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일반
· ISBN : 9791189228460
· 쪽수 : 324쪽
· 출판일 : 2019-07-05
책 소개
목차
추천의 글
들어가는 글_교육의 본질을 회복하기 위하여
1부 세계 각국의 교육 평가 패러다임
1 각국의 대입 시험, 무엇을 측정하나?
2 우리 교육의 혁신 방향
2부 우리 교육의 현주소
1 입시 위주 교육에 대한 통념
2 교사의 교육권을 회복해야
3 치열한 경쟁과 사교육
3부 IB란 무엇인가
1 유래 및 현황, 교육 목표
2 고등학교 프로그램
3 고등학교 프로그램의 평가
4 중학교 프로그램
5 초등학교 프로그램
4부 IB 한국어화를 구상하다
1 국내의 IB 도입 추진 현황
2 IB 학생의 국내 대학 진학
3 IB 수업과 우리 교실 수업 비교
4 달라지는 제도들, IB와 호응할까?
부록. 일본의 교육 개혁, IB는 어떻게 대안이 되었나?
5부 쏟아진 질문들에 답하다
1 평가 시스템, 신뢰할 만한가?
2 우리 교육과 무엇이 어떻게 다른가?
3 국내 도입 시 우려와 혼란에 대하여
6부 IB를 먼저 경험한 사람들
1 IB 학생과 수능 학생의 교차 실험
2 IB 학생들의 목소리
3 IB 학부모들의 목소리
감사의 글
참고 문헌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영국과 프랑스는 대입에 내신을 반영하지 않고 고교 마지막 2년간 학교에서 당당하게 입시 위주 교육을 한다. 그러면서도 한국보다 훨씬 선진적인 교육을 하는데, 그 결정적인 이유는 입시가 전 과목 논술형이고 교사에게 한국보다 훨씬 높은 수준의 자율성이 주어지기 때문이다. 책 읽고 토론하고 글 쓰는 것이 곧 입시 준비 교육이기 때문에 입시 교육을 부정적으로 보지 않는다.
사교육에서 창의 교육을 막는 것은 공교육에서 창의 교육을 철저하게 막는 방식으로 평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공교육은 객관식 정답 찾기 같은 획일화된 평가 체제를 고수하여 학원 운영에 규모의 경제가 가능하게 함으로써 사교육 생태계를 유지시키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소논문이 사교육의 영향력이 매우 큰 비교과 활동으로 꼽히며 불공정하다고 인식되어 정책적으로 금지해야 할 대상으로 비판받고 있다. 하지만 IB의 소논문은 대학 수준으로 쓰기를 요구하지 않는다. 실제로 어떤 문제를 발굴해 보고 그 답을 찾아 나가는 연구 절차를 한번 해 본다는 데에 의의를 둔다. 그래서 외부 전문가가 아니라 교내에서 정해진 지도 교사와 상담하며 쓰게끔 되어 있다. 학교 밖에서 다 해 오면 인정받지 못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