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사회복지학
· ISBN : 9788942605309
· 쪽수 : 255쪽
· 출판일 : 2009-05-20
책 소개
목차
CHAPTER 01 아동과 환경
-01 아동 환경의 변화와 사회적 위치
-02 아동 생활 실태
*1) 아동인구 *2) 아동빈곤
*3) 알코올중독과 약물중독 *4) 게임중독
*5) 아동범죄 *6) 수감아동
*7) 아동실종 *8) 아동보호
*9) 십대부모 *10) 가정폭력
*11) 따돌림
CHAPTER 02 아동법의 역사
-01 아동법(The Childrne Act) 제정 배경
-02 아동법의 변화
*1) 잉글랜드 아동법 1989(The Children Act 1989)
*2) 잉글랜드 아동법 2004(The Children Act 2004)
-03 영국 아동법의 특징 및 시사점
*1) 영국 아동법의 특징 *2) 시사점
CHAPTER 03 아동정책의 구조
-01 영국의 아동정책 발달 배경
-02 아동정책의 변화
*1) 정부정책보고서 ‘Every Child Matters’
*2) 아동정책 10개년 계획-‘The Children’s Plan : Building Brighter Futures‘
-03 아동정책의 수립
-04 영국 아동정책의 특징
CHAPTER 04 아동권리
-01 아동권리 개요
*1) 협약 이행을 위한 일반조치 *2) 아동권리모니터링 및 조정기구
*3) 아동의 정의 *4) 일반 원칙
-02 주요 아동권리 현황과 정책
*1) 시민권과 자유 *2) 가정환경 및 대리보호
*4) 사회보장서비스 *5) 교육, 여가 및 문화적 활동
*6) 특별보호조치
CHAPTER 05 아동건강서비스
-01 건강정책 수립의 필요성 및 건강실태
-02 건강증진 전략
-03 발달주기별 건강증진 계획
*1) 태아기 및 영유아기(출생부터 5세까지) *2) 학령기 아동
*3) 청소년기 *4) 추가 서비스가 필요한 아동을 위한 건강서비스
-04 아동건강서비스 전달 체계
CHAPTER 06 영유아보육
-01 영유아보육정책 발전과정
-02 아동보육 10개년 실행 계획
-03 영국의 아동지원서비스 현황
-04 아동보육법 2006(Childcare Act 2006)
-05 아동보육지원
-06 향후 추진계획
CHAPTER 07 아동보호서비스
-01 잉글랜드와 웨일즈의 아동보호서비스
*1) 아동법 2004에 나타난 아동보호서비스
*2) 아동보호서비스의 구조
*3) 아동보호서비스 현황 및 특징
-02 스코틀랜드의 아동보호 체계 : 아동청문제도
*1) 아동청문제도의 전개
*2) 아동청문제도에 대한 평가
CHAPTER 08 빈곤아동정책
-01 빈곤의 개념
-02 빈곤아동 현황
-03 아동빈곤정책
*1) 고용증가와 수입증대정책
*2) 재정적, 물리적 환경 개선을 위한 정책
*3) 지역사회 발전과 가족지원
*4) 빈곤아동의 기회확대정책: 저소득 계층 아동의 기회확대와 발달성과를 증진
-04 아동빈곤 근절을 위한 프로그램
*1) 영유아 프로그램
*2) 학교 참여 프로그램
*3) 아동범죄 관련 조기개입 프로그램
*4) 보건서비스
*5) 아동빈곤 종사자 전문성 향상 프로그램
CHAPTER 09 연장학교
-01 연장학교의 도입
-02 연장학교 프로그램의 목적과 기대 효과
*1) 연장학교(Extended School)의 목적과 운영 형태
*2) 연장학교(Extended School)의 기대효과
-03 연장학교 프로그램
*1) 아동보육 프로그램
*2) 중등학교
*3) 부모지원서비스
*4) 평생교육/가족학습
*5) 건강지원 및 돌봄서비스
-04 연장학교 전달 체계
*1) 관련 기관
*2) 연장학교(Extended School) 운영 재정
*3) 연장학교(Extended School) 운영 평가
-05 관련 기관 간 협조 체계
CHAPTER 10 아동정책 전달 체계 및 정책 전망
-01 아동정책 전달 체계
*1) 아동정책 부서
*2) 아동정책 부서의 조직
-02 아동서비스 전달 체계 : 관련 기관 간 연계 체계
*1) 지역사회 연계 체계 구축의 효과
*2) 성공적인 연계 체계 구축의 요건
*3) 지역사회 네트워킹의 형태
-03 시사점 및 전망
*1) 아동정책을 전담하는 독립된 부서의 설치
*2) 아동정책 행정 전달 체계의 확립
*3) 아동정책 부서의 기능 활성화를 위한 제도 확립
참고문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