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바울의 교회론

바울의 교회론

(그리스도를 닮은 공동체 발견하기)

제임스 W. 톰슨 (지은이), 이기운 (옮긴이)
기독교문서선교회(CLC)
2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9,800원 -10% 0원
1,100원
18,700원 >
19,800원 -10% 0원
0원
19,8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바울의 교회론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바울의 교회론 (그리스도를 닮은 공동체 발견하기)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88934119241
· 쪽수 : 444쪽
· 출판일 : 2019-02-15

책 소개

교회론들의 약점을 보완할 수 있는 초기 사도 바울의 교회에 대한 관점을 성경 본문을 통해 추적하여 상세히 설명하고 있다. 특히 초대교회의 상황에서 바울이 어떤 교회를 세웠으며, 그 교회를 어떤 교회론에 따라 성장시켰는지를 본서는 잘 보여 준다.

목차

°추천사
류 호 영 박사_백석대학교 신학대학원 교수
그레이엄 H. 트웰프리 박사_리젠트대학교(School of Divinity, Regent University) 교수
데이비드 다운스 박사_풀러신학교(Fuller eological Seminary) 교수
에버렛 퍼거슨 박사_에벌린크리스천대학교(Abilene Christian University) 교수
마이클 고먼 박사_세인트메리신학교(ST. Mary’s Seminary) 교수
레이먼드 F. 콜린스 박사_브라운대학교(Brown University) 교수
비벌리 로버츠 가벤타 박사_베일러대학교(Baylor University) 교수
폴 포스터 박사_에딘버러대학교(School of Divinity, University of Edinburgh) 교수

°저자 서문 13
°역자 서문 15

서론 다시 그려 보는 교회상 19
1. 교회론에 대한 도전들 21
2. 교회 갱신에 대한 최신 견해들 31
3. 바울과 교회 갱신 44

제1장 세상과 구별된 공동체 54
?바울의 첫 번째 서신의 핵심 주제
1. 데살로니가교회의 기원 55
2. ‘하나님의 백성’으로 공동체적 정체성 세우기 60
3. 바울의 교회론을 바라보는 창, 데살로니가전서 93
4. 결론: 공동체 형성의 그때와 지금 96

제2장 단지 개인의 모임이 아닌 교회 99
?바울의 공동체적 기독론과 교회
1. 그리스도 안에서 101
2. 고린도전서에서 이야기하는 성령의 전과 그리스도의 몸 124
3. 결론: 하나님의 백성과 그리스도 안에서의 새 인류 143

제3장 교회 공동체와 성례 145
?고린도전서, 갈라디아서, 로마서에서 이야기하는 세례와 주의 만찬
1. 고린도전서에서 이야기하는 세례와 주의 만찬 147
2. 갈라디아서에서 이야기하는 세례 170
3. 로마서에서 이야기하는 세례 175
4. 결론: 바울이 이야기하는 세례와 주의 만찬 182

제4장 공동체의 영적 성장 184
?로마서와 고린도후서에서 이야기하는 교회 공동체의 변화
1. 기억의 공동체 187
2. 소망의 공동체와 변화 194
3. 현재 일어나는 변화 197
4. 결론: 대항문화로서의 교회 219

제5장 칭의와 공동체의 연합 221
?로마서와 갈라디아서에서 이야기하는 예수의 죽으심과 하나님의 백성
1. 유대 문헌에서의 죄와 칭의 224
2. 갈라디아서에서 이야기하는 칭의와 교회론 226
3. 로마서에서 이야기하는 칭의와 교회론 233
4. 결론: 칭의와 교회의 연합 259

제6장 선교적 교회(Missional Church)에 대한 고찰 261
?바울에 따른 복음 전도와 사회적 행동
1. 바울의 선교 264
2. 세상을 향한 교회의 선교 271
3. 바울 서신에서 이야기하는 교회와 세상 284
4. 결론: 바울과 교회의 선교 298

제7장 보편교회로서의 지역교회 301
?바울에 따른 코이노니아(koin?nia)의 의미
1. 로마 제국과 회당 305
2. 바울의 선교에 나타난 교회의 연합 307
3. 유대인교회와 이방인교회 312
4. 결론: 교회들 간의 코이노니아(koin?nia), 어제와 오늘 337

제8장 진정한 메가처치(Megachurch) 발견하기 339
?바울의 후기 서신에서 이야기하는 우주적 교회와 가정교회
1. 에베소서와 골로새서에서 이야기하는 우주적 교회 341
2. 목회 서신에서 이야기하는 가정교회 364

제9장 구별된 공동체를 위한 구별된 리더십 374
?바울의 초기 서신에서 이야기하는 권위와 사역
1. 고린도에서 일어났던 지도자들 간의 경쟁 375
2. 지도자 바울 377
3. 바울의 부재중에도 계속된 그의 권위와 사역 387
4. 결론: 이야기로 형성된 리더십 407

결론 기독교 제국주의 이후의 교회 410
1. 오늘날의 교회론적 모델 411
2. 바울의 교회론적 비전의 결과 417
°참고 문헌 418
°주제 색인 441

저자소개

제임스 W. 톰슨 (지은이)    정보 더보기
후기 기독교 분위기인 이 시대에 교회는 무엇을 해야 하고 어떤 존재가 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고민 속에서 사라진 목소리들 중 하나가 바울의 목소리이다. 신약 시대의 최고의 교회 개척가이자 확산의 중심이었던 사도 바울 역시 다양한 문제들에 직면했다. 제임스 W. 톰슨(James W. Thompson)은 바로 이 부분을 파고 들어, 이 시대에 정말로 필요한 것은 사도 바울이 외친 참된 교회라고 주장한다. 어쩌면 톰슨이 제시하는 바울의 교회관이 이 시대의 모든 교회론에 대한 좋은 잣대가 될 수 있지 않을까? Abilene Christian University를 졸업(B.A., M.A.)한 후, Vanderbilt University에서 철학박사(Ph.D.) 학위를, 뉴욕에 위치한 Union Theological Seminary에서 성서학박사(B.D.) 학위를 취득하였다. 현재는 Abilene Christian University의 신학대학원 부학장이자 신약학 교수로 재직 중이며, Restoration Quarterly 편집자이다. 저서로는 The Church in Exile: God's Counterculture in a Non-Christian World(2011), Moral Formation according to Paul: The Context and Coherence of Pauline Ethics(2011), 그리고 Pastoral Ministry according to Paul: A Biblical Vision(2006) 등이 있다.
펼치기
이기운 (옮긴이)    정보 더보기
총신대학교 신학과(B.A.)와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M.Div.)을 졸업했으며, 미국의 휘튼대학교 대학원에서 석사학위(MA.)를 수료한 후, 남침례신학교에서 신학 석사학위(Th.M, 신약학)를 마 쳤다. 그리고 남아프리카공화국 스텔렌보쉬 대학교에서 신약학(데살로니가전서 전공)으로 철학 박사(Ph.D, 신약학) 학위를 취득하였다. 현재는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에 출강하고 있다. 역서로는 『바울의 교회론: 그리스도를 닮은 공동체 재발견하기』, 『헬라어 성경 읽기 가이드』, 『신약신학』, 『수잔나 스펄전 의 생애와 유산』 등이 있다. 저서로는 Identity and Moral Formation in 1 Thessalonians (Eugene: Wipf & Stock, 2024)가 있으며 다수 논문을 출간하였다.
펼치기

책속에서

교회와 상관없이 하나님과 개인적 관계에 초점을 맞춘 개신교에 깊이 뿌리 박혀 있는 전통은 우리가 추가로 고찰해 봐야 할 요소이다. 은혜로 운 하나님을 찾았던 마틴 루터(Martin Luther)의 열망은 개인적 탐구에서 비롯되었고, 루터는 이신칭의 교리 안에서 그 대답을 찾았다. 루터는 여전히 교회에 속한 사람이었지만, 그의 교회에 대한 이해에 영향을 준 개인 구원개념을 제시하였다. 실제로, 종교개혁은 교회에 널리 퍼져 있던 승리주의에 대한 반발과 함께 교회와 개인 구원 사이의 관계를 모호하게 남겨두었다. 아우구스부르그 신앙고백서(Augsburg Confession)에서 이렇게 말한다. “교회는 복음이 올바르게 가르쳐지고 성례전이 올바로 집행되는 성도들의 모임이다.” 이 참된 교회의 표지들에 대한 이해는 종교개혁가들 사이에 표준이 되었다.


가족 이미지는 일반적으로 믿는 자들을 형제와 자매로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데살로니가전서에서 바울은 독자들을 지칭하는 아델포이(adelphoi)를 13회 사용한다. 이것은 바울 서신들 가운데 가장 높은 빈도수를 보여 준다. 그는 다양한 신자들을 형제로 묘사하며(참조, 살전 3:2; 4:6), 그 용어를 마게도냐에 있는 신자들에게까지 확장시킨다(살전 4:10). 공동체의 구성원을 가리키는 포괄적인 용어인, 아델포이(adelphoi)는 남자들뿐만 아니라 여자들과 아이들까지도 포함한다. 각기 다른 민족 그룹들과 사회계층 출신들로 이루어진 공동체를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된 가족 이미지는 고대 사회에서 유례를 찾아볼 수 없는 것이었다. 가족 이미지는 공동체의 행동과 서로 간의 관계를 결정짓는다. 바울의 가르침은 크게 형제와 자매를 대하는 태도, 가족 구성원들 간의 싸움 방지, 가족적인 책임 결정에 대한 것들이다. 실제로, 바울이 “서로”라는 말을 자주 사용하는 것은 가족 관계와 공동체의 결속을 반영하는 것이다. 바울은 그들을 사랑한 것처럼, 데살로니가 그리스도인들이 “피차 간과 모든 사람에 대한 사랑이 더욱 많아 넘치게”되기를 기도한다(살전 3:12).


합당치 않게 주의 만찬에 참여하는 것은 사회 분열과 배고픈 자들을 향한 학대를 초래한다. 즉, 합당치 않은 참여는 고린도인들에게 관습적으로 시행되던 식사 의식에서 이러한 잘못된 태도와 행실을 수반한다. 떡과 잔으로의 참여는 참여자들의 태도와 행실을 형성시켜야 한다. 또한, 그리스도께서 보여 주신 최고의 희생에 동참한 자들은 그리스도께서 위하여 죽으신 이웃들을 돌봄으로써 그의 희생에 동참해야 한다(참조, 고전 8:11). 바울에게 중간 지대란 없다. 즉, 다른 이들을 위해 그리스도의 희생에 동참하거나 예수를 십자가에 못 박았던 자들 편에 서거나 둘 중 하나이다. 신자들은 십자가의 빛 가운데 살아가기 위하여 자기를 살펴야 한다(고전 11:28; 참조, 고후 13:5). 주의 만찬은 누가 옳게 인정받았는지(도키모스[dokimos], 고전 11:19; 참조, 고전 3:15) 보여 줄 것이다. 주의 몸을 분별하지 않은 채 먹고 마시는 자들은 심판을 먹고 마시게 될 것이다. 예수의 죽으심에 대하여 책임져야 한다면(고전 11:27) 그 누구도 심판을 면할 수 없다. “주의 몸을 분별하지 못하고”라는 말은 곧 합당치 못한 참여를 의미한다. 몸을 분별한다는 것은 사실 그리스도의 몸과 피를 분별한다는 것을 축약하여 표현한 것인데, 즉, 그리스도의 죽음을 자기희생의 행위로 인식하는 것이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