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설교/성경연구
· ISBN : 9788934120780
· 쪽수 : 456쪽
· 출판일 : 2020-03-25
책 소개
목차
추천사 1
양 용 의 박사(에스라성경대학원대학교 신약학 교수)
홍 인 규 박사(백석대학교 기독신학대학원 신약학 교수)
배 종 열 박사(개신대학원대학교 신약학 교수)
저자 서문
제1부 신약 해석 서론과 모델
제1장 서론
제2장 해석자와 해석
제3장 성경 해석 오류의 요인들
제4장 해석을 위한 서론과 해석 모델
제5장 결론
제2부 신약 해석사
제1장 서론
제2장 중간기의 해석사
제3장 신약 해석사
제4장 결론
제3부 헬라어 원문 해석
제1장 서론
제2장 헬라어 원문 해석
제3장 결론
부록 원문 해석의 예(요 1:1-8)
제4부 단어 해석
제1장 서론
제2장 신약의 단어 연구의 단계들
제3장 결론
부록 단어 연구의 예(요 10:1-21)
제5부 서사적 해석
제1장 서론
제2장 서사적 해석
제3장 사건에 대한 해석
제4장 인물에 대한 해석
제5장 배경에 대한 해석
제6장 결론
제6부 비유 해석
제1장 서론
제2장 비유 해석
제3장 결론
제7부 병렬 구조적 해석
제1장 서론
제2장 병렬 구조의 이론적인 배경
제3장 결론
부록 병렬 구조의 예들
제8부 수사학 해석
제1장 서론
제2장 수사학과 신약 해석
제3장 결론
부록 수사학 해석의 예(요 10:1-21)
제9부 결론
참고문헌
저자소개
책속에서
신약성경을 읽는 대부분의 사람은 각 권에 대한 정보, 즉 내용이나 줄거리를 파악하고 일상생활에 적용할 내용을 찾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성경 해석자는 단순한 정보 습득이나 주관적인 적용을 넘어서서 저작 의도나 동기, 신앙공동체의 상황, 본문의 줄거리, 구성, 배열, 문체, 그리고 독자에게 주어진 의미까지 관심을 가져야 한다.
헬라어에는 한글에 없는 독특한 문법이 있는데 동사에 시제와 상태가 있으며 시제보다 오히려 상태가 더 중요하다는 것이다. 그 결과 헬라어 동사의 뜻을 한글로 번역할 때 단순히 동사의 현재, 과거, 미래 시제로만 해석하면 상태의 의미를 드러내지 못하므로 해석의 차이가 발생한다. 그 결과 헬라어의 의미는 문법의 차이를 알지 못한 사람들에게 성경의 의미를 잘못 해석하게 만들 가능성이 높다.
성경의 의미를 완전히 밝혀내기 위해서 본문비평을 통한 헬라어 원문을 찾고 해석하는 과제는 여전히 성경 해석자에게 남겨진 숙제이다. 그러므로 이를 위해서 비평 장치들을 사용하여 내·외적인 작업들을 통해 원문에 좀더 근접한 본문을 찾고 그것을 기초하여 해석을 진행해야 한다. 본문을 찾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 과정이 필요하다.
첫째, 비평 장치와 기호들을 충분하게 숙지해야 한다.
둘째, 해석하려고 하는 한 본문을 선택하고 비평 장치를 통해 각주를 연구하여 원문을 찾는다.
셋째, 문맥을 고려하며 원문을 사역(개인이 번역)하여 주석을 위한 본문을 만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