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사회복지학개론

사회복지학개론 (조흥식 외)

(3판)

조흥식, 권기창, 이태수, 박경수, 이용표, 엄규숙, 박기훈 (지은이)
창지사
24,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21,600원 -10% 1080원 18,360원 >

책 이미지

사회복지학개론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사회복지학개론 (조흥식 외) (3판)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사회복지학
· ISBN : 9788942612246
· 쪽수 : 411쪽
· 출판일 : 2019-02-28

목차

머리말 3

PART 1 사회복지의 기초

CHAPTER 01 현대사회와 인간, 그리고 사회복지 15
1. 인간의 이해 15
1) 인간 이해에 대한 다양한 시각 15
2) 사회복지가 보는 인간의 이해 16
2. 현대사회와 사회문제 17
1) 사회위험 18
2) 사회문제 19
3. 욕구의 이해 20
1) 욕구의 의미 20
2) 욕구의 분류 21
4. 사회복지의 의의와 역할 23
1) 사회복지의 의의 24
2) 사회복지의 역할 29

CHAPTER 02 사회복지의 개념 37
1. 사회복지 개념의 다양한 측면 37
2. 사회복지와 관련 개념 40
1) 사회서비스 40
2) 사회보장 41
3) 사회복지서비스 44
4) 사회사업 45
5) 자선사업 47
6) 사회복지와 관련 개념과의 관계 48
3. 사회복지의 기준 49
4. 사회복지의 관점 52
1) 잔여주의?제도주의?발달주의 52
2) 선별주의 대 보편주의 54
5. 사회복지학의 접근방법과 정체성 54

CHAPTER 03 사회복지의 구성요소 61
1. 사회복지의 주체 61
1) 전통적 주체로서 공공과 민간 61
2) 정책주체, 운영주체, 실천주체 63
3) 사회복지 주체의 다양화 64
2. 사회복지의 대상 68
1) 사회복지의 수급자 68
2) 사회복지 대상으로서의 욕구 69
3. 급여형태 72
4. 전달체계 73
1) 민영화 74
2) 영리화 75
5. 재원 76
1) 공공재원 76
2) 민간재원 78

PART 2 사회복지제도의 생성과 발달

CHAPTER 04 사회복지의 기원과 발달 85
1. 선진국 복지제도의 발달 85
1) 산업화 이전의 시기 85
2) 국가 개입의 시대 88
3) 본격적 산업 자본주의 시대 92
2. 한국에서 복지발달의 역사 103
1) 근대 이전의 복지제도 103
2) 식민통치와 근대적 복지제도 105
3) 현대적 사회복지제도의 도입 105

CHAPTER 05 복지국가의 성립과 변화 109
1. 복지국가 형성과정 110
1) 복지국가 발달과 시민권 110
2. 복지국가 형성과 발달의 결정요인 112
1) 복지국가 발전에 대한 이론적 접근방식 112
2) 사회복지발달의 결정요인 114
3) 복지국가 유형론 114
4) Esping-Andersen의 복지국가 유형 구분 116
3. 복지국가의 위기와 재편 119
1) 복지국가 위기의 원인 119
2) 세계화와 복지국가의 위기 120
3) 신자유주의의 복지국가 축소와 그 부작용 121
4) 복지다원주의: 복지거버넌스의 변화와 능력개발국가 122
5) 복지국가 재편과 경로의존성 123
6) 21세기 복지국가의 과제 124
4. 한국 복지국가의 성장과 과제 126
1) 사회복지제도의 성장 126
2) 한국 복지국가 발달의 특징 및 향후 과제 127

PART 3 사회복지방법론

CHAPTER 06 사회복지방법론 (Ⅰ) 133
1. 사회복지실천의 개관 133
1) 사회복지실천의 의미 133
2) 사회복지실천의 기반 134
3) 사회복지실천의 기본 틀 - 통합적 접근 137
4) 사회복지실천의 대상과 분야 139
2. 미시적 실천방법 142
1) 실천이론과 개입모델 142
2) 개인 대상의 실천 147
3) 집단 대상의 실천 153
3. 거시적 실천방법:지역사회 수준에서의 실천방법 159
1) 의의 159
2) 지역사회복지 실천모델 161
3) 지역사회복지실천의 과정 163
4) 사회복지사의 실천기술 164
5) 추진체계와 자원환경 165

CHAPTER 07 사회복지방법론 (Ⅱ) 179
1. 사회복지행정 179
1) 사회복지행정의 의의 179
2) 사회복지행정의 구조론 184
3) 사회복지행정의 관리론 190
2. 사회복지조사 199
1) 사회복지조사의 의의 199
2) 사회복지조사방법 201
3) 사회복지조사의 절차 204

PART 4 사회복지의 주요 영역

CHAPTER 08 사회보장 211
1. 사회보장의 의의 211
1) 사회보장의 유사개념 211
2. 사회보장의 목적, 주체, 기능 215
1) 사회보장의 목적 215
2) 사회보장의 주체 216
3) 사회보장의 기능 217
3. 사회보장의 영역 219
1) 사회보험 220
2) 공공부조 223
4. 사회보장의 내용 226
1) 국민연금 228
2) 건강보험 231
3) 산재보험 234
4) 고용보험 236
5) 장기요양보험 238
6) 국민기초생활보장 240
7) 기초연금 243

CHAPTER 09 사회복지서비스 (Ⅰ) 247
1. 아동복지 247
1) 개요 247
2) 정책과 서비스 250
3) 사회복지사의 활동과 역할 252
4) 아동복지의 과제 252
2. 청소년복지 · 학교사회복지 253
1) 개요 253
2) 정책과 서비스 258
3) 사회복지사의 활동과 역할 262
4) 청소년복지?학교사회복지의 과제 263
3. 여성복지 265
1) 개요 265
2) 정책과 서비스 268
3) 사회복지사의 활동과 역할 270
4) 여성복지의 과제 271
4. 노인복지 272
1) 개요 272
2) 정책과 서비스 275
3) 사회복지사의 활동과 역할 278
4) 노인복지의 과제 278

CHAPTER 10 사회복지서비스 (Ⅱ) 283
1. 가족복지 283
1) 개요 283
2) 정책과 서비스 284
3) 사회복지사의 활동과 역할 289
4) 가족복지의 과제 290
2. 장애인복지 291
1) 개요 291
2) 정책과 서비스 295
3) 사회복지사의 활동과 역할 298
4) 장애인복지의 과제 299
3. 의료사회복지 300
1) 개요 300
2) 정책과 서비스 302
3) 사회복지사의 활동과 역할 304
4) 의료사회복지의 과제 306
4. 정신건강사회복지 307
1) 개요 307
2) 정책과 서비스 309
3) 사회복지사의 활동과 역할 312
4) 정신건강사회복지의 과제 314

CHAPTER 11 사회복지 전달체계와 인력 319
1. 사회복지 전달체계의 개념 및 구분 319
1) 사회복지 전달체계의 의의 319
2) 사회복지 전달체계의 구분 319
2. 사회복지 전달체계의 원칙 323
1) 행정적인 측면 323
2) 서비스제공 측면 326
3. 사회복지 전달체계 현황 327
1) 전달체계 관련 법규 327
2) 사회제도적 환경 및 전달체계의 변화 328
4. 사회복지 전달체계로서의 사회복지 인력 333
1) 사회복지인력 현황 333
2) 사회복지사 자격 기준 335
5. 사회복지 전달체계의 과제 335

CHAPTER 12 복지재정의 구조와 실태339
1. 현대정부의 역할 339
2. 국가 재정의 구조340
1) 정부의 범주 341
2) 중앙정부의 재정 운영 구조 343
3) 지방정부의 재정 운용 과정 344
3. 한국 복지재정의 현실 345
1) 한국 재정 운영의 현주소 345
2) 복지예산의 현실 348
3) 복지재정의 과제 353

PART 5 한국 사회복지의 조망

CHAPTER 13 사회복지사의 역할과 과제 359
1. 사회복지사의 역할 359
1) 조력자 359
2) 중재자 360
3) 통합자/조정자 361
4) 관리자 362
5) 교육자 363
6) 분석가/평가자 364
7) 중개자 364
8) 촉진자 365
9) 주창자 366
10) 협상가 367
11) 옹호자 368
2. 사회복지사의 윤리와 자세 369
1) 사회복지실천과 가치 369
2) 사회복지사의 가치와 윤리 기준 371
3) 사회복지실천과 윤리강령 374
4) 윤리적 딜레마 해결을 위한 준거틀 379
3. 새로운 사회복지 실천 분야 380
1) 사회복지의 변화와 전망 380
2) 새로운 실천영역에 대한 적절한 선택 382
4. 사회복지인력의 활용 과제 383

CHAPTER 14 한국 사회복지의 전망 389
1. 한국의 복지환경 변화 389
2. 한국 복지발전의 전망 392
1) 복지정책의 기본 방향 392
2) 복지정책의 구현 조건 394

찾아보기 403

저자소개

조흥식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졸업 서울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 석사, 박사 청주대학교 교수, 영국 헐 대학교(University of Hull) 사회복지학과 객원교수 미국 시카고 로욜라 대학교(Loyola University Chicago) 사회복지대학원 교환교수 영국 버밍엄 대학교(University of Birmingham) 사회복지학과 방문교수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사회복지학과 교수 현 서울대학교 명예교수
펼치기
권기창 (지은이)    정보 더보기
ㆍ한양대학교 행정학과에서 정책분석 및 평가 전공으로 학사, 석사, 박사학위 취득 ㆍ1995년부터 2003년까지 국회 입법조사분석관 및 예산분석관으로 근무 ㆍ현재 한양사이버대학교 사회복지학부에 교수 재직 중 ㆍ한국정책과학학회 회장 및 한국행정학회, 한국정책학회, 정책분석평가학회 등에서 이사 역임 ㆍ관심연구분야 : 사회복지정책, 사회복지행정 등 《주요 저서》 ㆍ『사회복지학개론』(공저, 창지사, 2008) ㆍ『사회복지정책론』(창지사, 2014) 《주요 논문》 ㆍ「국제기준에서 본 중국 노령연금정책의 개혁방향과 평가」(2011) ㆍ「정보격차 해소정책의 성과분석」(2008) ㆍ「네트워크 구축의 전략연구」(2006) ㆍ「사회복지서비스의 민간위탁 연구」(2004) 등
펼치기
이태수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재 인하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초빙교수이며, 가톨릭꽃동네대학교 교수(1999. 3~2021. 4)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원장(2021. 5~2024. 5)을 역임하였다. 연세대학교에서 경제학 학사와 석사 학위를 받고 정치경제학 논문으로 경제학 박사학위를 취득한 뒤 복지정책을 본격적으로 연구하여 복지재정, 사회보험, 사회보장, 복지국가 등 사회정책 분야에서 연구 및 활동하였다. 참여연대 사회복지위원회, 복지국가소사이어티, 서울복지시민연대 등을 대표하였고, 대통령직속 정책기획위원회 등 각종 정부 위원회에 참여하여 정책수립과 실행 과정에 기여한 바 있다. 『성공한 나라 불안한 시민』(공저), 『사회복지사를 위한 복지경제학』, 『왜 복지국가인가?』 등의 저서와 「문재인정부 사회서비스 전달체계 개편의 쟁점과 과제」(공저), 「한국복지국가의 보편적 복지논쟁과 대응전략」 등의 논문이 있다.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와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의 회장도 역임하였다.
펼치기
박기훈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일본 京都大 인간·환경학 박사 노인인력운영센터 연구원 열린정책연구원 책임연구원 현) 서울사이버대학교 사회복지대학 전임교수 시 등단: 2017. 09 『창조문예』 시집: 『나는 내가 좋다』 (2018, 맑은샘)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889426166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