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상담/치유
· ISBN : 9788934123040
· 쪽수 : 180쪽
· 출판일 : 2021-06-17
책 소개
목차
추천사
이 세 용 박사 ㅣ안산반월교회 원로목사, 전(前) 총신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수,
『새벽만나』 저자
신 동 진 목사 ㅣ동은교회 담임, 전(前) 남아공 케이프타운 한인교회 담임
김 일 두 박사 ㅣKAIST 신소재공학과 석좌교수
저자 서문
제1장 공감적 피로의 영적 외상 이해 14
1. 공감적 피로의 배경 14
2. 기독교 정신 건강 보호자인 목사의 공감적 피로의 영적 외상 19
제2장 공감적 피로의 영적 외상에 관련된 용어 및 특징 28
1. 외상과 외상 스트레스 28
2. 이차적 외상 32
3. 영적 성숙 50
4. 하나님 이미지 53
제3장 공감적 피로(CF) 현상에 대한 목회 전략상 예방 55
1. 공감적 피로의 생존전략 54
2. 공감적 피로 예방을 위한 모델 68
제4장 외상 돌봄에서 정신 건강 보호자로서의 목사 125
1. 외상 돌봄에서 정신 건강 보호자로서 목사의 역할 125
2. 외상 돌봄에서 목사의 하나님 이미지 130
3. 정신 건강 보호자로서 목사(성직자)의 위치 변화: 성취(스트레스)에서
4. 소명, 헌신 그리고 봉사(도움)의 사역에로의 재구성 141
제5장 전체 요약과 결론 151
참고 문헌 156
부록 1 공감적 피로 자가 검사 163
부록 2 영적 외상 검사 167
부록 3 목회 의미 차등분석 170
부록 4 목회 상담을 위한 간단한 진단 차트 173
저자소개
책속에서
고통에 괴로워하는 사람과 상담을 진행한 결과, 정신 건강 보호자로서의 목사는 공감적 피로의 “공감 스트레스”(compassion stress)를 경험한다. “공감 스트레스”는 내담자의 고통 노출과 관련된 스트레스로서 정의되고, “공감 능력”(empathy ability)은 다른 이들의 고통을 감지하는 능력으로 규정된다.
이런 공감적 기질은 흔히 조력자(도우미, helper), 특히 정신 건강 보호자(목사)로서의 역할을 선택하도록 사람들을 이끈다. 결국, 이 능력은 내담자(피해자, suerer)에 대한 노출 기능으로서, 고통받는 내담자의 정서를 경험하는 것으로서 정의되는 “정서 전염”(emotional contagion)에 대한 민감성과 연관된다(Figley, 1995, 252).
외상적 사건은 사람이 통제하지 못하는 강렬한 자극에 잠기는 것이다. 신체적, 심리적 발달, 연령 그리고 외상이 일어나는 특별한 환경을 포함한 많은 조건은 개인이 특별한 외상적 사건에 어떻게 그리고 어느 정도 반응할 것인가에 영향을 미친다(Figley, 1995, 131-132).
외상적 사건들에 노출되거나 외상적 사건의 결과로 초래되는 정신 병리는 정신 건강의 부정적 영향을 줄이기 위해 외상적 사건들에 노출된 사람들의 일시적 능력을 통해 건강 위험 행동들을 발달시키거나 유지하도록 이끌 수 있다(Figley, 1995, 131; Schnurr & Green, 2004, 217).
십자가의 빛 속에서 공감적 피로로 고통받는 사람은 그들의 고난과 함께하시고 그들의 고난 속에 함께 계시는 하나님의 존재를 발견하게 된다. 하나님의 연민은 위로하시는 신학적 현실(comforting theological reality)을 제시하는데, 이것을 통해 목회 돌봄은 공감적 피로로 고통당하는 자에게 새로운 비전을 제공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