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 역사
· ISBN : 9788934125341
· 쪽수 : 456쪽
· 출판일 : 2023-02-28
책 소개
목차
저자 서문 6
제1부 최근 교회사 연구 동향과 여성 9
제1장 최근 교회사 연구 동향과 주제 10
제2장 최근 교회사 연구 방법론과 동향 14
제3장 기대와 비전 18
제2부 1세기 지중해 문화와 여성 21
제1장 유대주의와 여성 23
제2장 그리스 사회와 여성 29
제3장 마케도니아와 소아시아의 여성 34
제4장 로마 사회와 여성 36
제3부 신약성경 시대와 여성 41
제1장 예수님과 여성 43
제2장 바울과 여성 69
제3장 히브리서와 공동서신, 그리고 여성 98
제4부 성경 시대 이후 비주류 교회와 여성 106
제1장 『요한행전』에 나타난 여성 금욕주의 공동체 111
제2장 『데클라행전』에 나타난 데클라 인물 연구 137
제3장 『 마리아복음』에 나타난 “사도들의 사도”, 막달라 마리아 168
제4장 영지주의와 여성 198
제5장 몬타누스주의와 여성: 여예언자 , 여선지자, 여사제 227
제5부 정통 교회와 여성 246
제1장 정통 교회에 나타난 여성 247
제2장 정통 교회로부터 여성 리더십의 이탈 268
제3장 교회 질서 속의 여성: 여성 직제 270
제4장 초대교회의 여성 성직제도 ‘과부’의 역할과 지위 279
제5장 아우구스티누스의 여성 이해 310
제6장 마르켈라(325-410)와 아벤티누스회(會) 342
제7장 4-5세기 팔레스타인 지역의 그리스도교 성지 개발과 여성의 공헌 371
에필로그 405
색인 445
사진 목록과 출처 454
저자소개
책속에서
성경과 초기 그리스도교 역사를 보면 적극적으로 영향력을 행사했던 여성들이 나타난다. 예수님의 활동 시대와 때와 사도 시대, 아직 교회가 제도적 기구로 모습을 갖추기 전 원시 그리스도교 공동체 때부터 여성들이 그리스도교라는 신생 종교가 생겨나고 발전하고 정착하는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 것을 부인할 수 없다. 막달라 마리아는 부활을 처음 목격한 증인이다. 부활은 그리스도교 신앙 정체성의 중심이므로 부활 사건의 역사적 증인인 그녀의 위상은 교회의 존립과 연관될 만한 가치이다.
사도들에 의해 그리스도교가 팔레스타인 지역을 넘어 세계로 나아갈 때 가정교회(house church)를 중심으로 퍼져 갔다. 가정교회에서 여성들의 활동이나 리더십이 두드러짐을 볼 수 있다. 이후 속사도 시대와 3-5세기까지 고대교회에서 여성은 순교자로, 전도자로, 선지자로, 수덕자로, 교사로, 장로와 집사로, 다양한 영역에서 모범을 보였다.
벤시라가 악한 아내를 묘사할 때 여성을 모든 죄의 근원(sin-originating)이라고 하였다. 이 표현이 중요한 것은 훗날 고대교회 교부들은 벤시라 문헌이 “한 여성으로 말미암아 모든 인류가 죄에 놓이게 되었다”라며 교회가 여성을 비하하는 근거로 삼았다는 점이다.
우선적으로 바울은 11:2-16에서 고린도교회 성도들이 자신이 가르쳐 준 대로 잘 지켰다고 칭찬한다(2절). 그가 가르쳐 준 것은 무엇인가? 그가 가르쳐 주고 고린도교회가 잘 실천하고 있었던 것은 교회에서 남자나 여자나 신령한 영을 따라 기도하고 예언하는 활동을 말한다. 고린도교회가 그의 가르침대로 잘 실천하고 있었지만 주변의 문화와 관습(이교도 관습이나 유대 전통 등)으로 인해 내부적으로 많은 문제가 생겨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