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신앙생활 > 간증/영적성장
· ISBN : 9788938817075
· 쪽수 : 488쪽
· 출판일 : 2024-07-18
책 소개
목차
추천의 글
1부. 정의로운 제자도의 지형 탐색
1장. 이 책의 배경
2장. 승리에 이르는 정의
3장. 도덕적 제자도를 위한 지도
2부. 정의로운 제자 되기
4장. 축제로 형성되는 정의로운 성품: 신명기
5장. 정의를 향한 노래: 시편
6장. 지혜 없는 정의, 정의 없는 지혜: 잠언
7장. 제자도라는 선물과 과업: 요한일서
3부. 정의로운 백성 되기
8장. 희년의 원리로 세워지는 정의의 공동체: 레위기
9장. 성경에서 현대까지 이어지는 희년의 정신
10장. 공동체 식탁에서 의자 재배치: 고린도전서
4부. 정의로운 정치
11장. 정치 참여를 위한 요셉 방식의 함정
12장. 정의로운 정치를 위한 다니엘 방식
13장. 기쁨을 위한 정의로운 제자도
감사의 글
주
책속에서
즉, 예수님이 우리가 정의를 행하기를 원하신다는 사실을 아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는 것이다. 제자는 예수님이 우리에게 원하시는 바가 무엇인지 아는 데만 만족해서는 안 된다. 제자는 행함으로 예수님을 따르며 변화하는 과정에 있다. 다시 말해, 제자도는 오직 형성에 집중한다. 내 어린 시절의 제자훈련은 하나님이 정의를 중요하게 생각하신다는 것을 자주 망각하는 경우가 많았는데, 성인이 된 후의 제자훈련은 하나님의 정의를 실현하는 사람이 되는 법에 대한 지식이 피상적인 수준에 머무는 경우가 많았다.
1장. 이 책의 배경
사람들이 공동체 생활에 참여한다는 것은 그 공동체의 이야기, 성품, 관습, 정치로 구성된 도덕 형성의 피드백 고리에 참여한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한 공동체의 핵심 이야기들은 그들이 생각하는 미덕과 악덕의 인식을 결정하며, 의례적 예식과 참여를 통해 기억되고 기념되어 공동체의 정치를 형성한다. 동시에 자신들의 이야기를 들려주는 공동체의 능력이나 그 공동체의 정치와 훈련에 신실하게 참여하는 능력은 부분적으로는 그들이 성품의 공동체가 되었느냐에 달려 있다
3장. 도덕적 제도를 위한 지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