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New Interpreter's 설교 핸드북

New Interpreter's 설교 핸드북

폴 스콧 윌슨 (엮은이), 최진봉, 주교돈, 이상규, 구아름 (옮긴이)
기독교문서선교회(CLC)
4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40,500원 -10% 0원
2,250원
38,250원 >
40,500원 -10% 0원
0원
40,5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New Interpreter's 설교 핸드북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New Interpreter's 설교 핸드북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설교/성경연구
· ISBN : 9788934128120
· 쪽수 : 880쪽
· 출판일 : 2025-05-15

책 소개

설교를 위해 필요한 자료들을 총망라한 책으로, 영미권의 주류 신학계와 강단에서 애독되고 있는 설교 핸드북이다. 예배학자를 비롯해 성자, 조직신학자, 교육학자, 커뮤니케이션학자, 현장 설교자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 135명이 설교와 관련해서 성경, 신학, 철학, 해석학, 역사, 문화, 사회, 윤리, 수사학, 예술, 심리, 목회실천을 다루었다.

목차

•추천사
윤철호 박사 _ 장로회신학대학교 명예교수(조직신학) 5
안선희 박사 _ 이화여자대학교 기독교학과/신학대학원 예배학 교수 6
정창균 박사 _ 설교자하우스 대표 8
박종환 박사 _ 실천신학대학원대학교 예배학 교수 9
오현철 박사 _ 성결대학교 설교학 교수 9
류원렬 박사 _ 평택대학교 피어선신학전문대학원 설교학/실천신학 교수 10
이승진 박사 _ 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 설교학 교수 10
나형석 박사 _ 협성대학교 명예교수(예배설교학) 11
안덕원 박사 _ 횃불트리니티신학대학원대학교 실천신학 교수 11
김영봉 박사 _ 와싱톤사귐의교회 담임목사 11

책임 편집자 서문 │ 폴 스콧 윌슨 _ University of Toronto 명예교수(설교학) 12
역자 서문 │ 최진봉, 주교돈, 이상규, 구아름 17
설교학 수업에서 『New Interpreter’s 설교 핸드북』 사용법 19
『New Interpreter’s 설교 핸드북』을 활용한 매주 설교 준비 23
기고자 38

제1장 성경 45
제2장 성경의 장르들 150
제3장 윤리 236
제4장 문학비평 278
제5장 시학 330
제6장 설교자 399
제7장 사회적 위치 465
제8장 경험 525
제9장 수사학 605
제10장 설교 651
제11장 신학 756

저자소개

폴 스콧 윌슨 (엮은이)    정보 더보기
University of London (Ph.D.) Emmanuel College, University of Toronto 명예교수(설교학) Academy of Homiletics 회장 역임 [저서] Setting Words on Fire (Wipf and Stock, 2016) The Four Pages of the Sermon (Abingdon Press, 2018) The Practice of Preaching (Abingdon Press, 2007) God Sense: Reading the Bible for Preaching (Abingdon Press, 2001) 외 다수
펼치기
최진봉 (옮긴이)    정보 더보기
장로회신학대학교의 교수로 2009년부터 예배·설교학을 가르쳐오고 있다. 그는 침례신학대학교의 학부에서 신학(B.A.)을 공부하고 장로회신학대학교의 신학대학원에서 신학(M.Div.)을, 동 대학원에서 ‘한국의 유교제사에서 본 기독교 성례전 이해’라는 연구로 실천신학(Th.M.)을 전공했다. 이후 미국 컬럼비아 신학대학원(Columbia Theological Seminary)에서 ‘유카리스트 식탁과 공동체를 세우는 설교’에 대한 연구로 신학석사(Th.M.)를, 캐나다 토론토 대학교(University of Toronto)와 낙스칼리지(Knox College)에서 ‘폴 리꾀르의 믿음의 해석학과 한국교회의 복음의 전유를 위한 설교신학’에 관한 연구로 신학박사(Dr.Theol.)를 마쳤다. 그의 관심 분야는 설교를 위한 신학적 해석학, 말씀과 계시의 신학, 성서적 복음과 설교, 전례독서와 전인적 성서읽기, 예배와 성찬의 해석학, 세대통합과 전인적 예배 등이다. 그의 최근 논문들 중에는 “설교를 위한 전인적 본문읽기로서 ‘거룩한 읽기’(Lectio Divina)의 수용에 관한 연구”(2021)와 “성화의 공동체적 수행으로서 개혁교회 예배에 관한 연구:『스트라스부르그 예배(The Form of Church Prayer, 1545년)』를 중심으로”(2022) 등이 있다. 그의 저술로는 『목회매뉴얼: 설교목회』(2012)(공저), 『교회력에 따른 예배와 설교핸드북』(2015~2019)(공저)와 역서로 폴 스캇 윌슨의 『설교를 위한 성경 속 하나님 읽기』(2019) 등이 있다. 그는 <한국예배학회> 회장을 역임하고, 현재 <한국설교학회> 수석부회장을 맡고 있다.
펼치기
주교돈 (옮긴이)    정보 더보기
장로회신학대학교 신학대학원 (M.Div.) 장로회신학대학교 일반대학원 (Th..M.) 미국 Drew University (S.T.M.) 캐나다 University of Toronto & University of St. Michael's College (Ph.D.) 장로회신학대학교 예배설교학 조교수
펼치기
이상규 (옮긴이)    정보 더보기
협성대학교 신학대학원 (Th.M.) 미국 Wesley Theological Seminary (M.Div.) 미국 Emory University (Th.M.) 캐나다 University of Toronto & Victoria University (Th.D.) 협성대학교 예배설교학 초빙교수, 평택대학교 예배설교학 외래교수
펼치기
구아름 (옮긴이)    정보 더보기
장로회신학대학교 신학대학원 (M.Div.) 장로회신학대학교 일반대학원 (Th.M.) 캐나다 Vancouver School of Theology (Th.M.) 캐나다 University of Toronto & Victoria University (Ph.D.) 실천신학대학원대학교 설교학 조교수, 서울장신대학교 예배설교학 객원교수 [저서] Eliana Ah-Rum Ku, Lament-Driven Preaching: Proclaiming Hope amid Suffering (Eugene, OR: Pickwick Publication, 2024) 『대한예수교장로회 예배예식서』 (공저, 2022)
펼치기

책속에서

아프리카계 미국인 설교자들은 성경적 전통과 서사들에 따라 북미 기독교를 개혁하고 노예제의 잠재적 파멸성과 인종 차별주의라는 사라지지 않은 유산에 맞서곤 한다. 심지어 흑인교회라는 제도는 그러한 인종 차별적 현실로부터 파생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왜냐하면, 그러한 현실은 신앙공동체와 예배에 직접 지대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의 전인성과 자유를 향한 추구는 설교에서 이어져 왔다. 그들의 설교는 압제의 폭풍을 헤쳐 나가면서 기본적인 생존과 해방을 향한 그들의 갈망의 표현이기도 했다.
그러나 전인성의 추구와 역사적 해방 사이의 균형은 취약하다. 그 둘 간의 조화가 가능한 것은 아프리카계 흑인 해석학이 많은 부분 설교의 수사학적 전략에 의존해 있기 때문이다. 압제의 상황에서 전인성과 해방을 추구하는 것이 목회-예언자적 변증학이 성경 해석을 지속할 수 있게 한다. 그렇기에 그런 변증법적 균형이 보장되지 않을 때 성경 해석은 위기를 맞이한다. 왜냐하면, 그런 위기에서 전인성을 향한 주요 수사학은 해방과 사회적 책무를 향한 비전을 상실하고 말기 때문이다.


그래서 설교자는 성경 구절을 기록 중심 문화의 관점보다는 기록된 문서를 가지고 낭독하는 구술-청각이나 수사적 연출의 관점에서 이해해야 한다. 이를 위해 설교자는 큰 소리로 본문을 읽어야 하고, 그보다 중요한 것은 녹음된 소리나 낭독자의 생생한 목소리로 듣는 것이다. 그렇게 함으로써 설교자는 본문을 고대 공동체가 경험한 방식대로 구술-청각 또는 수사적 사건으로 경험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이러한 연구들은 설교로 하여금 설교는 그 자체로 본성상 구술적 행위임을 명심하게 한다. 설교는 단순히 과거에 쓰인 글의 한 부분에 대한 보고 행위가 아니다. 오히려 설교는 오늘 시대의 청중에게 고대 이야기 구술자가 그들의 청중을 위해 행했던 바를 다시 행하는 일이다. 그러므로 설교는 구술-청각 또는 수사적 방식으로 본문과 그에 대한 해석을 말해야 한다. 이는 이야기에 신선한 형식을 부여하여 오늘의 상황에 보다 적합하게 한다.


자료비평은 본문의 특징들에 대한 안목을 제공한다. J, D, E, P 문서들에 대한 설교가 성공하리라 장담 못 하지만, 창세기 1-3장이 서로 다른 두 문서에서 나온 서로 다른 창조 이야기를 제시한다는 내용은 설교자가 본문 간 상이점, 공통점, 그뿐만 아니라 창세기를 하나의 이야기로 묶으려는 자는 누구라도 J, E, P의 이야기들도 같은 이야기에 속해 있음을 생각하도록 돕는다. 두 문서 가설(마태와 누가 배후에 마가와 Q 자료가 있다는)의 효력은 그 이론이 다른 이론보다 산술적으로 더 적합한 것처럼 보이고, 나아가 설교에서도 더 유용하게 쓰인다는 데 있다. 마태복음과 누가복음을 마가복음의 초기 해석으로 간주하는 것은 그 두 본문을 이해하는 데 길을 열어 준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