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신앙생활 > 신앙생활일반
· ISBN : 9788934126553
· 쪽수 : 368쪽
· 출판일 : 2024-03-29
책 소개
목차
추천사 1 왕인성 박사│부산장신대학교 신약학 교수 1
추천사 2 R 알버트 몰러 주니어│남침례신학교 총장 2
수지를 향한 찬사 수잔나 스펄전 코클랭 외 11인 4
연대표 16
수지 여사에 대한 소개: 1832-1903년 24
저자 서문 32
역자 서문 39
제1장 성장과 가족: 수지 여사의 출생과 빅토리아 시대의 영국 41
제2장 앞을 향해 나아가는 순례자: 1852-1855년 63
제3장 수정궁에서 하나된 마음 78
제4장 천국을 이루어 가는 결혼 생활 108
제5장 부모가 되다 126
제6장 슬픈 그림자와 믿음 144
제7장 가정과 해외에서 서로 손을 잡고 165
제8장 가정과 해외에서 서로 손을 잡고 179
제9장 스펄전 여사의 북펀드 사역 201
제10장 웨스트우드로 이사하다: 계속되는 북펀드 사역 222
제11장 멍똥(Mentone)에서의 행복 그리고 슬픈 안녕 238
제12장 그리스도와 함께 더 나은 본향으로 261
제13장 수지의 편지 사역 271
제14장 마지막 씨앗을 뿌리며 295
제15장 왕의 영광을 바라보다 316
에필로그 수잔나 스펄전의 유산 342
후기 366
책속에서
그러나 그녀의 “영적인 계몽과 원기회복”에 있어서, 그녀는 성경의 “반절”과 같이 한 부분을 택해서 묵상하는 것을 선호했다. 그녀의 묵상은 성경 몇 절에 집중하는 시간동안 진행되었는데, 이로 인하여 그녀는 “성령으로 말미암아 더 나은 본문 적용을 경험했다.” 수지가 보여준 믿음의 성장은 성경 읽기, 묵상 그리고 그 이후 찰스의 지도의 영향에 대하여 증거한다.
찰스는 자신의 영웅 조지 휫필드(George Whitefield)처럼 공적인 사역을 우선순위에 두었고, 때때로 자기 가족들의 필요에 관여하는 것은 부차적인 것으로 삼았다. 그러나 찰스와 수지의 결혼에 대한 전체적인 전망은 그 가 자신에게 주어진 사역적인 책임감을 도외시하지 않았으며, 그는 수지로 하여금 보살핌 받고 있다는 확신을 주었다. 그녀는 자신의 입장에서 강도 높은 헌신을 했다.
수지는 자신의 기본적인 삶의 분야가 가정을 관리하는 아내이자 어머니라고 생각했기 때문에 그녀가 억압이나 제한을 느꼈다는 암시는 어디에서도 찾을 수 없다. 그녀는 찰스에게 사랑을 받으며 소중하게 여겨졌다. 그리고 그는 수지의 열망, 목표, 추구를 단념하게 만들지 않았다. 오히려 그 반대였다. 찰스는 수지가 다양한 영역에서 그리스도를 위하여 적극적이고 신실하게 섬길 수 있도록 권면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