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 역사
· ISBN : 9788934118374
· 쪽수 : 208쪽
· 출판일 : 2018-07-30
책 소개
목차
서문
제1부 니끼우 요한의 연대기
제1장 니끼우 요한의 연대기 서론
1. 니끼우 요한의 연대기는 어떤 책인가?
2. 니끼우의 요한은 누구인가?
3. 니끼우(Nikiu)는 어떤 도시였는가?
4. 니끼우 요한의 연대기에 대해
5. 이 연대기의 의의
6. 아랍 침략 전후의 역사 연표
7. 아랍 침략 이전 이집트의 상황
8. 로마의 지배
9. 로마의 박해
10. 동로마(비잔틴) 제국의 설립
11. 칼케돈공의회(AD 451년)와 콥트 교회의 교리적 상황
12. 아랍 침략 직전의 이집트 정치 상황
13. 용어 일러두기
제2장 니끼우 요한의 연대기
제2부 아랍의 이집트 정복과 이집트의 이슬람화
제1장 아랍의 이집트 정복 목적
1. 아라비아반도, 그 망망한 사막 건너에는…
2. 아랍 정복의 목적은 무엇일까?
3. 정복의 주된 동기가 이슬람의 전파일까?
4. 베두인 드림(Bedouin Dream)?!!
5. 자비야(Jabiyah) 군사회의
6. 이집트 정복의 실제적인 동기: 탐욕
7. 트라잔(Trajan) 운하의 건설 목적: 효과적인 수탈을 위해
제2장 아랍의 이집트 정복, 평화적이었나 강압적이었나?
1. 동로마 제국의 이집트 박해를 어떻게 볼 것인가?
2. 동로마 제국의 박해에 대한 니끼우 요한의 연대기 기록
3. 이집트인들이 아랍 군대를 환영했다고 하는 주장에 대해
4. 아랍의 침략에 쉽게 패배하였던 이유
5. 조약을 체결하였기에 그것은 평화적 정복인가?
6. 확인되지 않은 말들
7. 아므루 브닐 아스는 어떤 사람인가?
8. 아랍의 정복 과정이 강압적이었다는 증거
9. 오늘날 콥트 교회가 ‘아랍의 강제적인 정복’을 주장하지 않는 이유
제3장 이집트 이슬람화의 실제적 원인 1: 지즈야
1. 지즈야란 무엇인가?
2. 지즈야에 대한 잘못된 가르침
3. 지즈야의 의미
4. 지즈야 제도의 발생과 그 목적
5. 지즈야는 치욕스러운 것이다
6. 지즈야를 지불할 때의 구체적인 수모
7. 지즈야의 액수
8. 자카와 지즈야의 비교
9. 징수되는 지즈야의 양이 얼마나 되었을까?
10. 지즈야가 어떻게 사용되었는가?
11. 지즈야와 이집트의 이슬람화
제4장 이집트 이슬람화의 실제적 원인 2: 박해
1. 이슬람은 폭력의 기계와 같았다
2. 종교적 박해로 개종이 잇따랐다
집필후기 1 기적과 현실 앞에서
집필후기 2 한국의 이슬람 역사 왜곡을 경계하며
참고문헌
부록
저자소개
책속에서
타임머신을 타고 1400년 전 이집트 나일 강변으로 달려가 보자. 그곳에서 펼쳐지는 삶과 죽음의 애절한 절규와 민중들의 생생한 증언들을 들어보자. 특별히 아랍 군대2의 침입 경로, 아랍 군대 침략의 실상, 바빌론 성채와 알렉산드리아에서의 항전과 항복 과정, 동로마(비잔틴) 교회가 콥트 기독교를 박해하는 실상, 동로마 황제와 교황 그리고 군대 지휘관들의 알력과 다툼 등을 살펴보라. 재미나고 유익한 역사 공부가 될 것이다. 또한, 필자가 제공하는 이집트 이슬람화의 비밀에 대한 해설들도 이집트 역사를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
니끼우 요한의 연대기는 아담과 하와의 창조부터 시작하여 그가 살았던 아랍의 이집트 정복까지의 역사를 시대순으로 기록한 책이다. 122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연대기에서 헤라클리우스(재위기간, 610~641)가 동로마 제국의 황제가 된 이후부터 아랍의 이집트 도착까지 AD 610년에서 640년의 역사기록은 생략되어 있다. 아랍의 이집트 정복에 대한 부분은 아므루 브닐 아스 군대가 이집트의 페윰 지역을 침략하는 내용으로 시작하여, 알렉산드리아가 항복하는 내용으로 마치고 있다.
아랍 군대의 이집트 침략에 중요한 전환점이 된 회의가 있다. 자비야라는 회의인데 이곳은 현재 골란고원과 하우란평원 사이에 있다. 때는 아랍 군대가 야르묵 전투(636년)에서 동로마를 물리친 뒤 시리아와 팔레스타인과 예루살렘을 차례로 정복한 시점이다. 거기에서 정복한 나라들에 대한 지즈야 부과와 효과적인 통치를 고민하기 위해 우마르가 주재하는 군사 전략회의가 열린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