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한국문학론 > 한국작가론
· ISBN : 9788937411960
· 쪽수 : 440쪽
· 출판일 : 2005-02-01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서설 - 한국 현대소설과 그 단층적 구조
자의식의 표백과 반어적 의미 - 이상
우의적 풍경과 향수의 의미 - 이태준
자연과의 친화 - 김동리와 최인훈의 경우
문학의 인식 작용과 야누스의 얼굴 - 최인훈
실존적 현실과 미학적 현현 - 황순원
이데올로기와 휴머니즘 - 선우휘
비극적 유머와 욕망과 현실 사이 - 손창섭
<토지>와 역사적 상상력 - 박경리
전상자의 아픔과 풍자 문학 - 서기원의 초기 작품들
대덜러스의 욕망 - 이어령
분단 시대의 리얼리즘 - 이호철
무의미 속의 의미 - 서정인
자아의 시선과 미망의 여로 - 김승옥
부조리 현상과 인간 의식의 진화 - 이청준
역사적 휴머니즘과 미학의 근거 - 황석영
삶의 비극성과 연민의 시각 - 최인호의 초기 작품들
상황의 극복과 구원의 손길 - 이제하의 단편들
역사의 물결과 생명력의 흐름 - 한승원
생명을 억압하는 어두운 그림자들 - 오정희의 단편들
생명 의식과 리얼리즘 문학의 실현 - 김준성의 문학적 자리 매김
비극과 비장미 - 이문열
나목의 꿈 - 박완서의 구심적 세계
생의 미로와 열림의 미학 - 최윤의 단편들
우울한 기억 속의 풍경들 - 신경숙, <겨울우화>와 <풍금이 있던 자리>
전통과 개인의 재능 - 이상과 최인훈의 경우
저자소개
책속에서
자유에 대한 갈망과 수난의 계절이었던 1970년대의 한국 문학은 다른 어느 시대보다도 강력한 리얼리즘을 중심으로 발전해 왔다. 이러한 문학사적인 현상은 1970년대 초에 발표한 황석영의 <객지>와 1970년대 말에 3부까지 완성한 박경리의 <토지>에서 그 절정의 꽃을 피웠다.
<객지>와 <토지>는 다같이 투철한 역사의식을 지니고 있다는 점에 있어서 크게 유사하다. 그러나 이 두 작품이 지니고 있는 시간의 진폭과 역사적 배경은 서로 상이하다. <객지>의 소설 공간은 지극히 압축된 현실의 공간이지만, <토지>의 그것은 무한히 확대된 역사의 공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