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88934121121
· 쪽수 : 252쪽
· 출판일 : 2020-03-31
책 소개
목차
제1부 루터의 신학 윤리
제1장 신학 윤리의 배경
1. 생애와 저서
2. 사상적 배경
제2장 신학의 근본 사상
1. 십자가 신학
2. 의인론(義認論)
3. 두 왕국론
제3장 루터 윤리학의 신학적 고찰
1. 윤리의 신학적 기반
2. 루터의 윤리
3. 크리스천의 삶의 양태
제2부 본회퍼의 신학 윤리
제1장 신학 윤리의 배경
1. 생애와 저서
2. 사상적 배경
3. 변증법적 신학 방법론
제2장 신학 윤리의 전개
1. 그리스도론적 물음과 대답
2. 신학 윤리의 출발점으로서 그리스도-현실
3. 성(聖)과 속(俗)의 해체
4. 하나님의 고난으로의 참여
5. ‘타자’의 개념 이해
제3장 『윤리학』의 신학적 고찰
1. 『윤리학』에 나타난 하나님의 현실성과 세계의 현실성의 통합
2. 『윤리학』에 나타난 본회퍼의 신학 원리
3. 책임 윤리
제4장 현대신학에 미친 영향과 평가
제3부 헬무트 틸리케의 신학 윤리
제1장 신학 윤리 배경
1. 생애와 저서
2. 사상적 배경
3. 틸리케의 성령론적 신학 방법
제2장 신학 윤리의 전제로서의 『역사와 실존』
1. 역사의 이중차원
2. 하나님의 변화된 의지로서의 비상질서
제3장 틸리케의 『신학적 윤리학』 고찰
1. 『신학적 윤리』의 토대로서 기독교적 실존 분석
2. 성도에게 있어 변화된 율법
3. 현실 해석학으로서의 기독교 윤리
4. 타협 윤리
제4부 맺음말
참고 문헌
저자소개
책속에서
그리스도인의 윤리적인 삶이란 하나님과 우리 자신, 세계에 대한 우리의 믿음과 이 믿음에 근거한 행동을 수반한다. 이는 하나님이 어떠한 분이시며, 인간 존재의 본질은 무엇인지, 구원받은 하나님의 자녀로서 우리는 누구인지, 피조물에 대한 하나님의 계획은 무엇인지를 뚜렷이 인식하면서 사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점에서 그리스도인들은 ‘삶 속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윤리적 문제에 직면했을 때, 가장 먼저 하나님의 뜻에 부합하게 반응하는 것은 어떤 것인가?’라는 가장 근원적인 문제로 되돌아가야만 한다. 이러한 윤리학적 방법은 철저한 신학적 토대 위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므로 윤리학은 교의학과 윤리학의 통합적인 관점에서 전개되어야 한다.
루터는 ‘믿음으로 말미암은 의인(義認)’만이 모든 기독교 윤리의 근간이라고 주장한다. 이러한 윤리는 구원의 결과로서 윤리적 행위가 주어지며, 하나님에 대한 감사에서 나오는 자발적인 행위라고 규정한다. 그는 이러한 규정에 앞서 인간 존재의 실존에 대한 깊은 이해와 신앙의 개념, 신앙과 행위와의 관계를 우선적으로 고찰한 후, 그의 신앙의 윤리를 전개해 나간다.
본회퍼의 삶과 신학은 자신이 처한 상황 속에서 과연 ‘무엇이 하나님의 뜻인가’라는 실존적 질문에서 시작된다. 본회퍼는 그의 삶을 통해 자신의 신학을 실현하고 성취해 가려는 발걸음을 쉬지 않고 걸어간 신학자이자 실천가라고 볼 수 있다. 본회퍼에게 신학 윤리의 문제는 그리스도 안에서 일어난 하나님 계시의 현실이 피조물에서 실현되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본회퍼는 하나님의 현실과 세상의 현실을 구분하여 이해해 온 당시 서구 교회의 이분화된 영역의 이해를 올바르게 수정하고, 하나님으로부터 부여된 이 땅에서의 그리스도인의 과제와 임무와 본질을 인식시키려고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