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88934122227
· 쪽수 : 456쪽
· 출판일 : 2020-12-31
책 소개
목차
추천사
김 재 영 교수 | LA국제신학교 한국어 프로그램 담당
오 종 향 목사 | 뉴시티교회 담임
이 진 택 목사 | 보스턴늘푸른교회 담임
조 정 민 목사 | 베이직교회 담임
저자 서문
들어가는 글 | 대안적인 사회적 상상으로서 팀 켈러의 신학적 비전
제1장 팀 켈러, 연결과 소통의 신학적 비전을 펼쳐 내다
제2장 팀 켈러, 복음으로 연결하고 소통하다
제3장 팀 켈러, 죄와 우상의 불통하는 능력을 폭로하다
제4장 팀 켈러, 자아상과 정체성으로 연결하고 소통하다
제5장 팀 켈러, 성경과 교리를 통해서 연결과 소통을 신앙 성장의 원리로 제시하다
제6장 팀 켈러, 문화 속의 공적 신앙으로 연결과 소통으로 나아가다
제7장 팀 켈러, 사회 정의로 연결과 소통으로 나아가다
제8장 팀 켈러, 연결과 소통으로 세상 속의 『일과 영성』을 회복시키다
나오는 글 | 한국 사회를 위한 신학적 비전 정립을 꿈꾸며
참고 문헌
저자소개
책속에서
켈러는 컴퓨터의 비유를 통해서 신학과 교리적 전통을 하드웨어로, 목회적 방법론과 프로그램들을 소프트웨어로 비유한다. 이런 비유는 하드웨어가 잘 바뀌지 않고 유연성이 그다지 없는 반면, 소프트웨어는 필요나 상황에 따라서 유연성을 가진다는 면에서 꽤나 적절하다. 그리고 켈러의 이런 컴퓨터 비유는 신학적 비전의 위치가 이 둘 사이를 연결해 주는 미들 웨어라는 데서 정점을 이룬다.
연결과 소통이라는 관점에서 보면, 내 시선이 더이상 나의 자아상과 나의 정체성을 해결하는 데 머물지 않아도 된다는 소식은 하나님과 사람들과 연결되고 소통할 길을 열어 준다. 내 문제, 내 상처가 가장 커 보이기에, 그걸 제일 먼저 해결해야 하는 사람들에게는 하나님은 물론 다른 이들과도 연결되고 소통하지 못하게 만드는 큰 벽이 존재한다.
켈러의 성육신적 성경 읽기는 성육신 교리가 가진 의미를 다시 살려 내기 위해서도, 또 신앙 성장을 위해서도 매우 중요하다. 접점과 역할 모델을 제시하는 일은 우리의 신앙 성장에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접점과 역할 모델은 하나님과 사람 사이에 연결과 소통이 실제로 회복되는 길이며, 또한 그를 통해서 사람과 사람 사이의 관계 또한 연결과 소통으로 나아간다. 우리는 하나님이 예수 그리스도의 성육신하심을 통해서 이루신 일이 근본적으로 우리와 당신 사이에 접점을 만들어 내신 일이며, 또한 그 접점을 통해서 역할 모델을 제시하신 것이라는 사실을 잊지 말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