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트렌드/미래전망 > 트렌드/미래전망 일반
· ISBN : 9788934900221
· 쪽수 : 284쪽
· 출판일 : 2020-03-13
책 소개
목차
추천사_ 시대의 흐름을 읽어내는 힘
책을 펴내며_ 미래 산업으로의 성공적 이행을 위하여
책을 만든 사람들
프롤로그_ 4차 산업혁명 시대 신뢰의 진화를 위한 공동선과 공동부
1부. 앞으로 10년 미래 시나리오
1. 위기는 오는가
대한민국의 위기 시나리오
데이터가 보내오는 경종
2. 아직 희망이 있는가
대한민국 미래의 희망 시나리오
성장·포용·공유 사회의 미래
3. 어떻게 미래를 만들 것인가
전문가·창업가들이 말하는 대한민국의 미래: 전환, 혁신, 합의
2부. 혁신을 떠받치는 3대 시스템
1. 전환 시스템
국제지정학으로 보는 한반도 리스크
대한민국 위치권력의 전환: 구조적 공백 침투
2. 혁신 시스템
디지털 전환 시대, 알고리즘으로의 가치 혁신
연구개발 전략 혁신: 규제와 통제에서 개방과 소통으로
3. 합의 시스템
사회적 타협과 변화: 포지티브 규제를 넘어
혁신 사회안전망 시스템: 공동선과 공동부
3부. 대한민국 산업의 과제 및 전략
1. 산업 전략의 프레임워크
사회 혁신을 통한 한국형 플랫폼화 전략
규제 거버넌스의 전환: AI 기반 규제영향평가
2. 전통 산업 전략: 투트랙 전략과 스마트화
제조업의 혁신·전환 전략
‘소부장’ 중소기업 고도화
3. 신산업 전략: 욕망의 사업화
인간의 미충족 욕망에서 찾는 신산업 전략
신산업 인프라 구축과 규제 개혁
4부: 미래 세대를 위한 혁신 사회적 자본
1. 분산적 신뢰와 자기조직화 거버넌스
2. 공동선을 이루는 혁신과 전환
참고문헌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한국은 성장과 분배 문제를 제대로 해결하지 못해 저성장과 양극화에 발목이 잡혀 있다. 양극화는 사회 갈등을 증가시키고 결과적으로 갈등의 중재자로서 정부를 끌어들인다. 그리고 정부는 각종 규제를 낳아 ‘창조적 파괴’를 가로막게 된다. 지난 250년간 시장 경제는 성장과 분배를 모두 달성하는 해결책을 내지 못해 사회주의와 자본주의 간 이념 대립의 원인이 되기도 했다. 국제사회는 이러한 문제를 인지하고, 성장과 분배를 동시에 추구하는 ‘포용적 성장’에 주목하고 있다.
데이터와 알고리즘의 중요성이 높아지는 디지털 전환의 시대에는 재산권의 개념 역시 디지털 자산으로 확장된다. 현재 개인 데이터는 플랫폼 서비스의 이용 대가로 간주되어 약관에 따른 동의 절차를 거쳐 무료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데이터의 중요성이 높아지면서 개인 데이터의 소유권에 대한 논의가 활발해지고 있다. 앞으로는 데이터를 활용해 만든 알고리즘도 재산권의 보호 대상이 되어야 하는지에 대해 논의가 확대될 것이다.
기술 개발은 항상 불확실성을 내포한다. 의도했던 목표를 이루지 못했어도 그것이 곧 실패는 아니다. 목표를 달성하지 못했어도 새로운 지식을 발견해 이후에 수행할 많은 프로젝트에 큰 도움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실패를 용인하지 않는 환경에서 연구자는 성공에 집착하게 되고 도전적이고 창의적인 연구는 수행할 엄두도 내지 못한다. 이러한 환경이 바뀌지 않으면 코리아 패러독스는 사라지지 않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