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상담/치유
· ISBN : 9788934114475
· 쪽수 : 896쪽
· 출판일 : 2015-04-30
책 소개
목차
추천사 1 (전요섭 박사, 성결대학교 교수) / 5
추천사 2 (김정선 박사, 정선심리상담클리닉 원장) / 7
저자 소개 9
저자 서문 / 11
역자 서문 / 19
머리말 / 21
제1부 가족과 가족의 역동 이해하기 / 29
1장 개인과 가족의 삶의 주기 / 31
2장 건강한 순기능 가족과 역기능 가족 / 77
3장 다문화 가족과 함께 일하기 / 117
4장 한부모 가족과 함께 일하기 / 161
5장 혼합 가족과 함께 일하기 / 197
제2부 가족치료의 역사와 치료 방법들 / 231
6장 가족치료의 역사 / 233
7장 가족치료의 과정 / 273
8장 부부 및 결혼치료와 향상 / 325
9장 정신역동과 보웬 가족치료 / 375
10장 경험주의적 가족치료 / 421
11장 행동주의적 및 인지-행동주의적 가족치료 / 461
12장 구조적 가족치료 / 501
13장 전략적 가족치료 / 531
14장 해결중심 및 이야기 가족치료 / 557
제3부 가족치료의 전문이슈와 임상연구 / 599
15장 가족치료의 윤리적, 법적, 전문기술적 이슈들 / 601
16장 물질관련 장애, 가족폭력, 아동학대 / 649
17장 가족치료 임상연구와 평가 / 685
부록 A AAMFT 윤리 규정 / 719
부록 B 결혼/가족상담사국제협회 윤리 규정 / 733
용어 해설 / 749
참고 문헌 / 835
색인 / 881
책속에서
가족치료를 행하는 한 가지 이유는, 대부분의 삶의 어려움은 가족 속에서 일어나기 때문에, 가족 속에서 가장 잘 언급된다는 믿음 때문이다. 가족은 가족 구성원에게 유익을 끼치거나 저해할 수 있는 강력한 힘을 가졌다고 여겨진다. 가족 구성원들 사이엔 뗄레야 뗄수 없는 상호 관련성이 존재하기에, 가족 구성원들의 행동들은 각 개인과 가족 전체의 건강과 역기능에 영향을 미친다.
다문화 가족의 또 다른 어려움은 외모에 있다. 가족 구성원 중에 어떤 사람들은 특이한 피부 색깔이나 체격, 혹은 복장으로 눈에 띌 수 있으므로, 그들은 은연중 혹은 분명한 편견과 차별에 대해 지속적으로 직면하여 다룰 수 있어야 한다.
한부모 가족과 일하는 가족치료사의 역할은 다른 가족을 돕는 역할과 비슷하다. 가족치료사들은 가족경계, 지위체계와 응집력/독자성과 관련된 이슈들을 다루어 주어야 한다. 그러나 한부모 가족을 만날 때 분명하거나 은연중에 보이는 다른 점들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