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교회 > 교회일반
· ISBN : 9788934120353
· 쪽수 : 324쪽
· 출판일 : 2019-08-31
책 소개
목차
저자 서문
제1장 건강한 교회성장학의 이론적 배경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Science of Healthy Church Growth)
제2장 건강한 교회성장학의 변수 이론
(Variable Theory of the Science of Healthy Church Growth)
제3장 건강한 교회성장학의 역사적인 전개와 발전 과정
(Historical Development of the Science of Healthy Church Growth)
제4장 교회성장의 장애 요인 분석
(Analysis of the Obstacles to Church Growth )
제5장 건강한 교회성장의 유형 이론
(Typology of Healthy Church Growth)
제6장 건강한 교회성장 우선 순위 이론
(Priority Theory for Healthy Church Growth)
제7장 이민 교회의 건강한 성장
(The Healthy Growth of Immigrant Churches)
제8장 건강한 교회성장을 위한 교회 행정의 역할
(The Role of Church Administration for Healthy Church Growth)
제9장 건강한 교회성장과 세계 선교
(Healthy Church Growth and World Mission)
제10장 초대형 교회의 건강한 성장의 요인 분석 이론
(Factor Analysis of Healthy Growth of Megachurch)
부록
참고문헌
색인
자기소개
저자소개
책속에서
그러나 성장 자체를 양적 성장에만 한정적으로 사용하지 않는 한 진정한 성장과 건강한 성장은 하나님이 원하시는 것이고 하나님의 뜻(God’s will)이다. 왜냐하면, 건강한 교회는 당연히 영적으로 성장하기 때문이다.
이 경우 교회는 발전(development)이라는 용어를 대신 사용해도 된다. 건강한 성장이란 바람직한 방향의 성장이다. 바꾸어 말하면 양적, 질적, 영적, 구조적(structural), 그리고 내적(internal) 성장 등이 상호 조화와 균형을 이룬 성장이라고 말할 수 있다.
교회가 해야 할 가장 중요한 일은 예배와 소그룹(교제), 봉사(선교) 다. 교회는 예배를 통해 하나님을 알고, 사랑해야 한다. 소그룹 활동으로 성도 간 깊은 관계(코이노니아) 속에서 서로의 사랑을 확인해야 한다. 봉사(선교)를 통해 하나님과 이웃 간의 참된 관계를 확장해야 한다.
“탈성장 시대 교회의 새로운 패러다임은 영성 공동체로서의 교회”라며 교회의 생명은 그리스도의 생명을 지닌 성도들의 “영적, 정신적·사회적 교제로서의 공동체적 연결”에 있다.
“말씀과 성령이 역동적으로 역사하는 공동체=영성 공동체”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다양한 교회성장의 유형 중 이상적인 성장은 어떤 것일까?
우리는 지금까지 초대형 교회의 성장을 한국과 미국을 비교하면서 그 원인과 현황을 살펴보았다. 한마디로 초대형 교회는 여러 다양한 성장 변수가 있으나 무엇보다도 교회 지도자의 영적 리더십이 가장 중요한 변수라고 할 수 있다. 즉, 복음 전파와 영혼 구원에 대한 불타는 지도자, 그리고 교회성장을 간절히 원하는 지도자에게 하나님은 성장의 선물을 주시기 때문이다.
부족한 글을 읽어 주신 모든 분들께 진심으로 감사하오며 하나님의 은혜와 사랑과 성령님의 보호하심이 영원히 함께하시기를 기도합니다. 아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