사람들이었다. 그들은 삶의 모든 것을 성경적 원리로 인도받기를 원했다. 청교도는 확실히 우리들의 영혼에 무엇인가 긍정적인 도움을 주는 사람들이다. 청교도는 신행일치의 삶을 살았던 사람들로서, 교회사의 걸출한 설교자나 신학자를 보면 모두들 공통점이 청교도에게서 영향을 받았고, 청교도를 사랑했다.
로이드 존스는 당시의 상황 속에서 ‘복음적인’이라는 단어의 의미를 재발견해야 한다고 말한다. 그 용어를 다시 규정하고, 그것을 위해서 싸우고 변증할 채비를 갖춰야 한다는 것이다. 그는 우리가 한때 복음적이라고 말했기 때문에 우리가 지금도 여전히 복음적이고, 앞으로도 항상 복음적일 것이라고 단정하는 것은 신약성경의 가르침을 잘못 이해하는 것일 뿐 아니라, 역사가 그렇게 분명하게 가르쳐 주는 위대한 교훈들을 이해하거나 포착하는 데 전적으로 실패하는 것이라고 말한다.
이안 머레이는 조나단 에드워즈에 대한 가치 있는 전기를 쓴 작가 로서, 아더 핑크(1886-1952)의 생애는 우리의 관심을 끈다. 그의 사후 에 그의 저작들이 새롭게 조명되어 많은 사랑을 받았다. 그의 저작들은 선명한 복음 진리로 특별한 가치를 지닌다. 이 책에 서 저자는 핑크의 생애를 밀도 있게 잘 다뤄 독자에게 핑크에 대한 이 해를 돕는다. 핑크는 꾸준히 「성경 연구지」(Studies in the Scriptures)를 발간했다. 그의 아내가 사역을 많이 도왔다. 그의 『하나님의 주권』(The Sovereignty of God, 요단)을 보면 구원에 있어서 하나님의 절대적인 주권 을 강조하면서도 사람의 책임과 의무에 대해 균형 잡힌 강조를 한다. 로이드 존스도 핑크의 성경 연구지의 애독자였다. 핑크는 옛 청교도의 글을 복원하는 작업을 성실히 수행했다. 다음 과 같은 말에서 그의 평생의 사역에 대한 태도를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