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아시아 공공신학

아시아 공공신학

펠릭스 윌프레드, K.C. 에이브러햄, 마이클 아말라도스 S.J., 가브리엘레 디트리히, P.T. 매튜 S.J., 이블린 몬테이로, 로웨나 로빈슨, D. 존 로무스, 조지 재커라이어 (지은이), 황경훈 (옮긴이)
분도출판사
19,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7,100원 -10% 0원
950원
16,1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아시아 공공신학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아시아 공공신학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가톨릭 > 가톨릭 일반
· ISBN : 9788941921141
· 쪽수 : 232쪽
· 출판일 : 2021-12-02

책 소개

아시아 신학 총서 12권. 신학의 관심사와 공공의 관심사가 다르지 않음을 다각적으로 논의하면서 새로운 신학과 삶의 세계로 독자를 초대한다.

목차

서론 - 펠릭스 윌프레드
1장 아시아 공공신학: 사회학적 관점 - 로웨나 로빈슨
2장 아시아 공공신학: 그 사회적 자리 - K.C. 에이브러햄
3장 아시아 신학의 미래와 공공신학 - 펠릭스 윌프레드
4장 아시아의 주변화된 이들과 공적 공간 - P.T. 매튜
5장 다 종교 사회에서의 공공신학 - 마이클 아말라도스
6장 위기의 시대에 사회주의를 탐색하다: 공공신학에 대한 문제 제기 - 가브리엘레 디트리히
7장 공공신학: 인도 헌법의 관점에서 - D. 존 로무스
8장 하위주체의 사회운동: 그리스도교 사회윤리의 재발견을 위한 자리 - 조지 재커라이어
9장 아시아 교회들과 공공신학 - 이블린 몬테이로
저자 소개

저자소개

펠릭스 윌프레드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인도 첸나이 ‘아시아 문화 연구 센터’(ACCS) 창립자 겸 소장
펼치기
K.C. 에이브러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인도 방갈로르 ‘SATHRI’의 전 소장, 전 ‘제3세계 신학자 협의회’(EATWOT) 의장
펼치기
마이클 아말라도스 S.J.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인도 첸나이 ‘문화와 종교 대화 연구소’(IDCR) 소장
펼치기
가브리엘레 디트리히 (지은이)    정보 더보기
풀뿌리 페미니스트 활동가, 사회학 및 신학 교수
펼치기
P.T. 매튜 S.J.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인도 델리 비드야조티 신학대학 교수
펼치기
이블린 몬테이로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인도 푸네 자나디파 비드야피트(JDV) 신학과 교수
펼치기
로웨나 로빈슨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인도 뭄바이 공과대학(IIT) 교수
펼치기
D. 존 로무스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인도 콜카타 모닝스타 대학(MSC) 교수
펼치기
조지 재커라이어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인도 방갈로르 연합신학대학(UTC) 윤리학 교수
펼치기
황경훈 (지은이)    정보 더보기
종교학 박사. 우리신학연구소 선임연구원이자 아시아평화연대센터장으로 일하고 있다. 2016년 아시아 신학자 및 활동가들과 더불어 ‘Asian Lay Leaders(ALL) Forum’을 창립하고 상임이사를 맡아 아시아 청년 교육에 힘쓰고 있다. 쓰거나 옮긴 책으로 『Asian Theology for the Future』(공저), 『Vatican II, Ecological Crisis and Peace of Asia』(공저), 『아시아 공공신학』, 『대승불교, 그리스도를 말하다』, 『지혜의 땅, 아시아의 생명』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우리가 말하는 대중은 모든 사람을 포함하는데, 특히 사회에서 소외된 이를 의미한다. 사회의 바닥에서 살려고 발버둥치는 이들에게 일어난 것은 단지 이들만의 문제가 아니라 일반 대중의 문제이기도 하다. 빈곤을 오직 가난한 사람들과 관계된 것으로만 이해해서는 안 된다. 빈곤이 공공의 문제이듯이 이주의 문제도 그러하고 또 인신매매나 카스트의 차별 등도 마찬가지다.


공공신학은 ‘비이성적인 것’을 위한 공간을 ‘공적인 것’ 안에 자리 잡게 할 뿐 아니라 모든 이에게 전달될 수 있는 언어를 말하게 하고 ‘국가’와 ‘사회’가 대화할 수 있도록 ‘정서적인 것’을 설득하는 작업으로 보인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