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범계열 > 교육사회/심리학
· ISBN : 9788942613410
· 쪽수 : 367쪽
· 출판일 : 2020-08-10
목차
chapter 1 교육심리학의 이해 12
1. 교육심리학의 개념과 발전과정 12
2. 교육심리학의 성격 14
3. 교육심리학의 연구방법 15
1) 교육심리학 연구의 목적, 필요성, 방법 15
2) 교육심리학 연구의 유형 18
3) 연구의 목적에 따른 분류 25
chapter 2 학습자의 두뇌발달 30
1. 뇌의 구조 31
2. 신경세포(뉴런)들 간의 시냅스 35
3. 뇌의 가소성 37
4. 뇌발달 39
1) 영유아의 뇌발달 39
2) 좌뇌와 우뇌의 통합 42
3) 뇌의 기능과 창의력 44
chapter 3 학습자의 발달 47
1. 학습자의 발달 47
1) 발달의 개념 47
2) 발달의 원리 48
2. 인지발달 49
1) 지능 49
3. 성격·사회성 발달 66
1) 성격발달 66
2) 사회성 발달 73
4. 도덕성 발달 80
1) 피아제의 도덕성 발달이론 80
2)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이론 81
chapter 4 창의성 83
1. 창의성 교육의 필요성 84
2. 창의성의 개념 90
3. 창의성과 지능 92
4. 창의성 연구와 다양한 접근 93
1) 애머빌의 창의성 구성요소 94
2) 칙센트미하이의 통합적 접근: 창의성 체계모델 94
3) 에델만의 창의성 본질 97
5. 창의성과 교육: 창의적 사고 기법을 중심으로 98
1) 자유연상법 100
2) 강제연상법 104
3) 스캠퍼 기법 105
4) 결정열거법 107
5) 희망열거법 107
6) 창의적인 교수·학습 방법 108
7) 창의성을 발휘하기 위한 제언 113
chapter 5 학습자의 다양성 119
1. 학습유형/인지유형 119
1) 던 앤 던의 학습유형 120
2) 장독립형(field dependence)과 장의존형(field independence) 인지유형 123
3) 충동적 인지유형(impulsive cognitive style)/반성적 인지유형(reflective cognitivestyle) 125
2. 성차와 성역할 고정관념 126
1) 성차(sex/gender difference) 126
2) 성역할 고정관념sex-role stereotype 129
3) 고정된 성역할 개념 형성 과정 131
4) 성역할 고정관념 피하기 135
3. 다문화 139
1) 다문화가정 140
2) 다문화가정의 문제점과 방향 140
3) 교실에서의 적용 146
4) 다문화 교육의 영역 147
chapter 6 특수한 학습자 150
1. 특수교육 주요현황 150
2. 특수교육 대상자 현황 153
1) 특수학교 배치 특수교육 대상자 151
2) 특수학급 배치 장애유아 및 초중등 학생 154
3. 통합교육 156
1) 통합 교육의 개념과 발달 157
2) 통합교육의 효과 158
3) 통합교육에서의 교사 유의사항 159
4. 특수교육 160
1) 특수교육의 개념 160
2) 영재아 163
3) 장애아 181
chapter 7 학습이론 196
1. 학습의 정의와 학습이론의 중요성 196
1) 학습의정의 196
2) 학습이론 이해의 중요성 197
3) 학습이론의 유형 200
chapter 8 교수이론 230
1. 부르너의 구성주의 교수이론(발견식 교수이론) 231
2. 오수벨의 유의미학습(meaningful learning) 233
1) 유의미학습 233
3. 가네의 학습 조건 236
4. 켈러의 ARCS 모형 239
chapter 9 학습자의 동기 242
1. 인간의 동기와 학습동기 242
2. 동기의 정의 244
1) 내재적 동기와 외재적 동기 245
2) 보상과 내재적 동기 247
3. 동기이론 250
1) 인본주의 동기이론: 매슬로우의 욕구위계이론 251
2) 행동주의 동기이론 253
3) 인지동기이론 253
4. 학업동기 상담과 개입전략 264
chapter 10 교수자의 이해 267
1. 교수자의 역할 267
1) 교수목표(instructional objectives) 267
2) 교사의 역량 272
2. 생활지도와 상담 275
1) 학교상담과 생활지도의 목적 277
chapter 11 학습평가 298
1. 형성평가와 총괄평가 300
2. 준거 참조와 규준 참조 302
3. 고전적 검사: 객관식 검사와 주관식 검사 303
1) 객관식 검사 303
2) 주관식검사 306
4. 수행평가 307
1) 수행평가의 의미 307
2) 수행평가의 유형 313
chapter 12 표준화 검사 316
1. 표준화 검사 316
1) 표준화 검사 316
2) 표준화 검사의 해석 317
2. 대표적인 표준화 검사의 종류 320
1) 지능검사 320
2) 창의성 검사 324
3) 성격검사 327
3. 표준화 검사 및 학급 검사도구의 조건 331
1) 신뢰도 332
2) 타당도 336
3) 객관도 339
4) 실용성 339
chapter 13 미래의 교육심리 전망 341
1. 온라인 교육 342
2. 정보와 미디어 활용에 능숙한 학생 344
3. 미래대학 346
1) 미네르바 스쿨(Minerva School) 346
2) 아드 아스트라(Ad Astra) 347
3) 영국의 코벤트리대학교(Coventre University) 347
참고문헌 350