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예술/대중문화의 이해 > 미학/예술이론
· ISBN : 9788936477882
· 쪽수 : 400쪽
· 출판일 : 2019-11-30
책 소개
목차
제1부 작가와 함께―개인전 서문
추상회화의 시각조응―이륭의 제4회 작품전을 보고
오경환의 첫 작품전에 부쳐
이만익의 그림세계
이정의 ‘한국화전’에 부쳐
이상국―토속적 감성의 회복
박한진―궁핍한 시대의 화가
박한진 작품전 서문
신학철―물체, 인간 그리고 역사
김경인―문제작가?작품전 추천사
김인순―동시대의 경험과 사고와 진실을
유관호―표현의 명쾌함과 정직성
정은기―정은기의 작품전 「천(泉)」에 부쳐
정종해 작품전 서문
임옥상―임옥상의 「아프리카 현대사」에 부쳐
김성호―도시적 삶을 겨냥한 범상치 않은 시선
정연희―정연희의 첫 작품전에 부쳐
이봉기―이봉기의 첫 작품전에 부쳐
권기윤―전통과 혁신, 권기윤의 산수화
이석금―탈에서 육신으로
양순열―양순열의 그림에 대하여
권순철―권순철의 대구미술관전에 부침
김준권―김준권 화업 30여년을 기리며
노태웅―노태웅의 작품전에 부쳐
제2부 그룹전시회
‘현대공간회 조각전’ 서문
‘삼인행’ 제2회전에 부쳐
’82, 인간 11인전―인간을 향한 시선
‘화가?조각가 19인 판화전’을 개최하며
88년 문제작가?작품전―변혁기의 미술
민화의 재현과 창조적 계승을 향하여―제2회 충북민화협회전에 부쳐
제3부 전시회를 기획하며
‘81년 문제작가.작품전’을 열며
삶의 진실에 다가서는 새 구상―젊은 구상화가 11인의 선정에 부쳐
프랑스 신구상회화전―서구미술의 수용에 따르는 제문제
‘평화선언 2004?세계 100인 미술가전’ 서문
고난 극복의 성과, 우리 미술 100년을 되돌아보다
‘20세기 라틴아메리카 거장전’을 개최하며
제4부 미술시평
국립현대미술관의 존재 의의
극복해야 할 국전의 관료성
화단 풍토의 반성―작가와 비평가의 자세
풍요와 빈곤.모순 속의 갈등
시평
일본 현대미술을 어떻게 볼 것인가
1980년대 우리 미술의 과제와 전망―변혁과 창조를 위한 제언
한국미술 10년: 1976~1986―역사적.사회적 주제의식의 대두
세계화 시대 민족예술이 나아갈 길
오늘의 한국미술과 아시아미술의 미래
세계화 시대에 비엔날레의 향방
제5부 『뿌리깊은 나무』 월평
그림과 국민의 세금―국전 개혁의 여러 문제
단체전과 개인전―3월의 세 전시회
젊은 작가들의 실험 정신―26인전과 오수환전과 ‘혼인 이벤트’
세 작가의 ‘한국’ 그림―박성환과 이종상과 이종학의 전시회
낯설고 야릇한 것들―에꼴 드 서울과 서울 ’70
조각가들의 집단행위―현대공간회와 한국현대조각회
돌아온 사람과 떠난 사람―김환기전과 한 작가의 결단
먹을 것 없는 잔치―올 가을의 국전
다시 확인된 국전의 결함―국전 역대 수상 작품전
봄을 기다리며―두 신문사의 미술전
‘동양적’이라는 말―3월의 네 전람회
보이지 않은 ‘새로운 형상성’―제1회 동아미술제
민전에 이길 방법 없나?―올봄의 국전
열리지 못한 새 시대―제1회 중앙미술대전
예술의 공간과 현실의 공간―두 단체와 한 개인의 조각전
그는 ‘한국’을 더 익혔어야 했다―이성자의 전시회
국전의 땅 지키기 싸움―제27회 가을 국전과 삼인행전
현대미술의 시골 밭과 서울 밭―현대미술전 두개
멕시코 인상과 권순철과―한 단체전과 세 개인전
제6부 대담
‘민중미술’ 그 시비를 따진다: 오광수와의 대담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