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어린이 > 사회/역사/철학 > 세계사
· ISBN : 9788934999850
· 쪽수 : 128쪽
· 출판일 : 2019-12-19
책 소개
목차
추천의 글 4
머리말 6
1. 고구려, 백제, 신라 그리고 하늘
삼국은 천문 현상에 관심이 많았어…13
삼국은 일식에 주목했어…16
일식 예측이 틀리면…19
임금이 일식을 무시하면…21
역사의 진실을 가리는 일식 통계…27
2. 통일 신라 시대의 마을
통일 신라 시대의 《민정문서》가 발견되었어…31
통일 신라 시대 마을의 크기는…33
인구를 구분했어…34
가축과 나무를 기록했어…38
우리나라 최초의 인구 조사 자료 《민정문서》…41
3. 고려의 임금과 부인들
왕은 왜 부인이 여럿일까…45
태조 왕건은 왜 유독 부인이 많았을까…48
고려의 두 번째 왕은 어느 부인의 아들이었을까…52
임금의 자리를 차지하려는 싸움이 벌어졌어…53
출산에 관한 통계 법칙…57
4. 고려와 《팔만대장경》
《팔만대장경》이란…63
왜 그때 《팔만대장경》을 제작했을까…64
《초조대장경》…68
1236년과 1237년의 차이는…71
1248년과 1251년의 차이는…76
《팔만대장경》의 미스터리…80
5. 한양 도성 건설
한양 도성 공사를 왜 추울 때 했을까…85
부역할 사람을 어느 지역에서 뽑을까…87
평안도와 함경도 백성은…90
한양 도성 1차 공사 이후…94
명당의 통계와 수도 한양…96
6. 이순신과 명량 해전
왜 12척이었을까…101
명량으로 유인하라…105
명량에서 일자진 전술을…109
명량의 지형 조건…111
명량 해전은 통계 해석의 빛나는 승리…116
찾아보기 118
참고 자료 125
책속에서
달이 지구와 태양 사이에 끼어드는 일은 자주 나타나는 현상이 아니야. 심지어 몇 십 년에 한 번 나타나기도 하거든. 반면 별똥별이 떨어지는 현상은 한 해에도 몇 차례나 나타나. 수성, 금성, 화성, 목성, 토성 같은 행성은 수시로 움직이고, 혜성도 주기적으로 나타나지. 그렇다면 일식보다 별똥별의 낙하와 행성의 운동 횟수가 더 많이 기록되었어야 하지 않을까? 그런데 《삼국사기》의 통계 자료를 보면 어떤 천문 현상보다 일식이 훨씬 더 많이 기록되어 있어. 이유가 뭘까
1933년 10월의 어느 날, 쇼소인에 보관되어 있던 《화엄경 론》이라는 책을 수리하던 중에 그 속에 끼워져 있는 종이에 글자가 적혀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어. 이 종이의 글자를 분석해 보니 통일 신라 5소경 중 하나인 서원경과 그 주변 촌락에 대한 이야기였어. 바로 《민정문서》였던 거야. 《민정문서》가 왜 일본으로 흘러들어 갔는 지 정확히 알 수는 없어. 다만, 《화엄경론》을 보호하기 위해 폐지가 된 《민정문서》를 끼워 넣었을 것이라고 추측하고 있어.
일본의 쇼소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