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날씨를 마음대로, 기상조절

날씨를 마음대로, 기상조절

국립기상연구소 지구환경시스템연구과 기상조절연구팀 (지은이)
김영사
9,9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8,910원 -10% 2,500원
490원
10,92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111개 2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날씨를 마음대로, 기상조절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날씨를 마음대로, 기상조절 
· 분류 : 국내도서 > 청소년 > 청소년 수학/과학
· ISBN : 9788934934103
· 쪽수 : 196쪽
· 출판일 : 2009-03-27

목차

들어가며 - 이제 날씨는 하늘의 뜻이 아니다

1장 기상조절이란 무엇인가?
1.기상조절이란?
2.어떻게 기상조절을 할 수 있을까?
3.왜 기상조절 기술이 필요할까?

2장 기상조절의 역사
1.조절일까, 조작일까?
2.전 세계는 지금 기상조절 중
3.우리나라의 기상조절 연구는 어디까지 진행되었을까?

3장 우리나라 기상조절 실험, 어디까지 왔을까?
1.기상조절 실험을 위한 몇 가지 조건들
2.대관령 구름물리선도관측센터에서는 무슨 일을 하고 있을까?
3.기상조절이 가져다주는 경제적 이익
4.기상조절의 경제적 이익을 따지기 전에 생각해야 할 것들

4장 새로운 기상조절 기술 알아보기
1.모스크바 붉은 광장에 비가 오지 않는 이유
2.바다에서 비를 만드는 기술이 의미하는 것
3.기상변화에 대처하는 새로운 기술들

5장 기상조절, 문제점은 없을까?
1.많은 돈과 시간이 필요한 기상조절 기술
2.환경 파괴일까, 개선일까?
3.사회적 합의로 만들어야 할 기상조절법
4.기상조절 기술의 필수 조건은 정책 지원

6장 앞으로 무엇을 해야 할까?
1.출발선에 선 국내 기상조절 프로젝트
2.기상조절 기술 발전을 위해 필요한 것들

나오며 - 하늘을 지배하는 가장 빠르고 안전한 방법 , 과학적 겸손함
참고문헌

저자소개

국립기상연구소 지구환경시스템연구과 기상조절연구팀 (지은이)    정보 더보기
국내 유일의 기상조절 실험연구팀. 2008년 3월, 용평 스키장을 목표지역으로 설정한 인공증설 비행 실험을 성공적으로 수행하여 국내 최초로 비행 실험을 통한 인공증설 효과를 확인했다. 기상조절의 핵심 기기인 ‘기상조절용 구름씨 살포기’ ‘기상조절 실험용 연소탄 점화장치’ 등 2006년 1월~2009년 3월까지 3년간 특허등록 4건과 출원 5건을 했으며 SCI(Science Citation Index) 등 국내외 유수의 학술지에 논문 24편을 게재하였다. 2009년, 대관령 지역에서 인위적으로 안개의 양을 조절하는 ‘인공안개조절실험’을 비롯하여 꾸준한 실험을 통해 기상조절의 재현성 확보를 마련해 나갈 예정이다.
펼치기

책속에서

기상학의 역사를 거슬러 올라가면, 고대로부터 전해오는 날씨에 관한 속담에 도달하게 된다. 하늘의 기색을 살피며 날씨를 예측하던 시기에는 대체로 경험적인 사실들을 통계적인 언급으로 정리하는 수준이었다. 예를 들자면 ‘제비가 낮게 날면 비가 온다’, ‘아침 무지개는 비가 올 징조, 저녁 무지개는 날씨가 갤 징조’ 등 우리에게도 익숙한 속담들이 그렇다. 하지만 이런 속담들을 그저 비과학적인 경험주의라고 무시할 수만은 없다. 비가 올 무렵 제비가 낮게 나는 것은 대기 중에 수증기가 많아지고 대기가 불안정해져 높은 상공을 비행하기 힘들고, 주식으로 삼는 곤충들도 습기 때문에 낮게 날아다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제비가 낮게 날면 비가 온다’라는 말은 과학적으로 근거가 있는 속담이다. - p.49~50 '2장 - Chapter1 조절일까, 조작일까?' 중에서

얼마 전 이스트룬드 박사와 옛 하프 과학자들은 TV에 출연해 일반인에게는 ‘전자파로 날씨를 측정하는 장치’로 알려져 있는 하프가 실질적으로는 ‘가공할 만한 힘을 가진 인공 자연재해 발생 장치’라는 사실을 폭로하였다. 영국의 BBC 방송은 2004년 동남아를 강타했던 쓰나미는 단순한 자연재해가 아니라 하프가 의도적으로 일으켰거나, 적어도 군사실험 중 발생한 실수의 결과였을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했다. BBC는 그 의혹의 근거로 미국 유일의 인도양 미군기지인 ‘디에고 가르시아’는 당시 지진의 진앙지 부근이었음에도 그 어떤 피해도 입지 않았으며, 당시 미군 4,000여 명이 미국 지질해양국의 사전 경고를 받고 대피했다는 점을 들고 있다. - p.57 '2장 - Chapter1 조절일까, 조작일까?' 중에서


총 세 번의 비행실험 중, 두 번째 실험일인 3월 4일 실험에서 인공강설 효과가 보다 확연히 나타났다. 수집된 관측 결과를 분석해보면, 요오드화은을 뿌린 후 약 20분 후에 구름씨 뿌리기 지역부터 레이더 반사도가 증가하는 모습이 분명하게 나타났다. 또한 용평 지상에 설치된 강설입자 계측기(디스트로메타)에서도 역시 요오드화은 살포 후 약 30분이 지난 시점부터 강설 입자의 농도가 급격히 증가하는 것이 보였다. 지상 레이더 자료로 실험 전후를 분석해 볼 때 실험지역으로의 구름 유입이 없는 것으로 나타나 자연적인 증설이 아닌 요오드화은 살포에 의한 인공 증설 효과임을 다시 확인할 수 있었다. - p.114~115 '3장 - Chapter2 대관령 구름물리선도관측센터에서는 무슨 일을 하고 있을까?' 중에서

마치 공상과학영화 같은 프로젝트지만, 지구의 온난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진지하게 준비되고 있는 프로젝트가 있다. ‘선쉐이드(Sunshade) 프로젝트’라고 불리는 이 계획은 우주 공간에 거대한 반사경을 설치하고, 황산염(sulfate) 또는 다른 반사 입자(reflective particle)를 성층권에 에어로솔 형태로 살포하거나 대류권에 구름 응결핵(cloud condensation nuclei)을 주입하여 구름의 반사성(reflectivity)을 강화하는 등의 프로젝트다. 이산화탄소의 증가로 심각한 지구온난화 위험을 겪고 있는 가운데 선쉐이드 프로젝트를 통한 2퍼센트의 일광 감소는 표면 온난화를 저지하는 데 상당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 p.154~155 '4장 - Chapter3 기상변화에 대처하는 새로운 기술들'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