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건축 문답

건축 문답

(입장-개념-비전)

취리히 연방공과대학 건축학과, 마르크 안젤릴, 외르크 힘멜라이, 후베르투스 아담, 잉게 베켈, J. 크리스토프 뷔어클레, 레토 가이저, 안네 코켈코른, 마가레테 폰 루핀, 유디트 졸트, 라우렌트 슈탈더 (엮은이), 정현우 (옮긴이)
미진사
3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8,000원 -0% 0원
1,900원
36,1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건축 문답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건축 문답 (입장-개념-비전)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건축 > 건축이론/비평/역사
· ISBN : 9788940806029
· 쪽수 : 704쪽
· 출판일 : 2020-03-31

책 소개

건축가의 역할과 건축의 존재 의미에 관해 나눈 스위스 취리히 연방공과대학의 인터뷰 모음집. 인간의 생활환경을 조성하며 삶의 방식에 관여하는 건축의 존재 의미와 건축가의 역할에 관한 30편의 인터뷰와 4편의 에세이를 담았다.

목차

머리말
추천사
Interview 01. 루이지 스노치 : 거부의 미학
Interview 02. 마리오 보타 : 건축은 역사의 형식적인 표현이다
Interview 03. 발레리오 올지아티 : 구조의 영원한 가치에 대하여
Interview 04. 헤르조그 & 드뫼롱 : 예술에서 세계 건축으로
Interview 05. 페터 춤토르 : 분위기 설계하기
Article 01. 마르크 안젤릴 : 건축 문답
Article 02. 외르크 힘멜라이히 : 모든 것이 다르게 유지되는가? 지난 20년 동안의 스위스 건축에 대한 고찰
Article 03. 마가레테 폰 루핀 : 구조로서의 문답
Article 04. 라우렌트 슈탈더 : 박물관을 위하여, 1945년 이후의 스위스 건축
Interview 06. 디너 & 디너 : 절제하는 자세를 원칙으로
Interview 07. 부흐너 브륀들러 : 도시와 시골, 공간의 흐름
Interview 08. 필립 람 : 형태와 기능은 기후를 따른다
Interview 09. 메이드 인 : 메이드 인터뷰
Interview 10. 지곤/가이어 : 건축을 향한 길
Interview 11. EM2N : 문화의 과제로서 밀집화
Interview 12. 페터 메어클리 : 역사, 유형 그리고 창작에 대하여
Interview 13. E2A : 통일성에 반하여
Interview 14. 미켈레 아르나볼디 : 경관 계획, 도시건축의 수단
Interview 15. 밀러 & 마란타 : 강력한 건축 유형은 세월을 견뎌낸다
Interview 16. HHF : 실용주의가 먼저다
Interview 17. 지온 A. 카미나다 : 가까워지기-장소 만들기
Interview 18. 부치 & 부치 : 재해석의 건축을 찾아서
Interview 19. 마르셀 마일리, 마르쿠스 페터 : 유전적 집단주의
Interview 20. agps : 날것의-거친-견고한
Interview 21. 푸리만 해힐러 : 상반되는 것들의 잠재성
Interview 22. 드벙테리 & 라뮈니에르 : 진보로의 귀환
Interview 23. 풀 아히텍텐 : 장수, 스위스적 완고함을 보여주는 하나의 성질
Interview 24. 크리스티안 케레츠 : 건축의 실존적 차원
Interview 25. 부르크할터 수미 : 비(非)동조화
Interview 26. 베르트 & 데플라체스 : 건축이라는 전쟁터
Interview 27. 귀도티 아르키테티 : 틈 채우기
Interview 28. 그라마치오 & 콜러 : 디지털 물질성
Interview 29. 베르나르 추미 : 증가하는 이동성-세계화 시대의 도시계획
Interview 30. 크리스트 & 간텐바인 : 유형적 전이
부록 : 저자 소개 ∥ 인터뷰 대상 건축가 소개 ∥ 용어 설명 ∥ 도판 목록 ∥ 스위스 주요 도시 지도 ∥ 감사의 말 ∥ 옮긴이의 말

저자소개

마르크 안젤릴 (엮은이)    정보 더보기
1954년 이집트 알렉산드리아(Alexandria) 출생으로 사라 그래엄(Sarah Graham), 마누엘 숄(ManuelScholl), 한스페터 외스터(Hanspeter Oester), 레토 페닝거(Reto Pfenninger)와 건축설계사무소 agps를 공동 설립했다. 취리히와 미국 로스앤젤레스라는 아주 상반된 두 장소에서 사무실을 운영하고 있으며 건축과 도시계획, 사회 설비 등의 분야를 접목시키는 성격의 작업으로 알려져 있다. 2009년에서 2011년까지 스위스 취리히 연방공과대학 학과장을 역임했다.
펼치기
후베르투스 아담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독일 하이델베르크대학에서 미술사, 철학, 고고학을 전공했고 1992년부터 프리랜서 미술사가와 건축사가로 활동해왔다. 스위스 일간지 《노이에취르허차이퉁Neue Zurcher Zeitung》을 비롯한 여러 잡지와 일간지에 건축 비평문을 기고했으며 1996?97년에는 독일 베를린에서 발행되는 건축 잡지인 《바우벨트Bauwelt》의 편집자로, 1998년 이후에는 스위스 건축 잡지인 《아키테제archithese》의 편집자로 활동했다. 2010년부터 바젤의 스위스건축박물관(SAM, Schweizerisches Architekturmuseum) 아트 디렉터직을 수행하고 있다. 다양한 기관과 대학에서 강연했으며 현상설계경기 심사위원, 건축 행사 진행자, 건축 출판업자, 큐레이터로도 활약한다. 동시대 건축을 비롯한 20세기 건축문화사, 사회주의 조형예술과 초상예술에 대한 다수의 출판?기고?전시?칼럼 활동을 활발히 하고 있다. 2004년 스위스 아트 어워드(Swiss Art Award)의 예술 및 건축 매체 부문 수상자이다.
펼치기
J. 크리스토프 뷔어클레 (엮은이)    정보 더보기
사진을 공부하고 독일 함부르크와 뮌헨에서 미술사를 전공했으며 1985년 한스 샤론(Hans Scharoun)에 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이후 여러 대학에서 학생들을 가르쳤으며 1989?95년에는 취리히 연방공과대학 건축 역사와 이론 연구소(GTA)에서 상위조교로 일했다. 1995년부터는 스위스 출판사인 니글리 페어락(Niggli Verlag)의 대표직을 맡고 있으며 건축 잡지 《아키테제archithese》의 편집장으로도 활약했다. 이 밖에 문화 잡지 《두du》를 발행(2004?2007)하고 건축에 관한 수많은 저서를 출판했다. 스위스건축가협회(BSA, Bund Schweizer Architekten) 회원이자 취리히건축가포럼(Architekturforum Zurich)의 부회장이다.
펼치기
레토 가이저 (엮은이)    정보 더보기
취리히 연방공과대학과 미국 뉴욕 콜럼비아대학에서 건축을 전공했고 취리히 연방공과대학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미국 미시건대학 윌리엄 무센하임 펠로우(William Muschenheim Fellow)로 선정되었으며 취리히 연방공과대학에서 건축 비평을 강의했다. 현재 미국 휴스턴에 있는 라이스대학 건축학과의 조교이다. 디자인 그룹 MG & CO, 건축가 토론 플랫폼인 슈탄드풍테(Standpunkte)의 설립자이기도 하며 베네치아 건축 비엔날레 스위스관의 큐레이터로도 활약했다.
펼치기
라우렌트 슈탈더 (지은이)    정보 더보기
2006년부터 취리히 연방공과대학 건축 이론 담당 교수로 일하면서 건축 역사와 이론 전공에서 기술역사 부문을 중점 연구하고 있다. 발레리오 올지아티(Valerio Olgiati)의 작품집과 전시를 기획했으며 마이크로아키텍처 관련 연구인 슈벨렌아틀라스(Schwellenatlas) 프로젝트에 참여했다. 2011년 현재 “스위스, 기술적인 전원(Die Schweiz. Eine technologische Pastorale)”이라는 제목으로 18세기 이후 스위스 토지개발의 역사를 연구하고 있다.
펼치기
유디트 졸트 (엮은이)    정보 더보기
취리히 연방공과대학에서 건축을 전공하고 1998년부터 프리랜서 건축 비평가 겸 건축 저널리스트로 활동하고 있다. 다수의 신문, 잡지, 출판물에 글을 실었으며 건축학회와 각종 건축 행사에 기고했다. 2000년부터 2007년까지 스위스 건축 잡지 《아키테제archithese》의 편집자로 일했으며 2004?2007년에는 취리히 연방공과대학에서 건축 비평을, 2007?2008년에는 스위스 쿠어 기술경제전문대학(Hochschule fur Technik und Wirtschaft Chur)에서 건축 이론을 강의했다. 2007년부터 건축 잡지 《TEC21》의 편집장직을 맡고 있다. 스위스의 건축재단인 슈티프퉁 포슝 플라눙스베트베베어베(Stiftung Forschung Planungswettbewerbe) 재단위원회 소속이자 취리히 건축/수공업 학교인 하우스 데어 파르베(Haus der Farbe) 이사회 위원이다.
펼치기
잉게 베켈 (엮은이)    정보 더보기
취리히 연방공과대학 건축학과를 졸업하고 1991?95년까지 취리히 시정부 고층건물청에서 건축과 도시 경관을 담당했다. 1995년 이후 스위스 건축 잡지 《TEC21》 편집부에 몸담아 1997년부터 2002년까지 편집장직을 역임했다. 2002년 이후로 스위스 인터넷 사이트인 swiss?architects.com의 eMagazin 파트 담당자, 스위스 건축 잡지인 《베르크, 바우엔+보넨Werk, bauen+wohnen》의 칼럼니스트이자 편집자로 활동해왔다. 2010년 현재 피르마 크베어비제(Firma Querverwiese)의 건설 및 건물 용도 개발 고문직을 수행하고 있으며, 취리히 연방공과대학에서 박사 논문 『“표준적인 사용자들”의 구조를 향해(Zur Konstruktion eines ‘normativen Nutzers’)』(2010)를 발표했다.
펼치기
안네 코켈코른 (엮은이)    정보 더보기
프랑스 파리 벨빌 건축학교와 독일 베를린 바이센제 예술대학에서 건축을 전공했다. 2006년부터 독일 건축 잡지 《바우벨트Bauwelt》와 《ARCH+》에 건축 비평문을 기고해왔으며 취리히 연방공과대학 건축 역사와 이론 연구소(GTA)에 몸담고 있다. 2011년 현재 1970년대 파리 근교 지역의 공공임대주택 발전 양상을 다룬 박사학위 논문을 준비하고 있다.
펼치기
취리히 연방공과대학 건축학과 (엮은이)    정보 더보기
펼치기
외르크 힘멜라이 (엮은이)    정보 더보기
독일 부퍼탈대학에서 건축, 역사, 미학과 디자인학을 전공하고 취리히 연방공과대학에서 건축사와 건축 이론 분야 석사학위를 취득했다. 2001년에서 2002년까지 독일의 지역개발 프로젝트인 레기오날레(Regionale) 2006과 IBA 2010에 참여했으며, 2006년부터 취리히 연방공과대학에서 발행하는 건축 잡지인 《트랜스trans》 등 여러 매체에서 프리랜서 작가와 편집자, 행사 진행자로 활동했다. 취리히 연방공과대학 건축 역사와 이론 연구소GTA의 책임 편집자이자 건축 잡지 《아키테제archithese》, 오스트리아 건축 잡지 《아히텍투어.악투엘architektur.aktuell》의 칼럼니스트이기도 하다. 취리히 연방공과대학에서 마르크 안젤릴의 조교직(2007?2009)을 수행했으며, 2009년 이후에는 건축 강의 시리즈인 “바우텐/바우엔Bauten/bauen”을 맡아 주관하면서 이 책 『건축 문답』을 편집했다.
펼치기
마가레테 폰 루핀 (엮은이)    정보 더보기
독일 뮌헨과 베를린에서 민족학을, 독일 프리드릭스하펜과 취리히에서 디자인과 언론학을 전공했다. 작가 겸 저널리스트로서 다양한 건축 칼럼을 발표하고 인터뷰를 진행해왔다. 취리히 예술대학(Zurcher Hochschule der Kunste, ZHdK)의 도시 정체성, 디자인 및 디자인 이론 전공 조교로 일하며, 도시 디자인과 건축 분야를 중심으로 분석 수단으로써의 대화 방식에 중점을 두고 연구하고 있다.
펼치기
정현우 (옮긴이)    정보 더보기
부산에서 태어나 대원외국어고등학교 독일어과를 졸업하고 독일 베를린예술대학교(Universität der Künste Berlin)에서 2021년 프리츠커상 수상 건축가인 장필립 바살(Jean-Philippe Vassal)의 지도 아래 건축학과 학사 학위를 취득했다. 이후 스위스 멘드리지오 건축아카데미(Accademia di architettura di Mendrisio)에서 공부했고, 유럽 건물 복원 및 변형 설계 전문 건축가 마틴 뵈쉬(Martin Boesch)의 지도 아래 건축학과 석사 과정을 마쳤다. 스위스 건축가들의 인터뷰집 『건축 문답 Architecture Dialogues』(2020)을 우리말로 옮겼으며, 현재 베를린에서 복원 및 변형 설계 건축가로 일하고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무엇보다 건축은 우리 주변 환경의 질서를 확립하기 위한 도구입니다. 건축은 하나하나에 대한 것이 아니라 한 물체와 또 다른 물체 사이의 관계 확립을 중요하게 다룹니다. 건축 고유의 의미는 수공업적이고 실질적인 시공에 있어요. 건축은 항상 이런 실질성을 통해 존재하죠. 만일 작은 오두막 하나가 주변의 호수나 풍경으로 인해 본질적으로 변화할 수 있고 그 풍경의 일부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면, 그는 이미 건축적으로 생각하는 상태인 겁니다. --- 마리오 보타, “건축은 역사의 형식적인 표현이다”


학생들이 설계를 모방하고 의존하면서 배우는 것도 사실이죠. 학생들은 아직 자신만의 언어를 가지고 있지 않으니까요. … 하지만 결과적으로 그런 의존을 금지하지는 않습니다. 고유의 언어를 가지는 건 어떤 선언과도 같아요. 학생들이 이미 고유의 언어를 보유하고 있다고 전제하는 건 옳지 않다고 봅니다. 또 고유의 언어를 가지는 건 재능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오히려 경험과 연관되죠. 바로 이 경험이 학생들에게 부족한 겁니다. 그러니 학생들은 건축적 실험을 두려워해선 안 됩니다. 독립적이고 자립적이어야 해요. 이것이 목표입니다. 이를 통해 학생들이 오직 저의 사고방식이나 감정을 습득하는 걸 방지할 수 있습니다. --- 발레리오 올지아티, “구조의 영원한 가치에 대하여”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