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청소년 > 청소년 인문/사회
· ISBN : 9788936458744
· 쪽수 : 204쪽
· 출판일 : 2018-05-11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1 우리가 받아 온 교육의 정체
그들은 왜 상대 평가를 하지 않을까?
객관식은 생각을 가로막는다
유럽에 특목고가 없는 이유
2 정답 없는 문제를 탐구하는 시대
치킨인가, 고용 보험인가
창의력보다 자기 주도 학습 능력
지금 같은 대학 교육이 계속 필요할까?
3 ‘탈스펙’과 탈학벌, 노동 시장의 변화
학벌 의식은 어떻게 생겨났을까?
탈학벌의 원인 세 가지
‘스펙’에서 전문성으로
4 양극화와 임박한 파국
임금 격차는 왜 생겼을까?
비정규직과 미래가 없는 노동
장기 파국과 단기 파국
5 청년, 진보의 통념에 도전하라
애국심이 가진 설득력
청년들은 모두 한 배에 타고 있다
양보를 통해 만드는 혁명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여러분이 지금까지 경험한 자기 주도 학습은 대부분 진짜 자기 주도(self-directed) 학습이 아니 라는 거예요. 자기 관리(self-managed) 학습이었습니다. 좀 심하게 표현해 보자면 ‘가짜’라는 말이죠.
고용 형태의 변화를 이야기하면서 ‘스펙’에서 전문성으로 무게 중심이 이동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그런데 ‘스펙’은 비교적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쉬운 반면, 전문성은 그렇게 평가하기 어려운 면이 크지요.
그런데 이러한 변화는 우리 사회 전체, 특히 청년층을 휩싸고 있는 불안감의 핵심을 설명하지는 못합니다. 이를 이야기하려면 지금까지보다 더 거시적인 사회의 변화를 살펴보아야 합니다. 이것은 흔히 ‘양극화’라는 말로 일컬어지는 현상이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