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설교/성경연구
· ISBN : 9788934112105
· 쪽수 : 688쪽
· 출판일 : 2012-06-30
책 소개
목차
추천사: 송영목 박사(고신대학교 신약학 교수)
추천사: 류호영 박사(백석대학교 신학대학원 신약학 교수)
편집자 서문
역자 서문
약어표
서론(G. K. 빌 ? D. A. 카슨)
히브리서 조지 H. 거쓰리(George H. Guthrie) 김주원 역
참고문헌
야고보서 D. A. 카슨(D. A. Carson) 김용재 역
참고문헌
베드로전서 D. A. 카슨(D. A. Carson) 김용재 역
참고문헌
베드로후서 D. A. 카슨(D. A. Carson) 김용재 역
참고문헌
요한 1-3서 D. A. 카슨(D. A. Carson) 김용재 역
참고문헌
유다서 D. A. 카슨(D. A. Carson) 김용재 역
참고문헌
요한계시록 G. K. 빌(G. K. Beale), 숀 맥도나휴(Sean M. Mcdonough) 박정식 역
참고문헌
저자소개
책속에서
본서의 목적과 방법론을 말씀드리는 것이 지혜인 듯하다. 본서는 어디에서도 신약의 구약사용에 관한 현대 학계의 논의를 개관하지 않는다. 이 작업에 참여한 많은 하위 학문 분과들이 분류되지 않았다. 예컨대 우리는 유대인 학자들이 기독교권 밖에서 사용해온 해석 방법들을 신약학에서 사용하는 해석 방법들과 비교하지 않는다. 우리는 ① 신약의 저자들이 구약의 본문들을 인용하거나 암시할 때 통상적으로 그 본문들의 문맥을 존중한다고 주장하는 학자들과 ② 신약의 저자들이 구약의 구절들을 본래의 문맥에서 인용할 때 신약의 그리스도인들에게 부합하되 본래의 구절들에는 없는 결론을 “입증”하는 방식의 “증거본문 작업”을 했다고 주장하는 사람들 사이의 지속적인 논쟁도 개관하지 않는다. 우리는 레온하르트 고펠트가 그의 1939년 저작 『모형론』(Typos)을 펴낸 이래로 발전해온 예표론 분야의 매우 복잡한 상황도 정리하지 않았다. 우리는 본서에서 체계적으로 다루지 않은 이러한 중요한 주제들의 목록을 어렵지 않게 덧붙일 수 있었다
- 서론
천국에 관한 비유를 마치면서 마태는 예수님의 말씀을 다음과 같이 기록한다. “천국의 제자된 서기관마다 마치 새것과 옛것을 그 곳간에서 내어 오는 집 주인과 같으니라”(마 13:52). 히브리서 저자가 누군지 모르지만 어쨌든 그는 이 예수님의 말씀을 감탄할만하게 실현한다. 수사학과 랍비의 기술을 훌륭하게 섞어 내고, 고대 본문들을 자유자재로 가져와 그가 받아들인 그리스도 중심적(christocentric) 전승에 비추어 표현한다. 그러면서 그는 핍박받는 공동체를 크게 격려한다.
히브리서를 최근에 신약 연구의 “신데렐라”라고 당연시하게 불러왔다(McCullough 1994: 66). 그러나 신약 안에서 구약사용에 관한 문제라면 “여왕”으로 불러야 할지도 모른다. 아마 요한계시록을 제외하고 거시와 미시(macro- and micro) 모든 수준에서 더 오래된 언약 본문을 다양한 방법들로 넘치도록 정교하게 제공하는 신약 책은 히브리서 밖에 없다. 그리고 저자의 원문에 대한 전용(appropriation)은 그 계열의 묵시적 책들과는 확연하게 다르다(히브리서 안에서 구약사용에 관한 보다 철저한 서론을 위해 Guthrie 1997: 2003을 참조하라).
- 히브리서 서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