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돌베개 (해방 80주년 기념판) (장준하의 항일대장정)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근현대사 > 일제치하/항일시대
· ISBN : 9788971996706
· 쪽수 : 460쪽
· 출판일 : 2025-08-20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근현대사 > 일제치하/항일시대
· ISBN : 9788971996706
· 쪽수 : 460쪽
· 출판일 : 2025-08-20
책 소개
단독 리커버 에디션 #1 『돌베개』. 장준하 선생의 신념과 6천 리 항일대장정의 의미를 담은 리커버 에디션은 고난의 길이 희망의 길로, 과거의 역사가 현재의 우리를 지켜주는 힘이 된긴 여정을 디자인에 담았다.
과거가 현재를 도울 수 있는가?
죽은 자가 산 자를 구할 수 있는가?
해방 80주년 기념!
시대의 정신을 잇는 알라딘 단독 리커버 에디션
장준하의 『돌베개』, 김구의 『백범일지』
◆ 단독 리커버 에디션 #1 『돌베개』
고난의 길에서 빛의 혁명으로! 희망의 길을 가다
광복군 3대 회고록 중 으뜸으로 꼽히는 『돌베개』
잃어버린 조국을 되찾겠다는 굳은 신념이 만든 기적의 길
장준하 선생의 신념과 6천 리 항일대장정의 의미를 담은 리커버 에디션은 고난의 길이 희망의 길로, 과거의 역사가 현재의 우리를 지켜주는 힘이 된긴 여정을 디자인에 담았다.
1944년 7월 7일, 중국 쉬저우의 ‘쓰카다 부대’에 배속되어 있던 장준하가 일본군이 중일전쟁 7주년을 맞아 기념 회식을 하느라 경계가 느슨해진 틈을 타 김영록.윤경빈.홍석훈과 함께 목숨 걸고 탈출하는 장면으로 시작하는 『돌베개』는 영원한 광복군이자 시대의 ‘등불’이었던 고인이 “또다시 못난 조상이 되지 않기 위하여” 후세에 남긴 뜨겁고도 준엄한 항일수기이다.
오로지 잃어버린 나라를 되찾고자 하는 일념으로 7개월여에 걸쳐 쉬저우에서 충칭 임시정부까지 6천 리나 되는 먼 길을 걸어서 찾아가는 대장정에 굽이굽이 서린 숱한 일화와 1945년 11월 임시정부 환국 직후의 상황까지 2년여의 기간을 다룬 이 책의 무대는 평양에서 쉬저우→린촨→난양→라오허커우→파촉령→충칭→시안→상하이→서울 등지로 광활하게 펼쳐진다. 함석헌 선생이 “내가 이 책을 읽었다기보다 이 책이 나를 빨아들여 하늘과 땅 사이에 회오리바람을 쳤습니다”라고 한 바 있는 이 책은 저자의 표현 그대로 자신보다 앞서 죽어간 “불쌍한 선열들 앞에 띄우는 바람의 묘비”이며, 그 내용은 망국과 분단이라는 “함정에 빠진 젊은 사자들의 울분과도 같이 처절”하다. 진정한 나라 사랑의 길이 무엇인지를 뜨겁게 웅변하는 이 책을 통해 장준하라는 역사의 거목을 추모하며 다시금 오늘을 돌아보자.
◆ 단독 리커버 에디션 #2 『백범일지』
위인의 시대에서 개인의 시대로,
보통사람 김구의 빛나는 기록, 『백범일지』
평범한 사람 백범, 사천 년 꿈속에 빠진 동포에게 깨어나라 외친 백범. 백범 선생은 현재의 빛의 혁명을 보며 빛나는 개인들이 이뤄낸 기적이라 할 것이다. 리버커 에디션에는 빛의 혁명을 이끈 개인 한 명 한 명이 빛나는 점이 되어 이 빛들이 모여 백범 선생을 만들었다. 과거와 현재가 공존하며, 동시에 우리의 도약하는 미래를 보여준다. 분문은 가장 완벽한 판본이라고 인정받아 수많은 사람들에게 읽힌 돌베개의 『백범일지』(2022년 출간)의 내용을 담았다.
27년간 대한민국임시정부를 이끌어온 민족독립운동가이자 자신의 전생애를 조국과 민족을 위해 바친 겨레의 큰스승 백범 김구. 이 책은, 일제 침략 아래 신음하는 우리 민족의 살길을 열고자 해방된 통일조국 건설에 혼신의 힘을 다하다가 끝내 비명에 간 그의 생애를 극명하게 드러내주고 있다.
돌베개의 『백범일지』는 백범의 친필 원본은 물론 등사본과 필사본, 여러 가지 출간본 등 기존에 나온 저본을 일일이 면밀하게 검토 대조하여 교감하여, 지금까지 나온 출간본 가운데 가장 모범적이고 표준이 되는 『백범일지』로 평가받고 있다.
● 편집자 코멘트
과거가 현재를 도울 수 있는가? 죽은 자가 산 자를 구할 수 있는가? 장준하 선생의 6천 리 대장정을 기록한 이 책을 읽으며 다시 한번 한강 작가의 이 물음의 의미를 되새긴다. 또다시 못난 조상이 되지 않겠다는, 내 후손에게는 잃어버린 조국, 나라 없는 설움을 겪지 않게 하겠다는 조상의 분투가 오늘의 빛의 혁명을 이뤘다고 한다면, 이런 내 말을 너무 과장이라고 할 것인가. 그렇다면, 6천 리, 2,400km를 추위와 배고픔을 견디며 오로지 조국 광복을 이뤄내리라는 신념으로 걷고 또 걸었던 장준하 선생의 7개월간의 이 걸음은 어떤가. 장준하 선생의 이 걸음이 사실이듯, 『돌베개』의 이 기록이 오늘의 우리를 만들었다고 해도 결코 과언은 아닐 것이다. 장준하 선생도 지난겨울과 올봄, 응원봉을 들고 빛의 광장을 지켰다. 광복 80주년, 올해의 광복절은 그 어느 때보다 선명한 빛으로 다가온다. 광복절을 마음으로 기억하고 감사하며, 『돌베개』에 담긴 장준하 선생의 신념을 읽어 보는 소중한 날이 되기를 희망한다.
죽은 자가 산 자를 구할 수 있는가?
해방 80주년 기념!
시대의 정신을 잇는 알라딘 단독 리커버 에디션
장준하의 『돌베개』, 김구의 『백범일지』
◆ 단독 리커버 에디션 #1 『돌베개』
고난의 길에서 빛의 혁명으로! 희망의 길을 가다
광복군 3대 회고록 중 으뜸으로 꼽히는 『돌베개』
잃어버린 조국을 되찾겠다는 굳은 신념이 만든 기적의 길
장준하 선생의 신념과 6천 리 항일대장정의 의미를 담은 리커버 에디션은 고난의 길이 희망의 길로, 과거의 역사가 현재의 우리를 지켜주는 힘이 된긴 여정을 디자인에 담았다.
1944년 7월 7일, 중국 쉬저우의 ‘쓰카다 부대’에 배속되어 있던 장준하가 일본군이 중일전쟁 7주년을 맞아 기념 회식을 하느라 경계가 느슨해진 틈을 타 김영록.윤경빈.홍석훈과 함께 목숨 걸고 탈출하는 장면으로 시작하는 『돌베개』는 영원한 광복군이자 시대의 ‘등불’이었던 고인이 “또다시 못난 조상이 되지 않기 위하여” 후세에 남긴 뜨겁고도 준엄한 항일수기이다.
오로지 잃어버린 나라를 되찾고자 하는 일념으로 7개월여에 걸쳐 쉬저우에서 충칭 임시정부까지 6천 리나 되는 먼 길을 걸어서 찾아가는 대장정에 굽이굽이 서린 숱한 일화와 1945년 11월 임시정부 환국 직후의 상황까지 2년여의 기간을 다룬 이 책의 무대는 평양에서 쉬저우→린촨→난양→라오허커우→파촉령→충칭→시안→상하이→서울 등지로 광활하게 펼쳐진다. 함석헌 선생이 “내가 이 책을 읽었다기보다 이 책이 나를 빨아들여 하늘과 땅 사이에 회오리바람을 쳤습니다”라고 한 바 있는 이 책은 저자의 표현 그대로 자신보다 앞서 죽어간 “불쌍한 선열들 앞에 띄우는 바람의 묘비”이며, 그 내용은 망국과 분단이라는 “함정에 빠진 젊은 사자들의 울분과도 같이 처절”하다. 진정한 나라 사랑의 길이 무엇인지를 뜨겁게 웅변하는 이 책을 통해 장준하라는 역사의 거목을 추모하며 다시금 오늘을 돌아보자.
◆ 단독 리커버 에디션 #2 『백범일지』
위인의 시대에서 개인의 시대로,
보통사람 김구의 빛나는 기록, 『백범일지』
평범한 사람 백범, 사천 년 꿈속에 빠진 동포에게 깨어나라 외친 백범. 백범 선생은 현재의 빛의 혁명을 보며 빛나는 개인들이 이뤄낸 기적이라 할 것이다. 리버커 에디션에는 빛의 혁명을 이끈 개인 한 명 한 명이 빛나는 점이 되어 이 빛들이 모여 백범 선생을 만들었다. 과거와 현재가 공존하며, 동시에 우리의 도약하는 미래를 보여준다. 분문은 가장 완벽한 판본이라고 인정받아 수많은 사람들에게 읽힌 돌베개의 『백범일지』(2022년 출간)의 내용을 담았다.
27년간 대한민국임시정부를 이끌어온 민족독립운동가이자 자신의 전생애를 조국과 민족을 위해 바친 겨레의 큰스승 백범 김구. 이 책은, 일제 침략 아래 신음하는 우리 민족의 살길을 열고자 해방된 통일조국 건설에 혼신의 힘을 다하다가 끝내 비명에 간 그의 생애를 극명하게 드러내주고 있다.
돌베개의 『백범일지』는 백범의 친필 원본은 물론 등사본과 필사본, 여러 가지 출간본 등 기존에 나온 저본을 일일이 면밀하게 검토 대조하여 교감하여, 지금까지 나온 출간본 가운데 가장 모범적이고 표준이 되는 『백범일지』로 평가받고 있다.
● 편집자 코멘트
과거가 현재를 도울 수 있는가? 죽은 자가 산 자를 구할 수 있는가? 장준하 선생의 6천 리 대장정을 기록한 이 책을 읽으며 다시 한번 한강 작가의 이 물음의 의미를 되새긴다. 또다시 못난 조상이 되지 않겠다는, 내 후손에게는 잃어버린 조국, 나라 없는 설움을 겪지 않게 하겠다는 조상의 분투가 오늘의 빛의 혁명을 이뤘다고 한다면, 이런 내 말을 너무 과장이라고 할 것인가. 그렇다면, 6천 리, 2,400km를 추위와 배고픔을 견디며 오로지 조국 광복을 이뤄내리라는 신념으로 걷고 또 걸었던 장준하 선생의 7개월간의 이 걸음은 어떤가. 장준하 선생의 이 걸음이 사실이듯, 『돌베개』의 이 기록이 오늘의 우리를 만들었다고 해도 결코 과언은 아닐 것이다. 장준하 선생도 지난겨울과 올봄, 응원봉을 들고 빛의 광장을 지켰다. 광복 80주년, 올해의 광복절은 그 어느 때보다 선명한 빛으로 다가온다. 광복절을 마음으로 기억하고 감사하며, 『돌베개』에 담긴 장준하 선생의 신념을 읽어 보는 소중한 날이 되기를 희망한다.
목차
발문—『돌베개』에 부치는 말
탈출
불로하 강변의 애국가
동족상잔의 와중에서
잊히지 않는 얼굴들
광복군훈련반에서 3개월
라오허커우의 공연
파촉령 넘어 태극기
눈물의 바다
자링 청수는 양쯔 탁류로
8·15 전후 I
8·15 전후 II
임시정부의 환국
주요 등장인물 소개
연보
저자소개
리뷰
추천도서
분야의 베스트셀러 >
분야의 신간도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