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신학 교육 개혁과 교회 갱신

신학 교육 개혁과 교회 갱신

박정근 (지은이)
기독교문서선교회(CLC)
1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0,800원 -10% 2,500원
600원
12,7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5개 8,4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신학 교육 개혁과 교회 갱신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신학 교육 개혁과 교회 갱신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88934117179
· 쪽수 : 224쪽
· 출판일 : 2017-09-30

책 소개

한국 교회의 문제는 곧 신학 교육에 있다고 말한다. 먼저 신학 교육의 흐름을 유럽 교회사를 중심으로 역사적으로 살펴보고 오늘날 한국의 신학교 교육의 문제점과 그것이 왜 목회자의 문제로 연결되는지를 말한다. 그리고 한국의 신학교와 신학 교육의 개선을 위한 방향성을 제시한다.

목차

저자 서문 _5

1장 신학과 신학 교육의 흐름-유럽 교회사를 중심으로 _12

1. 중세까지 _13
1) 고대 교회 13
2) 수도원적 전통 15
3) 대학의 설립 22
4) 대학에서의 이성 29
5) 대학에서의 신학 교육 내용 30
6) 수도원적 전통과 대학의 차이 33
7) 신학 교육에 관한 문제 인식 36

2. 종교개혁의 시대 _40
1) 스콜라 신학에서 성서신학으로 40
2) 신학 교육의 방법 46
3) 성서 고전어에 기초한 성서 연구 그러나 아직 드러나지 않는 신학의 분과들 51
4) 개신교 원리로서의 성서의 권위 55
5) 교리와 삶의 이해에서 나타나는 루터교와 칼빈주의의 차이 57
6) 제네바 아카데미 60

3. 근대 _64
1) 정통주의 66
2) 경건주의와 청교도주의 81
3) 계몽주의적 신학 93

4. 19세기 이후 _103
1) 종합의 시도 103
2) 신학의 구조와 분과 106
3) 20세기 독일 신학교의 사례를 통한 이론과 실천 사이 긴장 관계 111

5. 종합 정리 _113
1) 시대에 따라 나타나는 성직자 자질 문제 114
2) 개신교에서 계속해서 중요시되는 성서 122

2장 개신교 신학 교육을 위한 분과 _129

1. 신학의 구조 _129
1) 학문으로서의 신학의 구조 129

2. 신학 교육의 구조 _131
1) 영성훈련과 신학 연구 131

3. 신학 교육의 분과 _132
1) 영성훈련 132
2) 신학 연구 138

3장 교회 갱신의 우선 과제로서 신학 교육의 개혁 _163

1. 신학 교육의 목표 _163

2. 성서 연구자로서의 목사 _164

3. 신대원 3년 과정으로 진정 목사가 될 수 있는가? _166
1) 신학과 영문학이 무슨 관련이 있는가?
현 목회학 석사(M. Div.) 과정에 관한 문제 제기 166
2) 현 목회학 석사 과정의 실제 169

4. 신학 교육의 개혁 _172
1) 신학 교육을 위한 7년 학제(예과, 본과, 목회 연구 과정) 173
2) 신학 수업의 형태: 영성훈련 / 강의 / 세미나 / 논문 쓰기 / 논문과 설교 177

5. 신학 교육의 개혁을 위한 한국 교회의 협력 _184
1) 목회자 양성을 위한 사이버신학교 폐지 184
2) 비인가신학교와 목회자 자질 문제 184
3) 신학생 정원 수 대폭 축소와 교단 통합 188
4) 세대 작업 189

4장
종교개혁 전야와 한국 개신교 _193

부록: 갱신이 요청되는 다양한 형태 _201
1. 하나님 말씀의 선교: 한국 개신교 복음 전래의 기원에 관하여 201
2. 성서 번역과 외경 206
3. 찬송가 209
4. 신학전문연구소와 신학전문도서관 210
5. 개신교 수도원 214
6. 디아코니아(섬김과 나눔) 그리고 사회 참여 215
7. 교리 교육 217

참고 문헌 _218

저자소개

박정근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계명대학교 신학과 졸업 ·장로회신학대학교 신학대학원 졸업 ·독일 훔볼트대학교 신학 과정 수학 ·독일 마부르크대학교 신학박사 학위 취득 ·독일 유럽역사연구소, 에어푸르트대학교 고타연구도서관 연구 장학생 ·독일 유럽역사연구소 객원연구원 ·대전신대, 부산장신대 등 출강 ·현, 성당제일교회 담임목사
펼치기

책속에서

신학과 철학의 조화 그리고 신학에서 철학의 수용은 중세 교리 논쟁 속에서도 나타난다. 중세 후기 도미니코 수도회 출신의 토마스주의자와 프란치스코 수도회의 둔스 스코투스 사이에 동정녀 마리아의 원죄론에 관해 신학적인 논쟁이 있었다. 이 논쟁에서 각자는 성경적 사건의 기초 위에 철학적 합리성을 보여주면서 기독교 진리를 나타내 보이려고 했다. 이와 같은 신학 논쟁 속에서 교회 교의를 형성하기 위해 철학의 수용은 더 뚜렷이 나타나게 되고, 그러면서 이러한 교리 논쟁은 신학 수업에 절대적 영향을 미치게 된다.


정통주의 교부인 게하르트의 『거룩한 명상』에 수용된 중세 신비주의의 문헌으로는 중세뿐만 아니라 1600년대까지 개신교 안에서 전승된 어거스틴과 버나드의 신비주의 작품이 주를 이룬다. 중세 신비주의와 스콜라 신학의 공존을 토마스 아퀴나스에서 찾는다면, 정통주의 시대 개신교 교리 정립과 내적 경건을 강조한 요한 게하르트를 통해 ‘경건과 학문’ 혹은 ‘학문과 경건’으로서의 개신교 신학의 근거, 뿌리, 정당성을 발견할 수 있다.


이처럼 수도원적 전통이 사라진 개신교에서는 대학에서의 신학 연구를 계속적으로 발전시킴과 동시에 체계적인 영성훈련이 신학교에 도입될 필요가 있다. 개신교 전통에서는 학문과 경건의 중심에는 항상 성서가 있었고, 종교개혁을 통해 개신교 신학 교육에서 성서신학을 중심으로 신학을 학문적으로 발전시켜나갔다고 한다면, 신학생들의 영성훈련 역시 성서 묵상에서 발견할 수 있어야 한다. 왜냐하면, 개신교에서 신학이 학문적으로 발전했지만, 대학 강단에서 강의를 중심으로 하는 신학 교육으로 인해 성서 묵상법과 영성훈련은 개신교 전통에서 자리를 잡지 못했기 때문이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