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예체능계열 > 미술/디자인/사진
· ISBN : 9788940800423
· 쪽수 : 252쪽
· 출판일 : 2011-07-10
목차
한국어판에 대해 저자 서문
I. 서설
II. 구도의 일반원리
1. 취함과 버림
2. 주와 객의 위치
3. 형상의 원근과 대소
4. 세의 파악과 묘사
5. 호응
6. 큰 여백과 작은 여백
7. 흑과 백, 허와 실
8. 성김과 빽빽함, 이완과 긴장
9. 모임과 흩어짐
10. 가벼움과 무거움 큼과 작음
11. 감춤과 노출, 가림과 드러남
12. 삼첩양단과 개합
III. 여러 가지 화면 형식의 구도법
1. 여러 가지 화면 형식
2. 선면의 처리법
3. 장권과 횡폭의 처리법
IV. 산수화의 특수한 구도법
V. 화조화의 특수한 구도법
1. 삽입과 교차
2. 성김과 빽빽함
3. 분산과 집중
4. 점
5. 절지와 화면 밖의 관계
VI. 제관과 도장
1. 관의 의미
2. 제관의 내용
3. 제관과 글씨
4. 제관의 위치와 그 작용
후기
부 록 - 산수화의 일곱 가지 관찰 방법
1. 걸음걸음마다 보는 방법
2. 여러 면을 보는 방법
3. 집중적으로 보는 방법
4. 멀리 밀어서 보는 방법
5. 가까이 끌어 당겨 보는 방법
6. 시점을 옮겨서 보는 방법
7. 육원을 결합시켜 보는 방법
역자후기
리뷰
책속에서
중국화의 구도에는 특수한 법칙이 있다. 이는 중국화의 관찰 방법과 표현 방법의 특수성에 의하여 결정된 것이요, 또한 중국 민족의 오랜 풍습과 생활 및 감상 습관에 영향을 받아 이루어진 결과이다. 중국화는 구도에 있어서만이 아니라 붓과 먹의 사용, 채색 및 투시법의 처리 등에 있어서도 독특한 표현 방식이 있다. 이러한 독특한 표현법은 또한 회화에 있어서의 구도와 직접적인 관계가 있다. 이 장에서는 이러한 문제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측면으로 나누어 서술해 보기로 하자.
- 구도의 일반 원리 중
저자가 서설에서 밝히고 있듯이 구도란 ‘형상을 화면 위에 조직하고 배치하며 예술적인 질서를 부가하는 것’이다. 조형예술은 본질적으로 현실의 공간과는 다른 예술적 공간을 구성해 내야만 하며, 그럼으로써 자연과는 다른 독자적인 자율적 세계로 존재하게 되는데, 구도는 바로 회화에 있어서의 화면구성의 문제 즉 여러 형상들의 배채, 원근법, 명암, 색상 등을 고려하여 화면에 밀도와 긴장감이 있는 통일성을 부여하는 것이다. 그런 점에서 일차적으로 회화의 형식적, 기교적 요소에 속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화면에 드러나는 가시적 흔적이란 본질적으로 예술적 사유의 물화에 다름 아니라고 할 때, 구도는 단순히 화면상의 시각적 문제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회화의 사상이나 주제와 밀접한 연관이 있으며, 나아가 한 민족, 한 시대, 한 작가의 심리관이나 개성 등과도 강하게 연결되어 있다.
- 역자 후기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