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88934120216
· 쪽수 : 340쪽
· 출판일 : 2019-09-10
책 소개
목차
추천사 1
강 성 열 박사_ 호남신학대학교 구약학 교수
오 창 록 박사_ 천우교회 담임목사, 전 광신대학교 구약학 교수
저자 서문 9
서론 11
1. 선지자란 누구인가 11
2. 선지자들의 예언 방식 13
3. 선지자의 중심 사상 15
4. 이스라엘의 선지자들 16
5. 선지서의 분류 20
제1부 비문서 선지자 22
제1장 출애굽 이후 비문서 선지자 23
1. 미리암 23
2. 드보라 28
3. 한 선지자 32
4. 하나님의 사람 34
5. 사무엘 37
제2장 통일 왕국 시대의 비문서 선지자들 48
1. 갓 48
2. 나단 51
3. 사독과 헤만 60
제3장 분열 왕국 시대의 비문서 선지자들 62
1. 아히야 62
2. 하나님의 사람 67
3. 벧엘의 늙은 선지자 72
4. 잇도 75
5. 스마야 78
6. 아사랴 82
7. 하나니 86
8. 예후 89
9. 야하시엘 92
10. 엘리에셀 96
11. 엘리야 98
12. 한 선지자 117
13. 선지자의 무리 중 한 사람 120
14. 미가야 122
15. 스가랴 127
16. ‘어떤 하나님의 사람’131
17. ‘한 선지자’134
18. 엘리사 136
19. 훌다 166
제2부 문서 선지자 170
제4장 9·8세기 문서 선지자들 171
1. 오바댜 171
2. 요엘 175
3. 호세아 182
4. 아모스 192
5. 요나 201
6. 이사야 207
7. 미가 242
제5장 7세기 문서 선지자들 252
1. 예레미야 252
2. 나훔 271
3. 하박국 274
4. 스바냐 278
제6장 포로기 문서 선지자들 283
1. 에스겔 283
2. 다니엘 298
제7장 포로 후기 문서 선지자들 311
1. 학개 311
2. 스가랴 319
3. 말라기 330
참고 문헌 336
저자소개
책속에서
선지자들의 예언 방법은 하나님으로부터 계시를 받아 백성에게 전하는 것이다. 이런 의미에서 선지자들은 하나님의 계시를 전하는 대언자들이었다. 선지자들이 하나님의 계시를 받는 유형은 다양하다. 하나님의 영의 임재를 경험하고 언어를 통해 직접 계시를 받거나 환상을 통해 계시가 주어질 수도 있고, 몸으로 나타내는 상징적인 행위나 물건들을 통해 계시가 주어질 수도 있다. 선지자들은 새로운 계시를 받아 백성에게 전하기도 하였지만 시내산 계시를 재해석하여 백성에게 전하기도 하였다. 선지자들 말고도 제사장들도 계시를 백성에게 전하기도 하였는데, 이들은 우림과 둠밈을 이용해 계시를 받고 전하였다(출 28: 30; 레 8:8; 민 27:21; 삼상 23:2, 4, 9-12; 28:6; 스 2:63; 느 7:65).
나단은 다윗을 찾아가 큰 부자가 극빈자의 재산을 강탈하는 것이 옳은지 비유를 들어 다윗의 죄를 이끌어낸다(1-4절). 다윗은 나단의 이야기를 듣고 가난한 자의 양을 강탈한 부자는 마땅히 죽일 것이로되 그에게 빼앗은 양을 네 배나 갚아 주어야 한다고 하였다(5-6절). 네 배의 배상은 율법에 따른 것이다(출 22:1). 나단은 다윗이 나단의 이야기 속에 있는 부자를 정죄하자마자 다윗이 바로 그 사람이라고 하였다(7절). 나단은 자신의 목숨을 내걸고 다윗에게 말하였다. 이는 전형적으로 선지자의 본색이다. 죄에 대한 고발과 심판 선언은 선지자의 예언 공식이다.
나단은 다윗의 죄를 고발하고 책망하였다(9-10절). 나단의 반복된 말, 곧 “네 어찌하여, 악을 행하였느냐?”라는 말은 다윗이 지은 범죄의 어리석음과 책망의 강도를 보여 준다. 나단은 간통을 통해 밧세바를 빼앗은 것과 헷 사람 우리아를 죽인 다윗에게 하나님의 엄중한 심판을 선언하였다(10-12절).
엘리야가 선지자로 부름을 받고 제일 먼저 취한 행동은 아합에게 기근을 선포하는 일이었다(왕상 17:1). “길르앗에 우거하는 자 중에 디셉 사람 엘리야가 아합에게 말하되 내가 섬기는 이스라엘의 하나님 여호와께서 살아 계심을 두고 맹세하노니 내 말이 없으면 수년 동안 비도 이슬도 있지 아니하리라 하니라”(왕상 17:1). 엘리야의 기근에 대한 선포는 바알과 정면 대결을 의미하였다. 열왕기상 17장에 나오는 심한 기근과 3개의 엘리야의 기적들은 하나님의 심판에 대한 일련의 소품들이다. 베스터만(Westermann)은 엘리야의 대결의 초점은 바알이 생식력의 근원이 아니라 여호와께서 생식력의 근원이라는 점을 보여 주는 데 있으며, 이 문제는 이스라엘의 전체 역사를 통해 가장 심각한 영적 투쟁으로 부각되었다고 말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