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신앙생활 > 신앙생활일반
· ISBN : 9788938817198
· 쪽수 : 460쪽
· 출판일 : 2025-06-26
책 소개
하나님의 뜻 안에서 건강한 가정 공동체를 회복하기 위한 신학적, 학문적 성찰
오늘날 많은 가정이 의사소통의 단절, 세대 간 갈등, 역할 혼란 등 다양한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기독교 신앙은 어떻게 가정 내 소통을 회복하고, 하나님이 의도하신 가정의 번영을 이루는 데 기여할 수 있을까?
『가족 의사소통』은 이러한 질문에 정면으로 답하는 책이다. 이 책은 ‘가족 커뮤니케이션’이라는 학문적 분야와 기독교 신앙을 통합적으로 조망하면서, 현대 가정이 겪고 있는 다양한 소통의 문제를 신학적으로 해석하고 실천적으로 해결하려는 깊이 있는 시도를 담고 있다.
저자들은 가족학, 심리학, 사회학, 인간 발달론 등의 이론적 기반 위에 성경의 가르침과 기독교 신학을 유기적으로 결합함으로써, 가정 내 의사소통을 단순한 기술이 아닌 영적 소명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안내한다. 더 나아가 이 책은 독자들이 지성적이고 반성적인 신앙의 토대 위에서 구체적이고 실천적인 의사소통 방식을 정립하도록 돕는다.
* 이 책의 구성 *
1부 가족 의사소통의 개념과 이론적 토대를 소개하며, 가족이라는 공동체 내에서 소통이 가지는 의미를 분석한다.
2부 효과적인 가정 내 의사소통을 위한 구체적인 전략과 기술을 제시한다. 의사소통의 구조, 언어의 사용, 감정의 표현, 갈등의 해결 등 실제적인 측면을 다룬다.
3부 부부 관계, 부모와 자녀의 관계, 나아가 세대 간의 관계 속에서 어떻게 건강한 의사소통을 할 수 있을지를 심층적으로 고찰한다.
이 책은 가정 사역자, 목회자, 상담 전문가, 기독교 교육자에게 실천적인 통찰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건강하고 경건한 가정생활을 소망하는 평신도들에게도 깊은 도전과 영감을 준다. 가정은 가장 가까운 공동체이며, 동시에 가장 치열한 신앙의 현장이다. 『가족 의사소통』은 이 현장에서 하나님의 뜻을 구현하고자 하는 모든 이에게 든든한 길잡이가 돼줄 것이다.
독자 대상
- 기독교 가정사역자 및 목회자
- 가족 커뮤니케이션, 상담, 기독교 교육 분야 전공자 및 학생
- 건강한 가정을 세우고자 하는 모든 신앙인
목차
감사의 글
추천의 글
서문
1부. 개념 정의와 시각
1장. 가족 의사소통과 기독교 신앙 모델링
2장. 가족 이해하기
3장. 가족, 신앙, 사회
4장. 이론과 신학
2부. 기능적인 가족 의사소통
5장. 연결을 위한 의식
6장. 갈등을 다루는 원칙
7장. 관계 회복
8장. 회복 탄력성 기르기
9장. 의사소통의 정례화
3부. 다양한 가족 주기에서의 의사소통
부부간 상호작용
10장. 결혼에 이르는 길
11장. 언약과 성적 의사소통으로서의 결혼 생활
12장. 고전 중이거나 좌절했거나 성공적인 부부간 의사소통
부모와 자녀의 상호작용
13장. 다양한 가정환경 속의 자녀들
14장. 영적이고 실제적인 영역을 아우르는 양육 모델
가족의 유산
15장. 물질적, 영적, 관계적 유산
주
책속에서
이 책 전체를 관통하는 중심 주제 혹은 전제는 사회와 가정, 개인을 향한 하나님의 계획이 선하다는 것이다. 그러나 우리가 실제로 목도하고 경험하는 현실은 하나님의 선한 계획과 어긋나는 이기심, 트라우마, 고통으로 가득하다. 우리는 이런 차이를 단순히 죄가 세상에 들어온 ‘타락’의 결과라고 설명한다(창 3장 참고). 현실은 이러하지만, 능력을 주시는 하나님의 은혜와 구속하심으로 하나님의 선한 계획의 이상적 목표에 이를 수 있다는 희망을 버리지 않을 것이다. 우리는 현실과 이상을 은혜 아래에서 균형 있게 유지하려고 노력한다. 당신도 사람들과 가족 간의 다양한 의사소통 경험 속에서 동일한 태도를 견지할 수 있기를 바란다.
서문
소통을 통해 우리는 하나님의 이상과 우리 사회의 현실 사이의 긴장을 조율해나간다. 이 책에서 계속 설명하겠지만, 소통은 다른 사람들과의 연결을 촉진한다(5장). 그것은 하나님과의 연결을 촉진하기도 한다. 소통으로 우리는 서로 오해하기도 하고 갈등을 일으키기도 한다(6장). 그러나 또한 우리는 소통을 통해 용서를 베풀고 용서받는다(7장). 이런 예들은 소통이 어떻게 하나님의 인류에 대한 계획을 반영하는지를 보여준다.
1장. 가족 의사소통과 기독교 신앙 모델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