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흙으로 빚은 순박함, 우리 옹기

흙으로 빚은 순박함, 우리 옹기

(전통과 현대를 잇는 도예가 조정현의 옹기 이야기)

이윤경 (엮은이)
청아출판사
2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9,800원 -10% 0원
1,100원
18,7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12개 15,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5,400원 -10% 770원 13,090원 >

책 이미지

흙으로 빚은 순박함, 우리 옹기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흙으로 빚은 순박함, 우리 옹기 (전통과 현대를 잇는 도예가 조정현의 옹기 이야기)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디자인/공예 > 공예/도자
· ISBN : 9788936812317
· 쪽수 : 404쪽
· 출판일 : 2023-10-16

책 소개

지금으로부터 40여 년 전에 조정현이 옛 가옥, 사찰, 농가 등에서 만난 다양한 옹기의 모습이 그대로 담겨 있다. 또한 그가 발표한 몇 편의 글을 수록하여 옹기의 어의(語義)부터 소성법, 종류, 도자 역사까지 살펴볼 수 있다.

목차

여는 글

| 조정현의 글 모음 |
- 옹기소론(甕器小論)
- 한국(韓國) 도(陶)와 자기(磁器)의 정형고찰(定型考察)
- 사라져 가는 옹기의 보존과 대책이 아쉽다
- 조정현 상감 질그릇전 ’96

| 옹기와의 만남 |
- 경기도
- 강원도
- 충청도
- 전라도
- 경상도

| 조정현의 소품 모음 |

맺는 글
조정현 약력
엮은이 이윤경 약력

부록 _ 옹기 형태 그림과 사진

저자소개

이윤경 (엮은이)    정보 더보기
1957년 서울에서 출생했다. 1979년 이화여자대학교 미술대학 도예과를 졸업하고 같은 해 미술대학 조교로 있었다. 1980년에 독일로 건너가 회어 그렌츠하우젠 공학대학 요업공학과를 졸업했다. 독일 생활은 1990년까지 이어졌고, 이때 문화대학에서 도자 강의를 하며 개인전, 그룹전을 열기도 했다. 이후 거주지를 옮겨 1993년까지는 이탈리아, 2009년까지는 벨기에에서 생활하며 작품 활동을 했다. 특히 벨기에 거주 시절 안트베르펜에서 <한국현대미술전>을 기획하고 여러 차례 개인전과 그룹전을 열었다. 문화대학과 화랑에서 도자 강의와 서예 워크숍을 개최하였으며, 브루게에서 ‘래야(來若)’라는 개인 화랑을 운영하는 등의 활발한 행보로 타국에서도 한국 도예에 대한 애정과 열정을 보여 주었다. 2018년 한국 현대 도예가 1세대인 스승 조정현의 삶과 예술세계를 담은 《손길, 흙을 따라》를 출간하였고, 2020년에는 논문집인 《조정현의 도자탐색》, 글과 작품 모음집인 《조정현의 도자이야기》를, 2023 옹기 연구자료 모음집인 《흙으로 빚은 순박함, 우리 옹기》를 출간하였다. 현재는 독일과 벨기에를 오가며 행보를 이어 가고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질그릇을 구울 때는 그을음[연(煙)]을 먹여 질의 색이 검은 회색(흑회색)으로 나타나며 연을 먹인 그릇은 방수가 된다. 푸레독은 질그릇과 같은 방법으로 그을음을 먹여서 굽지만, 가마 안의 온도가 상승하여 질이 용융될 즈음에 소금을 뿌려 넣는다. 도공들은 이 일을 “소금을 친다”라고 하는데 소금을 적게, 많이, 혹은 알맞게 치는 것에 따라 표면의 윤택이 달라진다. 푸레독의 존재는 소금을 치지 않고 굽던 시절의 질그릇과는 단계를 달리하고 있음을 알게 한다.


문화는 상류사회가 주동이 되는 분야와 백성들이 수용하는 성격의 이중적 요소로 형성되는 경향이 농후한데, 우리나라의 도와 자도 이와 마찬가지의 성격을 지녔다. 그럼에도 일본인들이 제창한 한국의 도자사는 도(陶)에 대해서는 거의 도외시하고 자기(磁器)만으로 발달사를 서술하고 있다. 차라리 자기사(磁器史)라 하였으면 무난할 것을 그들의 관습에 따라 도자(陶磁)로 복합시켜 사용하고 말았다.
해방 이후로도 이 방법이 무심히 이어짐에 따라 도자사는 자기사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이로 인해 역대의 도자는 혼돈 속에 빠졌고 오늘에 이어지고 있는 도기들은 선대 없는 미아처럼 되고 말았다. 문제점으로 제기하려는 바가 바로 이것이다. 제외되었던 도기의 역사를 다시 우리의 도예사에 부활시켜 수천 년의 경험을 오늘에 이어 놓아야 한다. 이 당연한 사리가 오늘날 도외시되고 있음은 일본인들에 의한 도자사에 현혹되어 있기 때문이다. 마땅히 교정되어야 한다.
우리는 수천 년 동안 근간을 이루어 온 와기(瓦器), 옹기(甕器), 칠기(漆器) 등 도기류(陶器類)를 다시 정중하게 조명하여야 한다. 근간이 되는 질그릇(도기류)의 줄기에 따라 고찰하면서 시류가 닿아 형성된 청자와 분청사기와 백자를 내다보면 우리의 도자사는 일목요연하게 될 것이다. 이 새로운 시각의 방법론을 도입하여 도(陶)와 자(磁)의 역사를 고찰하면 그 줄기가 오늘날의 도와 자에 이어져 현대 도예가 선대에 이은 오늘의 우리 것이 되어 미래로 이어지는 줄기를 되찾게 된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889368224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