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선교/전도
· ISBN : 9788934115892
· 쪽수 : 360쪽
· 출판일 : 2016-10-31
책 소개
목차
추천사 1 최은성 목사(서울은현교회 담임, 인도 선교네트워크 대표) 4
추천사 2 김한성 박사(아세아연합신학대학교 교수, 선교영어학) 6
추천사 3 임희모 박사(한일장신대학교 명예교수, 선교학) 8
저자 서문 14
제1부 힌두에게 호소력 있는 기독교 메시지 18
1장 안에서 보는 힌두교 21
2장 인도 박띠(Bhakti) 신앙에 대한 개혁주의 선교적 접근 29
3장 힌두교에 대한 선교사 메시지 54
제2부 전통적 선교에 대한 반성 106
1장 한국 교회 인도 선교 33년과 다음 세대의 과제 109
2장 한국 교회의 인도 선교 패러다임 전환 142
3장 총체적 관점에서 보는 윌리엄 캐리의 인도 선교 재평가 164
4장 힌두 민족주의: 박해와 기독교 선교 183
제3부 인도인의 필요를 채우며 인도 문화에 적합한 선교 방식 210
1장 라젠드라 다스의 힌두 선교와 한국인 선교사의 과제 213
2장 인도의 블루 오션, 도시 중산층 선교 방법론 227
3장 구루 쉬쉬야 관점에서 본 인도인 제자 양성 방법 249
4장 힌두 선교와 예수 박타(Yeshu Bhakta) 모델 276
제4부 카스트 힌두에 적합한 인도 선교신학 302
1장 인도 선교에 있어서 로고스신학의 역할 305
2장 상층 카스트 선교에 유용한 성취신학 321
참고문헌 343
저자소개
책속에서
힌두교 사상과 신앙을 이해할 때 주의할 점은 힌두교를 기독교와 같이 단일한 교리와 체계를 갖춘 하나의 종교로 보아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원래 힌두교란 말은 페르시아인과 그리스인들이 인더스 강 너머에 사는 사람들의 종교를 총칭해서 붙인 말이다. 그래서 인더스 강 너머에 사는 사람들은 범신론 신앙만 가진 것이 아니라 일신론자도 있고 무신론자도 있는데 이들 모두가 같은 힌두로 불리는 같은 인도 사람들인 것이다. -p. 34
기본적으로 힌두교는 자연으로부터 시작하였기 때문에 타락한 인간의 저등한 본성(a lower nature)을 따르는 것이 많이 있어 많은 부분에서 비진리를 수용하게 되었다고 말했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슬레이터는 힌두교가 인도인들이 복음을 영접하는 데 희미하지만 등불과 증거자의 역할을 한다고 보았다. 힌두교는 기독교의 그림자이며, 계시의 예표, 진리의 씨, 구속의 약속, 무의식적 예언 등으로 묘사되었다 ?p. 91
이런 배경으로 상층 카스트에 투자하는 만큼 열매가 거의 맺혀지지 않고, 반면에 하층 카스트 가운데는 전도도 안 했는데 자발적으로 찾아와 세례를 요청하는 일이 벌어지고, 얼마 후 현지 전도자들을 통해 하층민 가운데 대량개종운동이 빈번하게 일어나게 되었다. 당시 유럽 선교사 가운데 대학교육을 받은 상층 배경의 선교사가 많지 않던 시대였기 때문에 대다수 선교사들은 카스트 사회에서 차별당하고 학대받는 하층민을 돕는 일에 마음이 끌렸을 뿐만 아니라, 사역하기 쉽고 많은 열매를 맺을 수 있었기 때문에 19세기 말과 20세기 초부터는 대부분의 선교 자원이 하층민에게 집중되기 시작하였다. -p. 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