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 일반
· ISBN : 9788934115021
· 쪽수 : 480쪽
· 출판일 : 2015-12-01
책 소개
목차
추천사 1 김의경 박사(WMTC연합선교회 대표회장ㆍ서울중앙교회 담임목사) / 28
추천사 2 주승중 박사(전, 장로회신학대학교 교수ㆍ주안장로교회 위임목사) / 30
저자 서문 / 32
제1장 이스라엘 일반
1. 독립 42 / 2 .인구 43 / 3. 종교 43 / 4. 위치 44 / 5. 면적 44 / 6. 기후 45 / 7. 정치 46 / 8. 경제 47 / 9. 사회와 문화 48 / 10. 교육 49 / 11. 군사 50 / 12. 지형 51 / 13. 중동 전쟁 55 / 14. 이스라엘 절기 59 / 15. 랍비 문학 72 / 16. 유대인 성인식 75 / 화보 78
제2장 유대
1. 예루살렘 82 / 2. 베들레헴 206 / 화보 220
제3장 갈릴리
1. 갈릴리 224 / 2. 나사렛 278 / 3. 가나 289/ 4. 다볼 산(변화 산) 294 / 5. 하롯 샘 299 / 6. 므깃도 304 / 화보 310
제4장 쉐펠라
1. 아얄론 골짜기 313 / 2. 엠마오 니코폴리스 318 / 3. 소렉 골짜기 322 / 4. 텔 벧세메스 327 / 5. 엘라 골짜기 331 / 6. 벧 구브린-마레사 335 / 7. 라기스 341 / 화보 346
제5장 해안 평야
1. 갈멜 산 350 / 2. 하이파 356 / 3. 텔아비브-욥바 360 / 4. 가이사랴 367 / 5. 악고 375 / 화보 380
제6장 동부 계곡 지대
1. 요단 강 384 / 2. 벧산 388 / 3. 여리고 395 / 4. 텔 여리고 397 / 5. 시험 산 400 / 6. 삭개오의 돌무화과나무 402 / 7. 엘리사 샘 404 / 8. 사해 406 / 9. 쿰란 409 / 10. 엔게디 413 / 11. 마사다 417 / 12. 소돔 산 422 / 화보 426
제7장 네게브
1. 브엘세바 430 / 2. 텔 아라드 435 / 3. 에일랏 441 / 화보 448
제8장 이스라엘과 선교
1. 이스라엘의 회복 452 / 2. 복음의 회귀 459 / 3. 맺는말 463 / 화보 470
부록
1. 구약 시대의 이스라엘 지도 475 / 2. 이스라엘 12지파 땅 분배 지도 476 / 3. 신약 시대의 이스라엘 지도 477 / 4. 현대 이스라엘 전도 478 / 5. 현대 중동 지도 479
저자소개
책속에서
예루살렘은 기독교, 유대교, 이슬람교 세계 3대 종교의 성지이다. 기독교인에게는 예수 그리스도의 대속의 죽음과 부활, 성경의 땅이며, 유대인에게는 성전 산의 서쪽 벽이 60m 가량 남아 있고, 무슬림들은 성전 산(모리아 산) 바위에서 마호메트가 승천했다고 믿고 있으며 메카, 메디나에 이어 이슬람 제3의 성지로 여기고 있다. 그러므로 전 세계 인구의 절반 이상의 성지가 되는 것이다.
선고교회에서 서쪽으로 약간만 가면 에케호모교회(The Church of Ecce Homo)가 있다. 이 교회는 시온 수녀원에서 관리하고 있으며 안토니아 요새의 북쪽 부분에 해당되는 곳이다. 라틴어로 에케 호모는 ‘보라 이 사람이로다’(Here is the man)라는 뜻으로 빌라도가 채찍질과 조롱을 받으시고 나오시는 예수님을 가리켜 한 말이다(요 19:5). A.D. 135년에 로마 황제 하드리안은 이곳에 세 개의 아치로 된 개선문을 만들었는데 중앙의 큰 아치는 일반도로 위에 있고 작은 아치 하나는 에케호모교회 지하 예배당에 있다.
A.D. 1993년 7월 21일에 텔 단의 한 발굴자는 성문 밖 광장의 낮은 돌담을 파헤치던 중 검정색의 길이 32cm, 폭 22cm 크기의 석비(비문) 조각 하나를 발견하게 된다. 이 비문에는 고대 아람어로 쓰인 총 13줄의 내용이 기록되어 있었다. 약 1년 후인 A.D. 1994년 6월 두 개의 작은 비문 조각이 더 발견되어서 텔 단에서 발견된 석비 조각은 모두 세 개 이다. 이 내용을 해석해 보면 이름을 밝히지 않은 아람의 한 왕이 이스라엘 왕을 죽이고 다윗 왕가를 무너뜨린 내용을 담고 있다. 이 비문의 아홉 번째 줄에 ‘베이트 다비드’ 즉 ‘다윗 왕조’ 라는 단어가 매우 중요한데 그것은 구약 성경외의 기록에서 처음으로 다윗이라는 이름이 나타났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