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가톨릭 > 가톨릭 성서 > 성서의 이해
· ISBN : 9788941922025
· 쪽수 : 128쪽
· 출판일 : 2022-03-10
책 소개
목차
들어가며
1. 글의 목적
2. 중심 환시에 들기 전
2.1 요한묵시록의 기본 구조와 문학적 특징
2.2 제I부(1,1-20)와 제II부(2,1-3,22)
2.2.1 책의 성격, 주요 내용 그리고 목표
2.2.2 독자
2.2.3 제I부, 제II부가 제III부에 미치는 영향
3. 중심 환시: 제III부(4,1-22,5)
3.1 줄거리와 그 다양한 순간들
3.2 전개와 해결 부분(6,1-20,15)
3.2.1 <가> 일곱 봉인(6,1-8,6)
3.2.1.1 첫째 봉인(<가1> 6,1-2)
3.2.1.2 둘째~넷째 봉인(<가2>~<가4> 6,3-8)
3.2.1.3 다섯째 봉인(<가5> 6,9-11)
3.2.1.4 여섯째 봉인(<가6> 6,12-7,17)
3.2.1.5 일곱째 봉인(<가7> 8,1-6)
3.2.2 <나> 일곱 나팔(8,7-11,19)
3.2.2.1 첫째~넷째 나팔(<나1>~<나4> 8,7-13)
3.2.2.2 다섯째 나팔(<나5> 9,1-12)
3.2.2.3 여섯째 나팔(<나6> 9,13-11,14)
3.2.2.4 일곱째 나팔(<나7> 11,15-19)
[보충 관찰 1] 묵시록의 문학 기법
1) 본문의 범주
2) 시리즈와 시리즈 사이의 연결
3.2.3 <다> 일곱 광경(12,1-15,8)
3.2.3.1 첫째~셋째 광경(<다1>~<다3> 12,1-13,18)
3.2.3.2 넷째 광경(<다4> 14,1-5)
3.2.3.3 다섯째 광경(<다5> 14,6-13)
3.2.3.4 여섯째 광경(<다6> 14,14-20)
3.2.3.5 일곱째 광경(<다7> 15,1-8)
3.2.4 <라> 일곱 대접(16,1-21)
3.2.5 <마> 일곱 진풍경(17,1-20,15)
3.2.5.1 재앙 주제(<가2>~<가4>)
3.2.5.2 심판과 복수의 주제(<가5>)
3.2.5.3 선택과 구원의 주제(<가6>)
3.2.5.4 흰말을 탄 이(<가1>)
3.2.5.5 진군의 특징
3.3 결말 부분(21,1-22,5)
4. 중심 환시를 마친 후
4.1 제IV부(22,6-21)
[보충 관찰 2] 대립 상징들
1) 두 어린양
2) 두 여인
3) 대립 상징들
5. 종합과 결론
5.1 글의 짜임새
5.2 두 개의 시각
5.3 중심 환시의 신학과 영성
5.4 결론
참고문헌
저자소개
책속에서
책의 네 부분은 상호 간에 밀접히 연결되어 있는데 요한은 책의 큰 틀을 편지 형식으로 구성한다(I부, II부, IV부). 사실 문학의 모든 장르 중 편지만큼 독자를 더 개별적인 관계 안으로 끌어들이는 것은 없다. 그런데 요한은 편지 형식과는 사뭇 거리가 멀어 보이는 중심 환시 부분(III부)을 편지 한가운데 놓음으로써 그 환시들이 편지의 일부분으로서 직접 독자 자신에게 향하는 것처럼 느끼게 하고 싶어 하는 듯하다. 실제로 III부가 펼치는 환시의 한가운데서조차 독자는 자신들을 향한 목소리를 감지할 수 있으니 요한이 독자와의 소통을 얼마나 중요시했는지 알 수 있다.
요한은 독자를 자신의 저술 목표로 최대한 이끌기 위해 그들의 상상력을 한껏 자극하는 드라마틱한 이미지들과 소리, 풍부한 상징들과 수사학적 기법, 설화자 목소리의 잦은 개입 등 다양한 문학 기법을 사용한다. 그런데 그 가운데서도 가장 특별한 것은 요한이 환시들을 엮어 가는 원칙, 곧 구조(structure)와 구성(organization)의 방식이라 하겠다. 그는 환시들을 이야기(설화, 내러티브) 형식을 도입해 구성한다. 왜 하필 이야기 형식인가? 이야기란 일반적으로 독자에게 가장 영향력을 미치는 글의 형태이기 때문이다. 이야기는 사람을 자연스럽게 그 내적 역동성 안으로 끌어들여 삶의 더 깊은 차원에 말을 걺으로써 정신과 정서를 형성하고 마침내 삶을 변화시키는 힘을 갖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