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 교육
· ISBN : 9788934127512
· 쪽수 : 256쪽
· 출판일 : 2024-10-07
책 소개
목차
추천사 1 이덕승 박사│부천 열방교회 담임목사 1
추천사 2 김대혁 박사│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 부교수 2
추천사 3 정푸름 박사│치유상담대학원대학교 상담학 교수 4
추천사 4 카렌 E. 존스 외 3인 5
한국어판 저자 서문 11
역자 서문 13
서론 신앙 형성의 차원 15
제1부 / 신앙 형성의 신학적 차원 21
제1장 성경의 신앙 형성 22
제2장 기독교 전통에서의 신앙 형성 43
제3장 신앙 형성 이론의 개정 71
제4장 신앙 발달 이론 비평 98
제2부 / 신앙 형성의 회중적 차원 116
제5장 신앙 형성에 대한 문화적 도전 117
제6장 공동체에서의 신앙 형성 151
제7장 신앙 형성에 있어서 성경의 역할 175
제3부 / 신앙 형성의 세계적 차원 195
제8장 선교를 통한 신앙 형성 196
제9장 다민족적 상황에서의 신앙 형성 215
제10장 세계화 상황에서의 신앙 형성 237
저자소개
책속에서
믿음은 종종 100퍼센트가 아닌 신앙과 불신앙 사이의 균형이다. 예수님께 자신의 아이를 고쳐 달라고 부탁한 아버지의 속마음은 이를 보여 준다.
곧 그 아이의 아버지가 소리를 질러 이르되 내가 믿나이다 나의 믿음 없는 것을 도와주소서 하더라(막 9:24).
믿음은 출발점이 있을 수 있지만, 우리의 삶을 특징짓기 위해 불신앙을 극복하면서 증가하기 위한 것이기도 하다. 이런 관점은 바울이 다른 사람들과 비교해 “믿음이 연약한” 사람들에 대한 글을 쓸 때 반영되었다(롬 14:1-4).
하나님이 주신 선물은 믿음이라는 초자연적 변화, 순간적 성숙이 아니다. 결론적으로 바울은 구원받는 믿음에 대해 이야기하고, 베드로는 성숙한 믿음에 대해 이야기한다고 말할 수 있다. 신앙 형성과 관련해서는 두 가지 모두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신앙의 사회화에 대한 그의 견해는 사회학적 관점보다는 신학적 관점에 더 뿌리를 내리고 있다. 넬슨 그리고 웨스터호프와 마찬가지로 리처즈 역시 삶으로서의 신앙은 주일학교나 교육적 수업 모델보다 관계적 사회화 모델에 의해 가장 잘 전달된다고 믿는다. 즉, 신앙은 오히려 문화에 가까운 모습으로 학습되며 예배, 교제, 소그룹을 통한 관계와 모범을 통해 가장 잘 전달된다고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