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목회일반
· ISBN : 9788934120179
· 쪽수 : 332쪽
· 출판일 : 2019-10-20
책 소개
목차
추천사 1
김 지 찬 박사(총신대학교 부총장, 구약학 교수)
이 용 걸 목사(필라델피아영생장로교회 원로)
류 응 렬 박사(와싱톤중앙장로교회 담임목사)
저자 서문
제6장 이삭의 하나님
1. 성도의 결혼과 하나님의 동행(창 24:12-24)
2. 결혼의 주선자이신 하나님(창 24:50-60)
3. 결혼의 원칙(창 25:19-23)
4. 기근 가운데 아브라함과 동행하시는 하나님(창 26:23-31)
5. 언약 안에서의 장자권(창 27:34-41)
6. 잃어버린 축복(창 27:34-36)
제7장 야곱의 하나님
1. 실수로 무너진 가정(창 28:1-9)
2. 야곱의 아픔(창 29:21-30)
3. 야곱의 12자녀 중 라헬의 자녀 이야기(창 30:1-8)
4. 인간의 야망이라는 거짓말(창 30:30-33)
5. 하나님의 섭리를 알자(창 31:1-3)
6. 죄를 죄로 인정치 아니하심(창 31:17-29)
7. 귀향 그리고 소명(창 32:13-28)
8. 에서를 만난 야곱(창 33:1-4)
9. 야곱의 딸 디나와 이스라엘 공동체(창 34:14-19)
10. 다시는 야곱이라 부르지 말라(창 35:9-15)
11. 하나님의 선택과 인간의 선택(창 36:1-8)
제8장 요셉의 하나님
1. 꿈을 통해 계시하시는 하나님(창 37:5-11)
2. 요셉의 꿈과 하나님의 계시(창 37:5-11)
3. 하나님의 언약적 계획안에 있는 요셉의 꿈(창 37:27-36)
4. 유다의 좌절과 장자의 직분(창 38:11-18)
5. 유혹을 통해 하나님의 계획이 구체화됨(창 39:12-21)
6. 요셉의 꿈 해석-1(두 관원장의 꿈, 창 40:9-19)
7. 요셉의 꿈 해석-2(애굽 왕 바로의 꿈, 창 41:25-36)
8. 총리가 된 요셉(창 41:46-57)
9. 형제들의 불의함을 드러내시고 언약의 본질로 이끄심(창 42:33-38)
10. 베냐민의 존재성(창 43:29-32)
11. 은잔으로 인한 누명(창 44:1-5)
12. 유다의 기도(창 44:27-31)
제9장 이스라엘의 하나님
1. 하나님의 긍휼과 이스라엘 공동체(창 45:25-28)
2. 애굽을 이스라엘로 삼으심(창 46:28-34)
3. 야곱의 땅과 바로의 땅(창 47:20-30)
4. 요셉의 아들 므낫세와 에브라임에 대한 야곱의 축복(창 48:12-20)
5. 야곱의 유언과 죽음(창 49:28-33)
6. 한 세대를 마감하며(창 50:15-23)
저자소개
책속에서
그러므로 성도가 세상의 육적 기준으로 자신을 돌보고 자녀의 미래를 선택하는 태도는 하나님의 언약을 욕되게 하는 태도이며, 인간적인 애정과 관심은 언제나 허무한 세상의 지혜일 뿐임을 명심해야 합니다. 그리고 언약의 실체이신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와 부활이 하나님께서 구속사를 이끌어 가시면서 선택된 백성들을 통해 알리고자 하시는 언약의 본질이라는 사실을 잊지 않고, 이로 인해 고민하고 기도하며 준비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할 것입니다.
리브가는 자식에 대한 편견을 가졌으며, 아들 야곱과 협잡하여 남편 이삭을 속였으며, 장자권을 빼앗는 도적질도 서슴치 않았습니다. 그런데 죽어 마땅한 그 자리에서 야곱의 장자권을 이루어 내고야 맙니다. 그러나 지금 리브가도 야곱도 장자의 언약적 의미를 알지 못합니다. 그러나 이런 사건을 통해 장자가 스스로 권세 있는 존재가 아니라 언약 안에서만 발견될 수 있는 실체임을 알게 될 것입니다. 그리고 육의 한계를 안고 살아가는 자신은 단지 장자를 드러내는 도구임을 깨닫게 될 것이고, 나아가 하나님의 축복이라는 것도 늘 언약을 중심으로 이루어진다는 사실을 알아가면서 장자 직분에 대한 두려움과 하나님의 구원의 능력을 깨달아가게 될 것입니다.
야곱에게는 자유함이 있습니다. 어느 곳을 가든지 하나님께서 선택하신 백성을 축복하신다는 믿음 때문입니다. 그런 믿음은 자신이 거하는 외삼촌 땅이 자신을 통해 풍요를 누리게 하심을 알고 있기에 외삼촌의 땅과 재산은 모두 자신의 것이라는 믿음을 갖게 된 것입니다. 그러므로 외삼촌 집에서 20년의 삶은 자신의 땅에서 자신의 재산을 위해 봉사하는 것이 되는 것입니다. 이런 하나님의 약속을 알지 못하는 라반은 자신의 부가 차고 넘친 이유를 단순히 능력 있는 조카 야곱의 도움과 자신의 수완 때문이라 여겼음은 당연합니다. 그런데 야곱의 귀향으로 비롯된 품삯을 정하는 사건을 통해 라반이 아무리 인간의 꾀를 동원해도 자기 것이 될 수 없음을 알게 됩니다. 그럼에도 라반은 분을 삭히기만 할 뿐 야곱의 하나님에 대한 존재성을 깊이 깨닫지 못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