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사 일반
· ISBN : 9788936482329
· 쪽수 : 574쪽
· 출판일 : 2006-07-10
책 소개
목차
책머리에
'한국현대사'책머리에
제1부 식민지배와 민족해방운동의 추진
제1장 식민 통치의 실상
제1절 무단통치의 탄압
제2절 '문화정치'의 실상
제3절 침략전쟁기의 수난
제2장 민족해방운동의 전개
제1절 3.1운동과 초임 임시정부 활동
제2절 대중운동의 활성화
제3절 공산당운동
제4절 민족혐동전선운동
제5절 중국 관내 민족동일전선운동
제6절 만주 유격투쟁과 조국광복회
제7절 국내 민족통일전선 운동
제3장 식민지 수탈경제의 실태
제1절 식민지 농업정책과 농민경제의 파탄
제2절 식민지 재정과 금융정책의 실태
제3절 식민지 공옵의 실태
제4절 자원약타탈과 교통.통신 및 무역 지내
제4장 식민지 문화정책과 저항운동
제1절 식민지 문화정책
제2절 항일 문화운동의 전개
제2부 민족분단과 통일운동의 전개
제1장 분단체제의 현성 강화
제1절 민족분단의 과정
제2절 6.25전쟁
제3절 분단체제의 강화과정
제2장 민주.통일운동의 전개
제1절 건국준비위원회와 '인민공화국'
제2절 좌우합작운동과 남북연석회의
제3절 4.19 민주.통일운동
제4절 7.4 남북공동성명
제5절 광주민중항쟁과 6.10민주화운동
제6절 남북합의서 체결
제3장 식민지 유제처리와 경제발전
제1절 식민지 유제 처리
제2절 원조경제체제의 전개
제3절 외자경제체제의 전개
제4절 개장경제체제의 전개
제4장 분단시대의 사회와 문화
제1절 분탄체제의 교육과 학원운동
제2절 분단체제하의 노동운동
제3절 분단시대의 문화운동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1930년대 이후 일본제국주의의 대륙침략이 본격화함에 따라 한반도에서는 일본의 병참기지화를 위한 식민지 공업화가 일부 이루어졌다. 그러나 그것은 식민지적 파행성이 심하고 지역적 편재성이 두드러진데다가 조선인 자본의 축적이 거의 없는 공업화에 불과했다. 따라서 일본제국주의의 패망과 함께 식민지 모국 일본과의 연계성이 일시에 끊어져서 한반도의 경제구조는 독자적 구실을 거의 하지 못하게 되었다. 또한 남북분단으로 그 파행성과 편재성이 주는 타격은 한층 더 심해졌다.
더구나 이승만정권은 정치적으로도 좌익은 물론 한국독립당 등 민족해방운동전선 우익세력의 지지도 받지 못해 그 정통성이 약했을 뿐만 아니라 한국민주당 등 국내 우익세력과도 결별하여 지지기반이 급격히 취약해졌다. 이같은 정치적·경제적 악조건 아래서도 한반도의 공산주의화를 막고 자본주의경제체제를 유지해야 했던 미국은 제2차세계대전 후 사회주의권 확대를 저지하기 위한 대외정책의 일환으로 실시한 원조정책을 남한에도 적용했다. - 본문 403~404쪽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