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범계열 > 유아교육학
· ISBN : 9788942611492
· 쪽수 : 380쪽
· 출판일 : 2018-07-25
목차
머리말 ● 3
제1부 전통교육의 이론적 기초
제1장 전통교육이란 무엇인가 13
1. 전통교육의 개념 ● 13
2. 전통교육의 목적 ● 14
3. 전통교육의 필요성 ● 16
제2장 전통교육과 태교 18
1. 태교의 개념 ● 19
2. 태교의 의의 ● 20
3. 태교의 역사 ● 25
4. 태교의 종류 ● 28
제3장 한국 전통 사회의 유아교육 원리 36
1. 모방의 원리 ● 36
2. 조기 교육의 원리(적기성의 원리) ● 38
3. 지행일치의 원리(지행합일의 원리) ● 40
4. 생활 교육의 원리(체험의 원리) ● 41
5. 남녀유별의 원리 ● 44
6. 발달 특성의 원리 ● 45
7. 유아 중심의 원리 ● 46
제4장 한국 전통 유아 교재(동몽 교재) 49
1. 남아 교육서 ● 68
2. 여아 교육서 ● 73
제2부 전통문화
제1장 전통문화의 정의 59
제2장 한국의 전통문화 61
1. 일생의례(통과의례) ● 61
2. 출생·생육 의례 ● 62
3. 관례, 성년식 ● 71
4. 혼례 ● 71
5. 상례 ● 75
제3장 전통문화와 효 83
1. 효행 설화에 나타난 한국인의 효 의식 ● 83
2. 전통 사회에 나타난 효 교육 내용 ● 87
제4장 한국의 전통문화와 생활 문화 96
1. 생활 문화 ● 96
제5장 세시 풍속 103
1. 세시 풍속과 전통 음식 ● 103
2. 우리나라의 24절기 ● 107
3. 세시 풍속 프로그램의 유아교육 현장 적용 실제 ● 120
제6장 전래 동화 속 인성 덕목 프로젝트의 실제 145
( ‘금을 버린 형과 아우’ 프로젝트)
1. 프로젝트 1단계 ● 145
2. 프로젝트 2단계 ● 153
3. 프로젝트 3단계 ● 212
제3부 전통교육과 유아 사회생활
제1장 유아 사회교육의 정의와 내용 221
1. 유아 사회교육의 정의 ● 221
2. 유아 사회교육의 내용 ● 222
제2장 3~5세 누리과정의 사회관계 영역 225
1. 목표 ● 225 2. 내용 ● 226
제3장 전통교육과 기본 생활 습관 228
1. 기본 생활 습관 ● 228
제4장 전통교육과 개인 생활 242
1. 개인 생활 ● 242
제5장 전통교육과 가정생활 247
1. 가정생활 ● 247
제6장 전통교육과 집단 생활 251
1. 집단 생활 ● 251
제7장 전통교육과 환경 보전 255
1. 환경 보전 ● 255
제4부 전통 놀이
제1장 전통 놀이란 무엇인가 259
1. 전통 놀이의 개념 및 특징 ● 259
2. 전통 놀이의 교육적 가치 ● 263
제2장 전통 놀이의 종류 265
제3장 각 지방별 전통 놀이의 실제 272
1. 경기도 지방의 전통 놀이(여우야 여우야) ● 273
2. 평안도 지방의 전통 놀이(까막잡기) ● 276
3. 전라도 지방의 전통 놀이 ①(화전놀이) ● 281
전라도 지방의 전통 놀이 ②(들쥐새끼놀이, 꼬리따기) ● 287
4. 충청도 지방의 전통 놀이(거북놀이) ● 292
5. 경상도 지방의 전통 놀이(격구놀이) ● 295
6. 함경도 지방의 전통 놀이(북청사자놀이) ● 299
7. 황해도 지방의 전통 놀이(돌팔매놀이) ● 305
8. 강원도 지방의 전통 놀이(황병산 사냥놀이) ● 308
9. 제주도 지방의 전통 놀이 ①(집줄놓기) ● 311
제주도 지방의 전통 놀이 ②(물허벅 놀이) ● 313
제5부 전통 음식
제1장 우리나라 전통 음식의 역사 317
1. 삼국시대 ● 319
2. 고려시대 ● 319
3. 조선시대 ● 320
제2장 전통 음식의 특징 322
제3장 우리나라의 계절 음식 326
1. 봄 ● 326
2. 여름 ● 327
3. 가을 ● 328
4. 겨울 ● 328
제4장 전통 요리 실습의 실제 331
1. 김치 ● 332 2. 파전 ● 334
3. 호박전 ● 336 4. 빈대떡 ● 338
5. 김치전 ● 340 6. 쑥전 ● 342
7. 도토리묵 ● 344 8. 호박죽 ● 346
9. 오곡밥 ● 348 10. 떡국 ● 350
11. 팥죽 ● 352 12. 식혜 ● 354
13. 수정과 ● 356 14. 송편 ● 358
15. 팥시루떡 ● 360 16. 경단 ● 362
17. 한과(쌀강정) ● 364 18. 약과 ● 366
19. 밤초 ● 368 20. 수제비 ● 370
21. 인절미 ● 372 22. 떡볶이 ● 374
23. 떡산적 ● 376
참고문헌 ● 378
부록1 누리과정에 따른 전통교육 활동의 실제
제1장 신체운동·건강 영역 7
1. 알맞은 옷을 입혀 주세요 ● 8
2. 같은 문양을 찾아 주세요 ● 10
3. 빙고 게임 ● 12 4. 집 모양 바느질 ● 14
5. 기와집 맞추기 ● 16 6. 지붕과 문을 바꿔 보세요 ● 18
7. 옛날 옛날 신발들 ● 20 8. 옷을 만들어요 ● 22
9. 집을 지읍시다 ● 24 10. 버선 널기 게임 ● 26
11. 벽돌 쌓기 게임 ● 28
제2장 의사소통 영역 30
1. 우리가 살고 있는 집은? ● 31
2. 우리나라 집은 어떻게 지을까? ● 34
3. 할머니의 보물 상자 ● 36 4. 모자의 종류는? ● 41
5. 아름다운 한복 ● 43 6. 신발을 신었어요 ● 45
7. 연장 ● 47 8. 숲 속의 다람쥐집 ● 49
9. 한복 ● 51 10. 족두리 ● 53
11. 짚신 ● 55 12. 곰돌이 집을 지었어요 ● 57
제3장 사회관계 영역 61
1. 추석 ● 62 2. 전통 다례 졸업식 ● 64
제4장 예술경험 영역 70
1. 족두리 만들기 ● 71 2. 사모 만들기 ● 73
3. 옷감 도장 찍기 ● 75 4. 기와 문양 탁본 뜨기 ● 77
5. 빨래하기 ● 79 6. 옷장수와 호랑이 ● 81
7. 꼬마야 꼬마야 ● 84 8. 기차 ● 85
9. 숫자풀이 ● 86 10. 두껍아 두껍아 ● 88
제5장 자연탐구 영역 90
1. 내가 살고 싶은 집은? ● 91 2. 통나무 쌓기 ● 93
3. 같은 도구 찾기 ● 94 4. 문살 문양 모으기 ● 96
5. 너와지붕 올리기 ● 98 6. 색깔 만들기 ● 100
7. 풀 먹이기 ● 102 8. 흙벽돌 만들기 ● 104
부록2 전통놀이 게임의 실제
제1장 전통 놀이 게임의 종류 109
1. 딱지치기 게임 ● 110 2.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 ● 112
3. 닭싸움 ● 114 4. 비석치기 ● 116
5. 사방치기 ● 118 6. 투호 던지기 ● 120
7. 우리 집에 왜 왔니? ● 122 8. 등씨름 ● 124
9. 윷놀이 ● 126 10. 가마타기 ● 128
11. 소먹이 놀이 ● 130 12. 신발 뺏기 게임 ● 132
13. 죽마타기 ● 134 14. 돼지씨름 ● 136
15. 신발 숨기기 게임 ● 138 16. 쌀·보리 ● 140
17. 얼음땡 ● 142 18. 팽이치기 ● 144
19. 자치기 ● 146 20. 고무줄놀이 ● 148
21. 제기차기 ● 150 22. 공기놀이(받기) ● 152
23. 여우야 여우야 ● 154 24. 이거리 저거리 각거리 ● 156
25. 강강수월래 ● 1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